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2/07] 우리말) 불임이 아니라 난임

조회 수 3547 추천 수 0 2014.02.10 09:12:00

보고 배운 것이 없거나 
행동이 예의범절에 어긋나는 데가 있는 사람을 두고
본때없다거나 본대없다고 하는데,
이 말은 '본데없다'가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강원도는 눈이 많이 내렸다는데 이곳은 봄 날씨처럼 따뜻합니다. ^^*

어제 '엄마를 부탁해'라는 방송이 있었나 봅니다.
애를 배고, 곧 낳을 연예인 몇 명이 나와 그와 관련된 이야기를 나눴나 봅니다.

몇 년 전 교통사고로 하반신이 마비된 강원래 씨, 그의 아내 김송 씨 이야기도 많이 들었습니다.
결혼해서 애를 낳고 싶은데, 애가 들어서지 않아 고생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자주 들었습니다.
그랬던 그 부부가 어제 방송에 나와 임신한 것을 밝혔나 봅니다.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

그제 저녁에 서울에 있는 사단법인 한국난임가족연합회를 다녀왔습니다.
제가 이사로 되어있기에 회의에 다녀왔습니다.
십여 년 전에 활동했던 단체인데, 지금 애가 있다고 인연을 끊으면 안 되죠.

자주 드리는 말씀이지만,
불임과 난임은 다릅니다.
그리고 요즘은 법에도 불임을 쓰지 않고 난임이라 쓰며, 보건복지부 지원사업도 '난임부부 지원'입니다.

애를 갖고 싶어도 뜻대로 되지 않는 부부에게
불임부부라고는 하지 맙시다.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는 그분들 가슴에 못 박는 '불임'이라는 낱말은 쓰지 맘시다.

불임이 아니라 난임입니다.
한 난임 부부가 어떤 게시판에 올린 글이 떠오릅니다.

"어느 우주로부터 우릴 향해 열심히 다가오고 있는 아가에게
빨리 오라 재촉하지 않겠습니다.
왜냐면... 그 여리고 작은 발로 제깐엔 열심히 아주 열심히 오고 있는 중이니까요.
좀 느리긴 하지만 언젠가는 분명히 엄마 품을 제대로 찾아오리란 걸 믿으니까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암캐도 복제 성공했다]

안녕하세요. 기분 좋은 소식이 있네요.
서울대학교에서 암캐를 복제하는데도 성공했다고 하네요.

작년 이맘때 복제 문제로 시끄러웠었는데,
조금이나마 맘을 달랠 수 있는 소식이네요.

위에서 '개의 암컷'을 '암개'라고 하지 않고 '암캐'라고 했는데요.
이것은 틀린 게 아닙니다.
'개의 암컷'은 '암개'가 아니라 '암캐'가 맞습니다.

표준어 규정에 보면,
암 수를 따지면서 거센소리를 인정하는 게 9가지가 있습니다.
암캉아지
암캐
암컷
암키와
암탉
암탕나귀
암톨쩌귀
암퇘지
암평아리
입니다.

위에 나오는 것은 거센소리로 발음합니다.
따라서,
암강아지가 아니라 암캉아지가 맞고,
암개가 아니라 암캐,
암것이 아니라 암컷,
암기와가 아니라 암키와,
암닭이 아니라 암탉,
암당나귀가 아니라 암탕나귀,
암돌쩌귀가 아니라 암톨쩌귀,
암돼지가 아니라 암퇘지,
암병아리가 아니라 암평아리가 맞습니다.

새하얀 눈만큼이나 기분 좋은 소식이라서
오늘은 우리말편지를 하나 더 보냅니다.

보태기)
수컷을 뜻하는 접두사는 '수'로 통일했습니다.
다만, 
숫양, 숫염소, 숫쥐 이 세 가지만
'수'가 아니라 '숫'을 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42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945
1016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823
1015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4131
1014 [2013/03/07] 우리말) 가축하다와 눈부처 머니북 2013-03-07 4410
1013 [2013/03/08] 우리말) 감장하다 머니북 2013-03-08 3790
1012 [2013/03/11] 우리말) 명함 영문이름 머니북 2013-03-11 7987
1011 [2013/03/12] 우리말) 로마자 표기법 머니북 2013-03-12 3994
1010 [2013/03/12] 우리말)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머니북 2013-03-12 4119
1009 [2013/03/13] 우리말) 사달과 오두방정 머니북 2013-03-13 5052
1008 [2013/03/1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3-14 4781
1007 [2013/03/15] 우리말) 낯빛과 안색 머니북 2013-03-16 8225
1006 [2013/03/18] 우리말) 조선시대, 6~7살 이후는 아버지가 키워? 머니북 2013-03-18 4008
1005 [2013/03/19] 우리말) 바다나물과 먼산나물 머니북 2013-03-19 4073
1004 [2013/03/20] 우리말) '가사 피고가 경락을 경료해'가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머니북 2013-03-20 9703
1003 [2013/03/21] 우리말) 표준국어대사전 머니북 2013-03-21 3998
1002 [2013/03/22] 우리말) 약 머니북 2013-03-25 5675
1001 [2013/03/25] 우리말) 비몽사몽과 어리마리 머니북 2013-03-25 10443
1000 [2013/03/26] 우리말) 입찬말 머니북 2013-03-26 4166
999 [2013/03/27] 우리말) 독도에 '한국 땅' 새긴다 머니북 2013-03-27 3789
998 [2013/03/28] 우리말) 늙수그레 머니북 2013-03-28 3855
997 [2013/03/29] 우리말) 셋째 태어나고 아내에게 쓴 편지 머니북 2013-03-29 3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