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4/03] 우리말) 허점

조회 수 3738 추천 수 0 2014.04.03 07:58:47

'허점'은 虛點에서 왔고 [허쩜]으로 읽습니다.
한자와 한자가 만나는 것이므로 비록 뒤에 오는 점을 [쩜]이라 읽어도 사이시옷을 쓰지 않고 '허점'이라 씁니다.

안녕하세요.

뉴스에서 들으니
북한에서 보낸 것으로 보이는 무인 비행기가 서울 상공을 사진 찍고 날아다니다 떨어졌다고 합니다.
이번에는 그게 땅에 떨어졌기에 무슨 사진을 찍었는지 어디를 날아다녔는지 확인할 수 있지만,
떨어지지 않은 게 더 있었는지도 모른다고 합니다.
말 그대로 안보에 허점을 보인 겁니다.
여기저기 잘 찾아봐서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단속을 잘해야겠습니다.

'허점'은 虛點에서 왔고 [허쩜]으로 읽습니다.
한자와 한자가 만나는 것이므로 비록 뒤에 오는 점을 [쩜]이라 읽어도 사이시옷을 쓰지 않고 '허점'이라 씁니다.
초점도 마찬가지입니다. 焦點에서 왔고 [초쩜]이라 읽지만 사이시옷을 쓰지 않고 '초점'이라 씁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사이시옷은 두 낱말이 합쳐질 때 쓰는데,
한자와 한자가 합쳐질 때는 원칙적으로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지만,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만 사이시옷을 씁니다. 
한자와 한자가 합쳐질 때는 딱 6개만 사이시옷을 쓰고, 다른 합성어에는 쓰지 않습니다.

세상을 허점 없이 살 수는 없겠지만,
막을 수 있는 실수는 하지 않으며 사는 것도 세상을 당당하고 떳떳하게 사는 길이 아닐까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초주검이 됐습니다]

드디어 국정감사가 끝났습니다.
국정감사를 받는 모든 기관이
국정감사 몇 달 전부터 거의 모든 일을 멈추고 국정감사만 준비하다시피 합니다.
할 말은 많지만,
우리말편지를 받는 분 중에는 국회의원도 몇 분 계시기에 국감 필요성 이야기는 하지 않겠습니다.

국감이 끝난 뒤,
어젯밤에는 오랜만에 넥타이를 머리에 두르고 흔들어 대며 놀았습니다.
좀 더 나가면 죄없는 화장지를 두르고 노는데...^^*

지난 몇 달 국정감사를 준비하느라 거의 초주검이 됐으나,
이제 정신을 좀 차리고 제 일을 해야겠습니다.

흔히,
몹시 피곤해 거의 다 죽게 된 상태를 말할 때,
'초죽음'이 되었다고 하는데,
이것은 '초주검'을 잘못 쓴 겁니다.

초주검(初--)은 
'두들겨 맞거나 피곤에 지쳐서 거의 다 죽게 된 상태.'를 뜻하는 낱말로,
초주검을 면하다, 누군가를 시켜서 초주검이 되도록 두들겨 패고...처럼 씁니다.

'초죽음'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올라있지 않고,
일부 사전에 '거의 죽게 된 상태'라는 뜻으로 올라있는 경우는 있습니다.
(야후 인터넷 사전에 올라있네요.)
'초죽음'을 표준어로 보더라도 '초주검'과는 뜻이 조금 다릅니다.

국감이 끝났으니 초주검이 된 제 몸을 추슬러 정신부터 좀 차려야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07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622
1916 [2017/06/02] 우리말) 갑질 openmind 2017-06-03 3890
1915 [2017/04/13] 우리말) 데구루루 머니북 2017-04-13 3890
1914 [2016/02/12] 우리말) 어제그저께 머니북 2016-02-12 3889
1913 [2007/11/16] 우리말) 에두르다 id: moneyplan 2007-11-17 3889
1912 [2013/07/01] 우리말) 기상과 기후 머니북 2013-07-01 3888
1911 [2012/07/03] 우리말) 천장과 천정(2) 머니북 2012-07-03 3888
1910 [2011/10/28] 우리말) 입구와 출구 머니북 2011-10-28 3887
1909 [2011/04/15] 우리말) 우리나라와 저희 나라 moneybook 2011-04-15 3885
1908 [2007/10/06] 우리말) 2007년 우리말 지킴이와 헤살꾼 id: moneyplan 2007-10-08 3885
1907 [2011/09/20] 우리말) 떨어뜨리다와 떨구다 머니북 2011-09-20 3884
1906 [2009/09/16] 우리말) 목메다와 목매다 id: moneyplan 2009-09-16 3883
1905 [2008/08/01]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8-01 3883
1904 [2010/03/18] 우리말) 낚지와 낙지 id: moneyplan 2010-03-19 3882
1903 [2008/08/22] 우리말) 용고뚜리와 철록어미 id: moneyplan 2008-08-22 3879
1902 [2012/06/04] 우리말) 선글라스 머니북 2012-06-04 3877
1901 [2010/05/14] 우리말) 접수와 등록 id: moneyplan 2010-05-14 3876
1900 [2007/06/21] 우리말) '몽골어'와 '몽골 어' id: moneyplan 2007-06-21 3875
1899 [2007/03/12] 우리말) 써비스 쎈타는 서비스 센터로 id: moneyplan 2007-03-12 3875
1898 [2009/11/30] 우리말) 축하합니다와 축하드립니다. id: moneyplan 2009-11-30 3874
1897 [2007/07/02] 우리말) 선호가 아니라 좋아함입니다 id: moneyplan 2007-07-02 38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