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2/26] 우리말) 폼과 품

조회 수 3608 추천 수 0 2014.02.26 08:34:16

'우리'를 지나치게 강조하면 '우리'에 갇힐 수도 있다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하겠습니다. ^^*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폼' 버리고 '품' 잡게요]

어제 어떤 분을 만났는데
별것도 아닌 것으로 폼 잡는게 영 눈에 거슬리더군요.
좀 겸손하게 사는 게 좋은 것 같은데...

흔히,
'폼 잡는다'는 말을 합니다.
그는 사진기를 폼으로 메고 다닌다, 지금 한창 낮잠 자려고 폼 잡고 있을 텐데..., 그 투수는 공을 던지는 폼이 안정되어 있다처럼 씁니다.

이 폼은
영어 form에서 온 단어로,
국어사전에 올라있긴 하나
국립국어원에서 '자세'로 다듬었습니다.

그러나 '몸을 움직이거나 가누는 모양.'을 뜻하는 '자세'도 姿勢로 한자어입니다.
일본어투 낱말이나 영어를 다듬으면서 이왕이면 우리말로 다듬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영어에서 온 '폼'과 거의 같은 뜻의 낱말이 '품'입니다.
'행동이나 말씨에서 드러나는 태도나 됨됨이.'이를 뜻하는 순 우리말이죠.


말하는 폼이 어른 같다, 생긴 폼이 자기 아버지를 닮았다, 옷 입는 폼을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 그 아이는 조숙해서 동생을 돌보는 폼이 어른 같다처럼 씁니다.
여기서 '폼' 대신 '품'을 써도 뜻은 같습니다.
말하는 품이 어른 같다, 생긴 품이 자기 아버지를 닮았다, 옷 입는 품을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 그 아이는 조숙해서 동생을 돌보는 품이 어른 같다...
다른 게 없죠?
이렇게 낱말 꼴도 비슷하고 뜻도 비슷한데 왜 사람들은 '폼'만 쓰고 '품'을 쓰지 않을까요?
폼 잡다, 폼 재다는 말은 써도,
품 잡다, 품 재다는 말은 안 쓰잖아요.
아마 누군가 그렇게 쓰면 우리말도 모르는 사람이라고 손가락질할 겁니다.
왜 그럴까요? 누가 그 까닭을 좀 설명해 주실래요? ^^*

좋은 우리말이 있는데도 굳이 어려운 외래어를 쓰는 못된 버릇은 버려야 합니다.
그런 사람은
우리나라 보석을 버리고 미국 어느 산골짜기에서 주워온 허드렛돌을 품고 다니면서 자랑할 겁니다.
외국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이거 미제라면서.........

우리말123

보태기)
'품'과 같은 뜻의 낱말이 '품새'입니다.
설마 '폼 잡다'보다 '후카시 잡다'는 말을 하는 사람은 없겠죠?
ふかし[후카시]가 일본어 찌꺼기라는 것은 다 아시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3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74
1496 [2017/10/18] 우리말) 카카오톡 머니북 2017-11-06 3618
1495 [2013/08/16] 우리말) 책 소개 '오염된 국어사전' 책 소개(2) 머니북 2013-08-19 3618
1494 [2011/09/06] 우리말) 만날도 맞고 맨날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6 3618
1493 [2017/09/27] 우리말) 광어와 넙치 머니북 2017-11-06 3617
1492 [2009/02/26] 우리말) 대로와 데로 id: moneyplan 2009-02-26 3617
1491 [2007/08/08] 우리말) '각각'은 '따로따로' id: moneyplan 2007-08-08 3616
1490 [2011/01/28] 우리말) 행안부와 까도남의 다른점 moneybook 2011-01-28 3615
1489 [2008/11/27]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2-01 3615
1488 [2016/01/06] 우리말) 사과나무 머니북 2016-01-06 3614
1487 [2010/04/16] 우리말) 바끄럽다/서머하다 id: moneyplan 2010-04-16 3614
1486 [2013/06/05] 우리말) 랍스터와 로브스터 머니북 2013-06-05 3613
1485 [2013/12/10] 우리말) 책거리 머니북 2013-12-10 3613
1484 [2011/01/14] 우리말) 단추를 끼다와 꿰다 moneybook 2011-01-14 3613
1483 [2013/04/03] 우리말) 만빵과 만땅 머니북 2013-04-04 3612
1482 [2017/01/16] 우리말) 굴지 머니북 2017-01-17 3609
1481 [2015/06/26] 우리말) 산수갑산은 어디일까? 머니북 2015-06-26 3609
» [2014/02/26] 우리말) 폼과 품 머니북 2014-02-26 3608
1479 [2012/01/27] 우리말) 우리말 모임 두 개 소개 머니북 2012-01-27 3609
1478 [2007/08/20] 우리말) 떨구다와 떨어뜨리다 id: moneyplan 2007-08-20 3609
1477 [2012/07/0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2-07-04 3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