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2/26] 우리말) 폼과 품

조회 수 3536 추천 수 0 2014.02.26 08:34:16

'우리'를 지나치게 강조하면 '우리'에 갇힐 수도 있다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하겠습니다. ^^*

아래는 2007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폼' 버리고 '품' 잡게요]

어제 어떤 분을 만났는데
별것도 아닌 것으로 폼 잡는게 영 눈에 거슬리더군요.
좀 겸손하게 사는 게 좋은 것 같은데...

흔히,
'폼 잡는다'는 말을 합니다.
그는 사진기를 폼으로 메고 다닌다, 지금 한창 낮잠 자려고 폼 잡고 있을 텐데..., 그 투수는 공을 던지는 폼이 안정되어 있다처럼 씁니다.

이 폼은
영어 form에서 온 단어로,
국어사전에 올라있긴 하나
국립국어원에서 '자세'로 다듬었습니다.

그러나 '몸을 움직이거나 가누는 모양.'을 뜻하는 '자세'도 姿勢로 한자어입니다.
일본어투 낱말이나 영어를 다듬으면서 이왕이면 우리말로 다듬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영어에서 온 '폼'과 거의 같은 뜻의 낱말이 '품'입니다.
'행동이나 말씨에서 드러나는 태도나 됨됨이.'이를 뜻하는 순 우리말이죠.


말하는 폼이 어른 같다, 생긴 폼이 자기 아버지를 닮았다, 옷 입는 폼을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 그 아이는 조숙해서 동생을 돌보는 폼이 어른 같다처럼 씁니다.
여기서 '폼' 대신 '품'을 써도 뜻은 같습니다.
말하는 품이 어른 같다, 생긴 품이 자기 아버지를 닮았다, 옷 입는 품을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 그 아이는 조숙해서 동생을 돌보는 품이 어른 같다...
다른 게 없죠?
이렇게 낱말 꼴도 비슷하고 뜻도 비슷한데 왜 사람들은 '폼'만 쓰고 '품'을 쓰지 않을까요?
폼 잡다, 폼 재다는 말은 써도,
품 잡다, 품 재다는 말은 안 쓰잖아요.
아마 누군가 그렇게 쓰면 우리말도 모르는 사람이라고 손가락질할 겁니다.
왜 그럴까요? 누가 그 까닭을 좀 설명해 주실래요? ^^*

좋은 우리말이 있는데도 굳이 어려운 외래어를 쓰는 못된 버릇은 버려야 합니다.
그런 사람은
우리나라 보석을 버리고 미국 어느 산골짜기에서 주워온 허드렛돌을 품고 다니면서 자랑할 겁니다.
외국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이거 미제라면서.........

우리말123

보태기)
'품'과 같은 뜻의 낱말이 '품새'입니다.
설마 '폼 잡다'보다 '후카시 잡다'는 말을 하는 사람은 없겠죠?
ふかし[후카시]가 일본어 찌꺼기라는 것은 다 아시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4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51
796 [2009/07/24] 우리말) 직수굿하다 id: moneyplan 2009-07-24 2999
795 [2009/07/23] 우리말) 옷깃 id: moneyplan 2009-07-23 2939
794 [2009/07/22] 우리말) 한가하다와 느긋하다 id: moneyplan 2009-07-22 3177
793 [2009/07/21] 우리말) 체면치레 id: moneyplan 2009-07-21 3365
792 [2009/07/20]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7-20 3184
791 [2009/07/17] 우리말) 예전에 보낸 지킴이 인사말 id: moneyplan 2009-07-17 2924
790 [2009/07/16] 우리말) 외래어표기법 받침 id: moneyplan 2009-07-16 3593
789 [2009/07/15] 우리말) 이따가와 있다가 id: moneyplan 2009-07-15 3158
788 [2009/07/14] 우리말) 세뇌 id: moneyplan 2009-07-14 3081
787 [2009/07/13] 우리말) 여러 가지 비 id: moneyplan 2009-07-13 3384
786 [2009/07/10] 우리말) 예전 편지로... id: moneyplan 2009-07-10 3145
785 [2009/07/09] 우리말) 도리기와 도르리 id: moneyplan 2009-07-09 3046
784 [2009/07/0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7-09 2798
783 [2009/07/07] 우리말) 붓날다와 새롱거리다 id: moneyplan 2009-07-07 3099
782 [2009/07/06] 우리말) 두절개 id: moneyplan 2009-07-06 3060
781 [2009/07/03] 우리말) 시가와 싯가 id: moneyplan 2009-07-03 3170
780 [2009/07/02] 우리말) 핑크빛과 핑크ㅅ빛 id: moneyplan 2009-07-02 3060
779 [2009/07/01] 우리말) 뒷풀이와 뒤풀이 id: moneyplan 2009-07-01 4064
778 [2009/06/30] 우리말) 머물다와 머무르다 id: moneyplan 2009-06-30 3150
777 [2009/06/29] 우리말) 꿰맞추다 id: moneyplan 2009-06-29 3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