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3/17] 우리말) 나잇살/나쎄

조회 수 3105 추천 수 0 2014.03.17 13:36:17

점직하다: 그림씨(형용사) 부끄럽고 미안하다.
서머하다: 그림씨(형용사) 미안하여 볼 낯이 없다.
살그니: 어찌씨(부사), (살그머니) 남이 알아차리지 못하게 살며시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주말에 구례와 광양을 다녀왔습니다.
오랜만에 가족과 함께 바깥나들이를 다녀와서 기분은 좋지만, 몸도 힘들기는 하네요.
젊었을 때 노라는 어르신들 말씀을 되새기게 됩니다. ^^*

우리말에 '나잇살'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지긋한 나이를 낮잡아 이르는 말로 
나잇살이나 먹었다는 사람들이 이 모양이니...처럼 씁니다.
'낫살'은 나잇살의 준말입니다.

'나쎄'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그만한 나이를 속되게 이르는 말로
새파란 너희 나쎄로야 그걸 못하겠니, 열여섯 살이면 벌써 남녀를 구별하여 알기 시작할 나쎄다처럼 씁니다.

제 나쎄 가지고는 어디 가서 말도 못 꺼내겠지만,
그래도 한 해 두 해 몸이 좀 달라짐을 느낍니다.
꾸준하게 운동하시면서 몸 관리 잘하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데’ 띄어쓰기]

오늘은 오랜만에 띄어쓰기를 좀 살펴볼게요.
오늘은 '데' 띄어쓰기 입니다.
글을 쓰면서 '데'를 쓸 때 띄어 써야 할지 붙여 써야 할지 헷갈리시죠?

띄어쓰기 설명드리면서 항상 하는 말씀이지만,
우리말은 단어별로 띄어 씁니다. 따라서 사전에 올라있는 한 단어라면 띄어 쓰고 그렇지 않으면 붙여 씁니다.
아홉 가지 품사도 단어로 보고 띄어 쓰는데 조사만 붙여 씁니다.
이것이 띄어쓰기의 원칙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사전에 올라있으므로 붙여 쓰고,
'우리집'은 사전에 올라있지 않으므로 '우리 집'처럼 띄어 써야 합니다.

이제 '데'를 알아보죠.
'데'는 어미로 쓰일 때가 있고 의존명사로 쓰일 때가 있습니다.
마땅히 어미이면 붙여 쓰고 의존명사이면 띄어 씁니다.
'집에 가는데 눈이 왔다.'에서 '-ㄴ데'는 어미이고,
'그 책을 다 읽는 데 삼 일이 걸렸다.'에서 '데'는 의존명사입니다.
그래서 '가는데'는 붙여 쓰고 '읽는 데'는 띄어 쓴 겁니다.

그래도 좀 헷갈리시죠?
아주 쉬운 방법이 있습니다.
'데'가 '곳'이나 '장소', '일'이나 '것', '경우'의 뜻을 나타내면 
그때의 '데'는 의존명사이므로 띄어 쓰고,

'-ㄴ데, -는데, -은데, -던데' 꼴로 쓰여
'상황을 미리 말하거나 과거를 회상'하는 뜻일 때는 어미이므로 붙여 쓰시면 됩니다.

응용을 하나 해 볼까요?
'올데갈데없는사람'을 어떻게 띄어 쓸까요?

올 곳(장소) 갈 곳의 뜻이므로,
'올 데 갈 데 없는 사람'이라고 쓰셔야 맞춤법에 맞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품사(品詞)는 한자어입니다.
우리말로는 '씨'라고 합니다.
따라서, 명사는 이름씨
대명사는 대이름씨
수사는 셈씨 
동사는 움직씨
형용사는그림씨
부사는 어찌씨 
관형사는 매김씨 
감탄사는 느낌씨 
조사는 토씨입니다.
누가 지었는지 이름 참 멋지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3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56
2496 [2007/03/20] 우리말) 오늘은 문제를 냈습니다. 상품도 있습니다. ^^* id: moneyplan 2007-03-20 3901
2495 [2007/03/21] 우리말) 파래, 퍼레, 파란색, 파랑색 id: moneyplan 2007-03-21 5263
2494 [2007/03/22] 우리말) 미역 서식지? id: moneyplan 2007-03-22 6028
2493 [2007/03/23] 우리말) 귓속말과 귀엣말 id: moneyplan 2007-03-26 4183
2492 [2007/03/26] 우리말) 고객관리하라고요? id: moneyplan 2007-03-26 3818
2491 [2007/03/27] 우리말) 이자는 길미로... id: moneyplan 2007-03-27 3996
2490 [2007/03/28] 우리말) 나리가 이울어갑니다 id: moneyplan 2007-03-28 4529
2489 [2007/03/29] 우리말) 박진감 넘치는 경기 id: moneyplan 2007-03-29 4351
2488 [2007/03/29] 우리말) 움츠리다와 옴츠리다 id: moneyplan 2007-03-30 5489
2487 [2007/04/02] 우리말) 이게 무슨 나무죠? id: moneyplan 2007-04-02 4144
2486 [2007/03/31] 우리말) 편지 몇 통 id: moneyplan 2007-04-02 3861
2485 [2007/04/02] 우리말) 애먼 사람 잡지 않길...... id: moneyplan 2007-04-02 4995
2484 [2007/04/03] 우리말) 맞히다와 맞추다 id: moneyplan 2007-04-03 4681
2483 [2007/04/04] 우리말) 코사지, 꽃사지, 코르사주, 가슴꽃 id: moneyplan 2007-04-04 6721
2482 [2007/04/05] 우리말) 하얏트호텔과 하야트 id: moneyplan 2007-04-05 4113
2481 [2007/04/09] 우리말) 소고기와 쇠고기 id: moneyplan 2007-04-09 4313
2480 [2007/04/10] 우리말) 싸 군과 국제전화 id: moneyplan 2007-04-10 4070
2479 [2007/04/11] 우리말) 비빔밥을 버무리다 id: moneyplan 2007-04-11 3832
2478 [2007/04/12] 우리말) 어벌쩍 넘기다 id: moneyplan 2007-04-12 3905
2477 [2007/04/13] 우리말) 씨 띄어쓰기 id: moneyplan 2007-04-13 4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