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2/17] 우리말) 높은 난이도?

조회 수 3487 추천 수 0 2014.02.17 09:58:00

'난이도'는 "어려움과 쉬움의 정도"이므로
높거나 낮을 수 없습니다.
굳이 하자면 '높은 난도'라고 해야 하는데,
이 또한 어려운 기술, 까다로운 기술, 남들이 따라 하기 어려운 기술 따위로 풀이하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먼저,
지난번 편지에서 제가 제 생일을 센다고 이야기했습니다.
명절, 생일, 기념일 같은 날을 맞이하여 지내는 것은 '세다'가 아니라 '쇠다'입니다.
제가 말도 안 되는 실수를 했네요. ^^*

새벽부터 안타까운 뉴스가 있습니다.
이집트 시나이반도서 관광버스 폭탄 테러가 일어나 우리나라 사람 세 분이 돌아가셨다고 합니다.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오늘 제가 일하는 곳에서 몇 분이 강원도로 일손돕기를 떠나는데,
강원도에 또 눈이 온다고 해서 걱정입니다.
아무 탈 없이 일 잘 마치고 돌아오시길 빕니다.

요즘 동계올림픽 이야기가 많습니다.
러시아로 귀화한 안현수 선수이야기도 많고,
처음 보는 컬링에 대한 이야기도 많습니다.

가끔,
높은 난이도의 경기를 펼쳤다고 하는데,
'난이도'는 "어려움과 쉬움의 정도"이므로
높거나 낮을 수 없습니다.
굳이 하자면 '높은 난도'라고 해야 하는데,
이 또한 어려운 기술, 까다로운 기술, 남들이 따라 하기 어려운 기술 따위로 풀이하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석패(惜敗)라는 말도 가끔 합니다.
"경기나 경쟁에서 약간의 점수 차이로 아깝게 지다."는 뜻인데요.
아깝게 졌다, 아쉽게 졌다로 말하는 게 더 듣기 좋을 것 같습니다.

이번 주도 자주 웃으면서 즐겁게 보냅시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가엾고 설운 어린아이]

어제는 외국인들을 안내하느라 수원과 서울을 좀 싸대고 다녔습니다.
오랜만에 쓰는 영어라 혀에 쥐가 날뻔했습니다. ^^*

요즘 날씨 춥죠?
어제 전철을 타고 돌아오다 보니 이 추운 날씨에도 밖에서 구걸하는 어린이가 몇 명 있더군요.
가여운 마음에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몇 푼이라도 넣고 돌아섰습니다.
오늘은 그런 가여운 어린이를 생각하면서 편지를 쓰겠습니다.

'딱하고 불쌍하다'는 뜻의 그림씨가 뭘까요?
'가엽다'가 맞을까요, '가엾다'가 맞을까요?

답은, 둘 다 맞습니다. 복수표준어입니다.
'가엽다'와 '가엾다'는 발음이 [가ː엽따]로 같습니다.
다만, 가엽다가 ㅂ불규칙활용이라 쓰임이 좀 까다롭습니다.
가엽다는
가여우니, 가엽고, 가여운으로 쓰고,
가엾다는
가엾으니, 가엾고, 가엾은으로 씁니다.

따라서,
'추위에 떠는 가여운 사람'도 맞고,
'추위에 떠는 가엾은 사람'도 맞습니다.

이런 게 또 있습니다.
'서럽다'와 '섧다'입니다. 뜻이 같은 복수표준어입니다.
'서럽다'는
'서러워, 서러우면, 서럽고, 서러운'으로 쓰고,
'섧다'는
'설워, 설우면, 섧고, 설운'으로 씁니다.

저는 따뜻한 방에서 잡니다.
아마 여러분도 그러실 겁니다.
우리는 이렇게 따뜻한 방에서 맘 편하게 두 발 쭉 뻗고 자지만,
우리 주위에는 맘 편히 누울 집도 없는 가엽고(가엾고) 설운 어린아이가 많습니다.
그런 아이들이 모두 따뜻한 잠자리에서 하룻밤이라도 맘 편하게 잘 수 있길 빕니다.
저부터 부지런히 나눔의 손길을 뻗겠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어떤 분이 편지를 보내셔서 품사 이름을 명사, 형용사 따위로 쓰지 말고,
우리말인 이름씨, 그림씨로 써 달라고 하셨습니다.
옳으신 말씀입니다.
저도 오늘부터는 그렇게 쓰겠습니다.

최현배 님께서 한자 품사이름을 이렇게 다듬으셨습니다.
명사(名詞) → 이름씨
대명사(代名詞) → 대이름씨(갈음이름씨)
수사(數詞) → 셈씨
형용사(形容詞) → 그림씨
동사(動詞) → 움직씨
부사(副詞) → 어찌씨
관형사(冠形詞) → 매김씨
조사(助詞) → 토씨
감탄사(感歎詞) → 느낌씨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3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12
1336 [2014/07/17] 우리말) 까대기 머니북 2014-07-17 3552
1335 [2016/08/11] 우리말) 철다툼 머니북 2016-08-17 3552
1334 [2016/12/01] 우리말) 붴 머니북 2016-12-05 3552
1333 [2007/05/08] 우리말) 튼실, 걀걍걀걍, 발싸심 id: moneyplan 2007-05-08 3553
1332 [2007/08/27] 우리말) 밀월여행 id: moneyplan 2007-08-27 3553
1331 [2008/11/03] 우리말) 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1-03 3553
1330 [2009/03/23] 우리말) 와이셔츠 id: moneyplan 2009-03-23 3553
1329 [2015/05/19] 우리말) 생광스럽다 머니북 2015-05-19 3553
1328 [2007/11/12] 우리말) 꽃내음 풀내음 id: moneyplan 2007-11-12 3554
1327 [2007/12/21] 우리말) 할 말이 없구먼... id: moneyplan 2007-12-21 3554
1326 [2012/04/09] 우리말) 낼모레 머니북 2012-04-09 3554
1325 [2017/06/13] 우리말) 괘념 머니북 2017-06-13 3554
1324 [2017/08/30] 우리말) 뜻밖에 머니북 2017-08-31 3555
1323 [2007/08/11] 우리말) 뉘 id: moneyplan 2007-08-13 3556
1322 [2009/12/23] 우리말) 슬겁다 id: moneyplan 2009-12-23 3556
1321 [2009/01/19]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1-19 3557
1320 [2015/01/08] 우리말) 많다와 잦다(2) 머니북 2015-01-09 3557
1319 [2007/10/01] 우리말) 전어 이야기 id: moneyplan 2007-10-01 3559
1318 [2014/11/11] 우리말) 다리다/달이다 머니북 2014-11-11 3559
1317 [2015/04/02] 우리말) 누도와 눈물길 머니북 2015-04-02 3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