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2/26] 우리말) 폼과 품

조회 수 3715 추천 수 0 2014.02.26 08:34:16

'우리'를 지나치게 강조하면 '우리'에 갇힐 수도 있다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하겠습니다. ^^*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폼' 버리고 '품' 잡게요]

어제 어떤 분을 만났는데
별것도 아닌 것으로 폼 잡는게 영 눈에 거슬리더군요.
좀 겸손하게 사는 게 좋은 것 같은데...

흔히,
'폼 잡는다'는 말을 합니다.
그는 사진기를 폼으로 메고 다닌다, 지금 한창 낮잠 자려고 폼 잡고 있을 텐데..., 그 투수는 공을 던지는 폼이 안정되어 있다처럼 씁니다.

이 폼은
영어 form에서 온 단어로,
국어사전에 올라있긴 하나
국립국어원에서 '자세'로 다듬었습니다.

그러나 '몸을 움직이거나 가누는 모양.'을 뜻하는 '자세'도 姿勢로 한자어입니다.
일본어투 낱말이나 영어를 다듬으면서 이왕이면 우리말로 다듬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영어에서 온 '폼'과 거의 같은 뜻의 낱말이 '품'입니다.
'행동이나 말씨에서 드러나는 태도나 됨됨이.'이를 뜻하는 순 우리말이죠.


말하는 폼이 어른 같다, 생긴 폼이 자기 아버지를 닮았다, 옷 입는 폼을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 그 아이는 조숙해서 동생을 돌보는 폼이 어른 같다처럼 씁니다.
여기서 '폼' 대신 '품'을 써도 뜻은 같습니다.
말하는 품이 어른 같다, 생긴 품이 자기 아버지를 닮았다, 옷 입는 품을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 그 아이는 조숙해서 동생을 돌보는 품이 어른 같다...
다른 게 없죠?
이렇게 낱말 꼴도 비슷하고 뜻도 비슷한데 왜 사람들은 '폼'만 쓰고 '품'을 쓰지 않을까요?
폼 잡다, 폼 재다는 말은 써도,
품 잡다, 품 재다는 말은 안 쓰잖아요.
아마 누군가 그렇게 쓰면 우리말도 모르는 사람이라고 손가락질할 겁니다.
왜 그럴까요? 누가 그 까닭을 좀 설명해 주실래요? ^^*

좋은 우리말이 있는데도 굳이 어려운 외래어를 쓰는 못된 버릇은 버려야 합니다.
그런 사람은
우리나라 보석을 버리고 미국 어느 산골짜기에서 주워온 허드렛돌을 품고 다니면서 자랑할 겁니다.
외국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이거 미제라면서.........

우리말123

보태기)
'품'과 같은 뜻의 낱말이 '품새'입니다.
설마 '폼 잡다'보다 '후카시 잡다'는 말을 하는 사람은 없겠죠?
ふかし[후카시]가 일본어 찌꺼기라는 것은 다 아시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73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252
1476 [2009/11/06] 우리말) 명조체와 바탕체 id: moneyplan 2009-11-06 3587
1475 [2010/04/08] 우리말) 개나릿길 id: moneyplan 2010-04-08 3587
1474 [2013/07/29] 우리말) 두남두다 머니북 2013-07-29 3587
1473 [2015/04/22] 우리말) 혼인과 결혼 머니북 2015-04-22 3587
1472 [2014/05/28] 우리말) 그을리다와 그슬리다(2) 머니북 2014-05-28 3588
1471 [2014/10/29] 우리말) 찌게와 찌개 머니북 2014-10-29 3588
1470 [2017/04/18] 우리말) 엿먹다 머니북 2017-04-18 3588
1469 [2008/08/11] 우리말) 애오라지 id: moneyplan 2008-08-13 3590
1468 [2009/06/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6-16 3590
1467 [2016/09/09] 우리말) 반죽. 변죽, 딴죽 머니북 2016-09-16 3590
1466 [2014/01/17] 우리말) 메모와 적바림 머니북 2014-01-17 3591
1465 [2008/12/17] 우리말) 땅보탬 id: moneyplan 2008-12-17 3592
1464 [2014/11/26] 우리말) 머지 않다와 멀지않다 머니북 2014-11-26 3594
1463 [2017/02/16] 우리말) 어섯 머니북 2017-02-16 3594
1462 [2007/04/25] 우리말) 잘과 잘못 id: moneyplan 2007-04-25 3595
1461 [2016/11/23] 우리말) 야코죽다 머니북 2016-11-23 3595
1460 [2013/10/15] 우리말) 여태껏 머니북 2013-10-15 3596
1459 [2012/11/07] 우리말) 꽤 춥다 머니북 2012-11-07 3596
1458 [2017/10/16] 우리말) 조쌀하다 머니북 2017-11-06 3596
1457 [2014/06/30] 우리말) 등쌀과 등살 머니북 2014-06-30 3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