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3/20] 우리말) 엊그제

조회 수 3607 추천 수 0 2014.03.20 08:36:17

'엊그저께'의 준말은 '엊그제'입니다. '엇그제'는 지금은 쓰지 않는 옛말입니다.
'엇그제'가 아니라 '엊그제'가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밖에서 일이 있는데 비가 내린다고 해서 걱정입니다.
일 끝날 때까지 비가 안 오면 좋겠습니다. ^^*

그저께 제가 문제를 냈었는데요.
우리말 편지에서 가끔 문제를 내고 선물을 드린다는 것을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시네요. ^^*
앞으로도 때때로 문제를 내서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그저께'는 어제의 앞날입니다.
'엊그저께'는 '어제'와 '그저께'를 합친 낱말로 바로 며칠 전을 뜻합니다.
'엊그저께'의 준말은 '엊그제'입니다. '엇그제'는 지금은 쓰지 않는 옛말입니다.
'엇그제'가 아니라 '엊그제'가 맞습니다.

가끔 문제를 내겠습니다.
며칠 지났다고 까먹지 마시고,
엊그제 본 기억을 되살려서 아름다운 우리말을 잘 지켜나갑시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인상/인하는 값 오름/값 내림으로]

아침에 뉴스를 들으니 열불나는 기사가 있네요.
아파트 분양가 문제인데
'상한제를 적용해 인하 유도'라는 꼭지의 기사입니다.

이렇게 아파트값이 하늘 높을 줄 모르고 오르기만하니...
저는 돈 벌 생각 말고
기사에 나온 낱말이나 좀 조져보겠습니다.

인상, 인하는 일본어투 말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 이미 '값 내림', '값 올림'으로 다듬었습니다.
'상한제를 적용해 인하 유도'를
'상한제를 적용해 값 내리도록'으로 바꾸면 어떨까요?
상한제나 적용도 한자어지만 마땅히 바꿀 낱말이 떠오르지 않네요.

기자님!
국립국어원에서 여러 학자가 모여 일본어투 말을 버리자고 고민해서 다듬은 말이 많습니다.
그런 낱말은 기자님들이 앞장서서 퍼트려야 하는 거 아닌가요?
저 같은 사람 백 명 천 명이 떠드는 것보다,
기자님이 쓰시는 기사 한 줄이 백 배 천 배 낫습니다.
'아파트 가격 인하 유도'보다는,
'아파트 값 어떻게 하면 잡나'가 더 낫지 않을까요?
그래서 기자의 펜은 칼보다 강하다고 하는 게 아닐까요?

그나저나,
이렇게 치솟는 아파트값을 그냥 두면
저는 언제 집다운 집에서 좀 살아보죠?
평생 받는 월급을 한 푼도 안 쓰고 다 모아도 아파트 하나를 살 수 없으니...

그렇지 않아도 치솟는 아파트값 때문에 열 받는데,
일본어투 말까지 판을치니......
오늘 이 화를 어찌 달래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62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198
776 [2013/01/02] 우리말) 제야 머니북 2013-01-02 3264
775 [2011/03/15] 우리말) 꽃샘과 꽃샘추위 moneybook 2011-03-15 3264
774 [2010/04/06] 우리말) 꽃봉오리 id: moneyplan 2010-04-06 3264
773 [2010/06/16] 우리말) 16강은 떼 논 당상 moneybook 2010-06-16 3263
772 [2012/11/19] 우리말) 낙엽과 진 잎 머니북 2012-11-19 3262
771 [2009/02/17] 우리말) 큰 별이 지셨네요 id: moneyplan 2009-02-17 3261
770 [2009/02/13] 우리말) 오늘도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2-13 3261
769 [2011/01/20] 우리말) 우연찮다 moneybook 2011-01-20 3259
768 [2009/09/23] 우리말) 신경 끄다 id: moneyplan 2009-09-23 3258
767 [2014/10/210] 우리말) 비가 그치겠죠? 머니북 2014-10-21 3257
766 [2009/11/24] 우리말) 한말글 이름 잘 짓는 열두 가지 방법 id: moneyplan 2009-11-24 3256
765 [2017/02/08] 우리말) 분수와 푼수 머니북 2017-02-09 3255
764 [2010/05/11] 우리말) 주꾸미 id: moneyplan 2010-05-11 3255
763 [2016/09/02] 우리말) 드레지다 머니북 2016-09-07 3253
762 [2010/05/26] 우리말) 로마자 이름을 왜 쓰는가? id: moneyplan 2010-05-26 3253
761 [2013/07/05] 우리말) 보라 머니북 2013-07-05 3251
760 [2008/01/31] 우리말) 철들다 id: moneyplan 2008-01-31 3251
759 [2014/07/16] 우리말) 담/담장 머니북 2014-07-16 3250
758 [2017/07/27] 우리말) 굴레와 멍에 머니북 2017-07-27 3249
757 [2013/10/16] 우리말) 비거스렁이 머니북 2013-10-16 3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