존대를 할 때 용언 어간에 무턱대고 ‘-시-’만 넣을 게 아니라,‘잡수다’의 경우처럼 그 용언의 높임말이 따로 있는지도 잘 살펴야 한다.

안녕하세요.

기분 좋은 월요일입니다.

오늘은 한글문화연대에서 만든 '틀리기 쉬운 높임말 33가지'에 들어있는 존댓말을 함께 보겠습니다.

18쪽에 '할머니께서 아프십니다'는 제목을 단 글이 있습니다.
여기에 옮기면,
존대를 할 때 용언 어간에 무턱대고 ‘-시-’만 넣을 게 아니라, ‘잡수다’의 경우처럼 그 용언의 높임말이 따로 있는지도 잘 살펴야 한다. 가령, ‘아프다’를 ‘아프시다’로 높여서 “할머니께서 아프십니다.”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표현은 존대법에 어긋난다.
‘아프다’의 높임말은 ‘아프시다’가 아니라 ‘편찮다’이다. “할머니께서 편찮으십니다.”로 높여 말해야 한다. 다만, 특정 부위가 아플 때에는 “할아버지께서는 한쪽 다리가 아프십니다.”처럼 말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이렇게 우리말은 여러 표현이 있습니다.
위 자료를 받으시려면 여기에 가시면 됩니다.
http://www.urimal.org/137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용서하고 풀치고...]

안녕하세요.

6:59분쯤 MBC뉴스를 진행하는 앵커가
"많이 춥다."라고 말했습니다.
추위나 더위의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는 '많이'를 쓰면 안 되고
'몹시'나 '꽤'를 써야 바릅니다.
아마도 날씨가 너무 추워 앵커의 입이 덜 풀렸었나 봅니다. ^^*

오늘 이야기 시작하죠.

이제 올해가 가려면 나흘 남았네요.
딱히 해 놓은 게 없다 보니 가는 시간이 아쉽기만 합니다.
올 한 해,
저 때문에 괴로움을 당하셨거나 힘드셨던 분도 계실 것이고,
다른 사람 때문에 힘들었던 분도 계실 겁니다.

혹시라도 저 때문에 속상하셨다면 다 용서해 주십시오.
아마도 모르긴 몰라가 제가 제 욕심을 차리려고 남을 힘들게 하지는 않았을 겁니다.
이런저런 제 잘못을 너그럽게 용서해 주시라는 뜻으로,
용서하다는 뜻의 순 우리말을 소개해 드릴게요.

바로 '풀치다'입니다.
"맺혔던 생각을 돌려 너그럽게 용서하다."는 뜻의 낱말입니다.
풀쳐 생각하다/할아버지께선 아이들의 장난을 풀치셨다처럼 씁니다.

올 한 해 저 때문에 힘드셨다면,
쌓아두지 마시고 풀치고 넘어가십시오.
저 또한 풀치지 못한 게 있다면 올해가 가기 전에 다 풀치겠습니다.

특히 기자님들과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용서를 구합니다.
혹시라도 맺힌 게 있다면 다 풀치고 넘어가 주십시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9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20
1876 [2016/02/12] 우리말) 어제그저께 머니북 2016-02-12 3837
1875 [2011/11/14] 우리말) 막히다와 밀리다 머니북 2011-11-14 3836
1874 [2010/07/07] 우리말) 얼굴2 moneybook 2010-07-07 3834
1873 [2010/01/05] 우리말) 첫과 처음 id: moneyplan 2010-01-05 3834
1872 [2017/01/18] 우리말) 정지훈/정 지훈 머니북 2017-01-19 3833
1871 [2009/03/06] 우리말) 엥꼬와 엔꼬 id: moneyplan 2009-03-06 3832
1870 [2007/03/26] 우리말) 고객관리하라고요? id: moneyplan 2007-03-26 3832
1869 [2017/08/25]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7-08-31 3830
1868 [2007/06/28] 우리말) 워크샵과 워크숍 id: moneyplan 2007-06-28 3829
1867 [2009/08/05] 우리말) 봉숭아와 봉선화 id: moneyplan 2009-08-05 3828
1866 [2007/02/25] 우리말) 맞춤법이 엉망인 어머니 편지... 또... id: moneyplan 2007-02-27 3828
1865 [2016/11/01] 우리말) 우렁잇속 머니북 2016-11-01 3827
1864 [2010/02/08] 우리말) 야식이 아니라 밤참 id: moneyplan 2010-02-08 3827
1863 [2009/12/16] 우리말) 개사료와 개밥 id: moneyplan 2009-12-16 3826
1862 [2017/02/01] 우리말) 햇귀 머니북 2017-02-01 3825
1861 [2017/08/22] 우리말) 반려견 머니북 2017-08-23 3823
1860 [2011/07/1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1-07-15 3822
1859 [2011/02/11] 우리말) 달달하다 moneybook 2011-02-11 3822
1858 [2007/07/03] 우리말) 갑절과 곱절 id: moneyplan 2007-07-03 3822
1857 [2016/11/24] 우리말) 공문서를 한글로만 쓰는 것은 합헌 ~^ 머니북 2016-11-25 3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