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2/26] 우리말) 폼과 품

조회 수 3667 추천 수 0 2014.02.26 08:34:16

'우리'를 지나치게 강조하면 '우리'에 갇힐 수도 있다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하겠습니다. ^^*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폼' 버리고 '품' 잡게요]

어제 어떤 분을 만났는데
별것도 아닌 것으로 폼 잡는게 영 눈에 거슬리더군요.
좀 겸손하게 사는 게 좋은 것 같은데...

흔히,
'폼 잡는다'는 말을 합니다.
그는 사진기를 폼으로 메고 다닌다, 지금 한창 낮잠 자려고 폼 잡고 있을 텐데..., 그 투수는 공을 던지는 폼이 안정되어 있다처럼 씁니다.

이 폼은
영어 form에서 온 단어로,
국어사전에 올라있긴 하나
국립국어원에서 '자세'로 다듬었습니다.

그러나 '몸을 움직이거나 가누는 모양.'을 뜻하는 '자세'도 姿勢로 한자어입니다.
일본어투 낱말이나 영어를 다듬으면서 이왕이면 우리말로 다듬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영어에서 온 '폼'과 거의 같은 뜻의 낱말이 '품'입니다.
'행동이나 말씨에서 드러나는 태도나 됨됨이.'이를 뜻하는 순 우리말이죠.


말하는 폼이 어른 같다, 생긴 폼이 자기 아버지를 닮았다, 옷 입는 폼을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 그 아이는 조숙해서 동생을 돌보는 폼이 어른 같다처럼 씁니다.
여기서 '폼' 대신 '품'을 써도 뜻은 같습니다.
말하는 품이 어른 같다, 생긴 품이 자기 아버지를 닮았다, 옷 입는 품을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 그 아이는 조숙해서 동생을 돌보는 품이 어른 같다...
다른 게 없죠?
이렇게 낱말 꼴도 비슷하고 뜻도 비슷한데 왜 사람들은 '폼'만 쓰고 '품'을 쓰지 않을까요?
폼 잡다, 폼 재다는 말은 써도,
품 잡다, 품 재다는 말은 안 쓰잖아요.
아마 누군가 그렇게 쓰면 우리말도 모르는 사람이라고 손가락질할 겁니다.
왜 그럴까요? 누가 그 까닭을 좀 설명해 주실래요? ^^*

좋은 우리말이 있는데도 굳이 어려운 외래어를 쓰는 못된 버릇은 버려야 합니다.
그런 사람은
우리나라 보석을 버리고 미국 어느 산골짜기에서 주워온 허드렛돌을 품고 다니면서 자랑할 겁니다.
외국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이거 미제라면서.........

우리말123

보태기)
'품'과 같은 뜻의 낱말이 '품새'입니다.
설마 '폼 잡다'보다 '후카시 잡다'는 말을 하는 사람은 없겠죠?
ふかし[후카시]가 일본어 찌꺼기라는 것은 다 아시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10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647
2676 [2015/02/06] 우리말) 터앝 머니북 2015-02-09 2735
2675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744
2674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776
2673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794
2672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801
2671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821
2670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822
2669 [2015/05/11] 우리말) 일부와 일대 머니북 2015-05-12 2827
2668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830
2667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846
2666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852
2665 [2015/02/02] 우리말) 되갚을 것은 없다 머니북 2015-02-02 2858
2664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861
2663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863
2662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865
2661 [2016/07/04] 우리말) 욱여넣다 머니북 2016-07-06 2868
2660 [2009/0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1-09 2872
2659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872
2658 [2015/01/06] 우리말) 개개다와 개기다 머니북 2015-01-06 2874
2657 [2015/08/04] 우리말) 그러거나 말거나 머니북 2015-08-04 28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