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은 "먼동이 트려 할 무렵"이 맞습니다.
사전 풀이에 "(이른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단위 앞에 쓰여) '오전'의 뜻을 이르는 말."이라는 풀이가 더 들어갔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자정인 밤 12시만 넘으면 '새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침 뉴스를 들으니
어젯밤에 장성에 있는 한 병원에서 불이나 몸이 불편한 어르신을 포함해 21명이 돌아가셨다네요.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언제까지 이런 뉴스를 들어야 하는지 가슴이 미어집니다.

1.
아침에 그 소식을 전하면서 SBS와 MBC 기자가 
"불에 그을린 건물이 보인다."라고 말했습니다.
'그을리다'가 '그을다'의 피동사이므로 제대로 말씀하신 겁니다.
불에 검게 그을려 옆으로 넘어진 채..., 이번 불로 건물 앞쪽이 그을려...처럼 씁니다.

2.
불은 어젯밤 12시 25분쯤 났다고 합니다.
뉴스에서는 '새벽'에 불이 났다고 했습니다.
'새벽'은 "먼동이 트려 할 무렵"이 맞습니다. 요즘으로 치면 아마도 4:30이나 5시쯤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사전 풀이에 "(이른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 단위 앞에 쓰여) '오전'의 뜻을 이르는 말."이라는 풀이가 더 들어갔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자정인 밤 12시만 넘으면 '새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2:01도 새벽이라고 할 수 있고, 4:50도 새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장성에 있는 한 병원에서 난 불은 어젯밤에 났다고 볼 수도 있고,
오늘 새벽에 났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저라면 한밤중에 일어났다고 말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찝찝해요'의 발음]

안녕하세요.

아침부터 무척 춥네요.
오늘도 여러분이 보내주신 편지를 소개하겠습니다.



‘찝찝해요’의 올바른 발음. 
2007년 12월30일 mbc 라디오 시대에서 최유라는 
너무 ‘찝찝해요(찝찝패요)’는 ‘찝찌배요’로 하고 
‘찝찝해’는 ‘찝찝패’로 발음했는데 왜 이것도 ‘찝찌배’로 하시지? 
애가요 그냥 ‘똑똑하네’요를 ‘똑또가네요’로 발음했는데 
이 또한 잘못된 발음이다. 
‘똑똑카네요’라고 해야 바른말이다. 

받침이 
"ㄱ" 다음에 "ㅎ"이 올때는 "ㅋ"으로 발음된다. 
예; 북한=북칸. 국회=국쾨. 급속히=급속키. 급격히=급격키. 공격하라=공격카라 

"ㄷ"다음에 "ㅎ"이 올때는 음운현상이 아닌 구개음화로 인해 "ㅊ"으로 발음된다. 
예; 닫히다=다티다=다ㅅ치다. 받히다=바티다=바ㅅ치다.굳히다=구티다=구ㅅ치다 
다만 '맏형'은 '마' 으로 발음 된다. 

"ㅂ"다음에 "ㅎ"이 올때는 "ㅍ"으로 발음된다. 
예; 확립하여=확닙파여. 용납하지=용납파지. 거듭했고 =거듭패꼬. 급하다=급파다 

"ㅅ" 다음에 "ㅎ"이 올때는 "ㅌ"으로 발음된다. 
예; 잘못한=잘모ㅅ탄. 못하고=모ㅅ타고. 또렷한=또려ㅅ탄. 비롯한=비로ㅅ탄 

"ㅊ"다음에 "ㅎ"이 올때는 "ㅌ"으로 발음된다. 
예; 꽃한송이=꼬ㅅ탄송이 

이와 같이 발음 되는 것을 모든 방송인들이 
‘ㅎ’발음을 모두 글자대로 발음하는데 참으로 이 일을 어찌한단 말인가? 

늘 건강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73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256
1336 [2011/10/17] 우리말) 걸리적거리다와 거치적거리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7 4936
1335 [2011/10/14] 우리말) 휭하니와 힁허케 머니북 2011-10-14 5211
1334 [2011/10/13] 우리말) 연방과 연신 머니북 2011-10-13 4093
1333 [2011/10/12] 우리말)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써야 합니다 머니북 2011-10-12 4343
1332 [2011/10/11] 우리말) ‘넉넉치 않다’가 아니라 ‘넉넉지 않다’가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1 4996
1331 [2011/10/10] 우리말) 어리숙하다와 어수룩하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0 5614
1330 [2011/10/07] 우리말) 손자 더하기 손녀는 손주 머니북 2011-10-07 4413
1329 [2011/10/06] 우리말) 메우다와 메꾸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06 6554
1328 [2011/10/05] 우리말) 먹거리와 먹을거리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05 5123
1327 [2011/10/04] 우리말) 뜨락과 뜰 머니북 2011-10-04 4368
1326 [2011/09/22] 우리말) 더펄이/곰살갑다/구순하다 머니북 2011-09-22 4936
1325 [2011/09/21] 우리말) 한가위에 냈던 문제 머니북 2011-09-22 4107
1324 [2011/09/20] 우리말) 떨어뜨리다와 떨구다 머니북 2011-09-20 3899
1323 [2011/09/19] 우리말) 날개/나래, 냄새/내음 머니북 2011-09-19 6054
1322 [2011/09/16] 우리말) 괴발개발과 개발새발 머니북 2011-09-16 4012
1321 [2011/09/15] 우리말) ~길래와 ~기에 머니북 2011-09-15 5063
1320 [2011/09/14] 우리말) 허섭스레기도 맞고 허접쓰레기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14 4654
1319 [2011/09/09] 우리말) 세간도 맞고 세간살이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9 4892
1318 [2011/09/08] 우리말) 복사뼈도 맞고 복숭아뼈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8 4835
1317 [2011/09/07] 우리말) 묏자리도 맞고 묫자리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8 4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