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4/03] 우리말) 허점

조회 수 3590 추천 수 0 2014.04.03 07:58:47

'허점'은 虛點에서 왔고 [허쩜]으로 읽습니다.
한자와 한자가 만나는 것이므로 비록 뒤에 오는 점을 [쩜]이라 읽어도 사이시옷을 쓰지 않고 '허점'이라 씁니다.

안녕하세요.

뉴스에서 들으니
북한에서 보낸 것으로 보이는 무인 비행기가 서울 상공을 사진 찍고 날아다니다 떨어졌다고 합니다.
이번에는 그게 땅에 떨어졌기에 무슨 사진을 찍었는지 어디를 날아다녔는지 확인할 수 있지만,
떨어지지 않은 게 더 있었는지도 모른다고 합니다.
말 그대로 안보에 허점을 보인 겁니다.
여기저기 잘 찾아봐서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단속을 잘해야겠습니다.

'허점'은 虛點에서 왔고 [허쩜]으로 읽습니다.
한자와 한자가 만나는 것이므로 비록 뒤에 오는 점을 [쩜]이라 읽어도 사이시옷을 쓰지 않고 '허점'이라 씁니다.
초점도 마찬가지입니다. 焦點에서 왔고 [초쩜]이라 읽지만 사이시옷을 쓰지 않고 '초점'이라 씁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사이시옷은 두 낱말이 합쳐질 때 쓰는데,
한자와 한자가 합쳐질 때는 원칙적으로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지만,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만 사이시옷을 씁니다. 
한자와 한자가 합쳐질 때는 딱 6개만 사이시옷을 쓰고, 다른 합성어에는 쓰지 않습니다.

세상을 허점 없이 살 수는 없겠지만,
막을 수 있는 실수는 하지 않으며 사는 것도 세상을 당당하고 떳떳하게 사는 길이 아닐까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7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초주검이 됐습니다]

드디어 국정감사가 끝났습니다.
국정감사를 받는 모든 기관이
국정감사 몇 달 전부터 거의 모든 일을 멈추고 국정감사만 준비하다시피 합니다.
할 말은 많지만,
우리말편지를 받는 분 중에는 국회의원도 몇 분 계시기에 국감 필요성 이야기는 하지 않겠습니다.

국감이 끝난 뒤,
어젯밤에는 오랜만에 넥타이를 머리에 두르고 흔들어 대며 놀았습니다.
좀 더 나가면 죄없는 화장지를 두르고 노는데...^^*

지난 몇 달 국정감사를 준비하느라 거의 초주검이 됐으나,
이제 정신을 좀 차리고 제 일을 해야겠습니다.

흔히,
몹시 피곤해 거의 다 죽게 된 상태를 말할 때,
'초죽음'이 되었다고 하는데,
이것은 '초주검'을 잘못 쓴 겁니다.

초주검(初--)은 
'두들겨 맞거나 피곤에 지쳐서 거의 다 죽게 된 상태.'를 뜻하는 낱말로,
초주검을 면하다, 누군가를 시켜서 초주검이 되도록 두들겨 패고...처럼 씁니다.

'초죽음'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올라있지 않고,
일부 사전에 '거의 죽게 된 상태'라는 뜻으로 올라있는 경우는 있습니다.
(야후 인터넷 사전에 올라있네요.)
'초죽음'을 표준어로 보더라도 '초주검'과는 뜻이 조금 다릅니다.

국감이 끝났으니 초주검이 된 제 몸을 추슬러 정신부터 좀 차려야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2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54
1196 [2013/12/27] 우리말) 눈 덮인 산 머니북 2013-12-27 3496
1195 [2015/03/31] 우리말) 파머 가뭄 지수 머니북 2015-03-31 3494
1194 [2015/01/14] 우리말) 저녁과 저물녘 머니북 2015-01-14 3494
1193 [2014/02/17] 우리말) 높은 난이도? 머니북 2014-02-17 3494
1192 [2009/10/08] 우리말) 씁쓸하다 id: moneyplan 2009-10-08 3494
1191 [2017/04/10] 우리말) 우리글 교양을 높이기 위한 시민강좌 머니북 2017-04-11 3493
1190 [2011/02/09] 우리말) 뉴스 자막 몇 개 moneybook 2011-02-09 3493
1189 [2009/10/13] 우리말) 반죽과 변죽 id: moneyplan 2009-10-13 3493
1188 [2010/08/30] 우리말) 선떡부스러기 moneybook 2010-08-30 3492
1187 [2010/04/29] 우리말) 들고파다 id: moneyplan 2010-04-29 3492
1186 [2014/03/11] 우리말) 어이없다 머니북 2014-03-12 3490
1185 [2013/05/01] 우리말) 4월과 4월달 머니북 2013-05-02 3490
1184 [2013/10/11] 우리말) 엠블렘 머니북 2013-10-11 3490
1183 [2009/06/23] 우리말) 까칠하다와 거칫하다 id: moneyplan 2009-06-23 3490
1182 [2015/04/06] 우리말) 여미다 머니북 2015-04-06 3489
1181 [2008/01/09] 우리말) 속긋 id: moneyplan 2008-01-09 3488
1180 [2016/12/08] 우리말) 스리/쓰리 머니북 2016-12-12 3487
1179 [2012/04/04] 우리말) 서식과 자생 머니북 2012-04-04 3487
1178 [2010/03/16] 우리말) 등쌀과 눈살 id: moneyplan 2010-03-16 3486
1177 [2007/06/18] 우리말) 맏과 맏이 id: moneyplan 2007-06-18 3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