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3/17] 우리말) 나잇살/나쎄

조회 수 3040 추천 수 0 2014.03.17 13:36:17

점직하다: 그림씨(형용사) 부끄럽고 미안하다.
서머하다: 그림씨(형용사) 미안하여 볼 낯이 없다.
살그니: 어찌씨(부사), (살그머니) 남이 알아차리지 못하게 살며시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주말에 구례와 광양을 다녀왔습니다.
오랜만에 가족과 함께 바깥나들이를 다녀와서 기분은 좋지만, 몸도 힘들기는 하네요.
젊었을 때 노라는 어르신들 말씀을 되새기게 됩니다. ^^*

우리말에 '나잇살'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지긋한 나이를 낮잡아 이르는 말로 
나잇살이나 먹었다는 사람들이 이 모양이니...처럼 씁니다.
'낫살'은 나잇살의 준말입니다.

'나쎄'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그만한 나이를 속되게 이르는 말로
새파란 너희 나쎄로야 그걸 못하겠니, 열여섯 살이면 벌써 남녀를 구별하여 알기 시작할 나쎄다처럼 씁니다.

제 나쎄 가지고는 어디 가서 말도 못 꺼내겠지만,
그래도 한 해 두 해 몸이 좀 달라짐을 느낍니다.
꾸준하게 운동하시면서 몸 관리 잘하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데’ 띄어쓰기]

오늘은 오랜만에 띄어쓰기를 좀 살펴볼게요.
오늘은 '데' 띄어쓰기 입니다.
글을 쓰면서 '데'를 쓸 때 띄어 써야 할지 붙여 써야 할지 헷갈리시죠?

띄어쓰기 설명드리면서 항상 하는 말씀이지만,
우리말은 단어별로 띄어 씁니다. 따라서 사전에 올라있는 한 단어라면 띄어 쓰고 그렇지 않으면 붙여 씁니다.
아홉 가지 품사도 단어로 보고 띄어 쓰는데 조사만 붙여 씁니다.
이것이 띄어쓰기의 원칙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사전에 올라있으므로 붙여 쓰고,
'우리집'은 사전에 올라있지 않으므로 '우리 집'처럼 띄어 써야 합니다.

이제 '데'를 알아보죠.
'데'는 어미로 쓰일 때가 있고 의존명사로 쓰일 때가 있습니다.
마땅히 어미이면 붙여 쓰고 의존명사이면 띄어 씁니다.
'집에 가는데 눈이 왔다.'에서 '-ㄴ데'는 어미이고,
'그 책을 다 읽는 데 삼 일이 걸렸다.'에서 '데'는 의존명사입니다.
그래서 '가는데'는 붙여 쓰고 '읽는 데'는 띄어 쓴 겁니다.

그래도 좀 헷갈리시죠?
아주 쉬운 방법이 있습니다.
'데'가 '곳'이나 '장소', '일'이나 '것', '경우'의 뜻을 나타내면 
그때의 '데'는 의존명사이므로 띄어 쓰고,

'-ㄴ데, -는데, -은데, -던데' 꼴로 쓰여
'상황을 미리 말하거나 과거를 회상'하는 뜻일 때는 어미이므로 붙여 쓰시면 됩니다.

응용을 하나 해 볼까요?
'올데갈데없는사람'을 어떻게 띄어 쓸까요?

올 곳(장소) 갈 곳의 뜻이므로,
'올 데 갈 데 없는 사람'이라고 쓰셔야 맞춤법에 맞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품사(品詞)는 한자어입니다.
우리말로는 '씨'라고 합니다.
따라서, 명사는 이름씨
대명사는 대이름씨
수사는 셈씨 
동사는 움직씨
형용사는그림씨
부사는 어찌씨 
관형사는 매김씨 
감탄사는 느낌씨 
조사는 토씨입니다.
누가 지었는지 이름 참 멋지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35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973
2496 [2016/12/08] 우리말) 스리/쓰리 머니북 2016-12-12 3413
2495 [2016/12/07] 우리말) 중앙일보 만평에 나온 낱말 머니북 2016-12-07 3138
2494 [2016/12/06] 우리말) 손에 장을 지지다 머니북 2016-12-06 4267
2493 [2016/12/05] 우리말) 'I·SEOUL·U'를 아시나요? 머니북 2016-12-05 3844
2492 [2016/12/02] 우리말) '알기쉬운 농업용어 사전' 머니북 2016-12-05 4285
2491 [2016/12/01] 우리말) 붴 머니북 2016-12-05 3512
2490 [2016/11/25] 우리말) 끄물끄물 머니북 2016-11-25 3152
2489 [2016/11/24] 우리말) 공문서를 한글로만 쓰는 것은 합헌 ~^ 머니북 2016-11-25 3769
2488 [2016/11/24] 우리말) 너나들이 머니북 2016-11-25 3168
2487 [2016/11/23] 우리말) 야코죽다 머니북 2016-11-23 3513
2486 [2016/11/22] 우리말) 장도 머니북 2016-11-22 3337
2485 [2016/11/21] 우리말) 낱알/낟알 머니북 2016-11-22 3674
2484 [2016/11/18] 우리말) 개판과 이판사판 머니북 2016-11-19 3609
2483 [2016/11/17] 우리말) 외래어? 머니북 2016-11-18 3199
2482 [2016/11/16] 우리말) 서리 머니북 2016-11-16 3316
2481 [2016/11/15] 우리말) 금배추? 머니북 2016-11-15 3339
2480 [2016/11/14] 우리말) 개좋다? 머니북 2016-11-15 3251
2479 [2016/11/11] 우리말) 조용하세요 머니북 2016-11-12 3397
2478 [2016/11/09] 우리말) 허겁지겁/헝겁지겁 머니북 2016-11-12 3414
2477 [2016/11/08] 우리말) 깨트리다/깨뜨리다 머니북 2016-11-12 4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