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6/17] 우리말) 사과탕

조회 수 3412 추천 수 0 2014.06.17 10:00:44

사과탕이 뭔지 아시나요?
과일 사과를 넣고 끓인 탕이 아니고요,
소뼈 도가니아롱사태허파꼬리 이렇게 네 가지를 넣고 끓여서 만든 곰국을 이르는 이름씨(명사)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7시가 되기 전에 일터에 나왔음에도 이것저것 챙기다 보니 이제야 컴퓨터 앞에 앉았습니다.
벌써 배가 고프네요. ^^*

오늘은
며칠 전에 작은 일 하나 치르면서 고생하신 일터 동료들과 함께할 생각입니다.
사과탕을 먹을까 생각 중입니다.

사과탕이 뭔지 아시나요?
과일 사과를 넣고 끓인 탕이 아니고요,
소뼈 도가니아롱사태허파꼬리 이렇게 네 가지를 넣고 끓여서 만든 곰국을 이르는 이름씨(명사)입니다.

제가 존경하고 사랑하는 동료와 함께 맛있게 먹고 힘내서 더 열심히 일하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
부치다와 붙이다]

안녕하세요.

아침 뉴스를 보니
초등학교부터 영어로 가르치게 하겠다는 '영어 몰입 교육계획을 인수위에서 거둬들였군요.
설익은 정책을 내 놓은 것은 큰 잘못이지만,
지금이라도 바로잡아줘서 고맙습니다.

인수위에서 밝힌 초등학교부터 영어로 교육하겠다는 정책을 보고
'
미친 짓'이라고 거칠게 쏴 댄 것을
저도 거두어 들입니다.

이제는
조직개편 계획 가운데 잘못된 것을 바로잡아 주시기 바랍니다.
늦었다고 볼 때가 가장 빠르다고 했습니다.
지금이라도 1차산업 연구분야 민영화 정책을 거둬들이시기 바랍니다.

아침부터 기분 좋은 소식을 들으니 오늘 하루도 즐거울 것 같습니다. ^^*

지금 쓰고 있는 이 우리말 편지를 여러 가지로 쓰시는 것 같네요
좋습니다맘껏 쓰십시오. ^^*

어떤 분은 우리말편지를 맞춤법 검사기에 넣어서 돌려보신다더군요.
그래서 틀린 곳이 나오면 바로 연락주시고... 그리고 선물 받으시고...^^*

아래에 가시면 맞춤법검사를 하실 수 있습니다.
http://164.125.36.47/urimal-spellcheck.html
공짜니 맘껏 쓰십시오. ^^*

어떤 분이 어제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를 그곳에서 돌려보니 틀린 게 있다고 보내오셨네요.
그게 바로 '편지를 붙이다'입니다.

예전에 보내드리긴 했지만
오늘 다시 부치다와 붙이다를 갈라볼게요.
'
부치다' '붙이다' [부치다]로 소리가 같습니다그래서 더 헷갈립니다. ^^*

쉽게 가르는 방법은,
두 면을 딱 붙게 만들다는 뜻이나 어디에 뭔가를 더한다는 뜻이 있으면 '붙이다'를 쓰고,
그런 뜻이 없으면 '부치다'를 쓴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편지에 우표를 '붙여'서 우체국에서 '부치'는 것이 맞죠.

어제 편지에서는 
한글학회 연구원님이 보내주신 편지를 우리말편지에 '붙여'(더해서보내드린 겁니다.

다만,
맞춤법 검사기에서는
'
편지'가 나오고 뒤에 '붙이다'가 오니까
'
편지 부치다'로 봐서 틀렸다고 한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어제 보내드린 문제의 답은 '맞돈'입니다.
'
맞돈'은 제가 억지로 만든 낱말이 아니라 사전에 있는 낱말입니다.
이런 좋은 낱말은 일부러라도 기회를 만들어서 쓰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06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629
936 [2008/01/03] 우리말) 풋낯 id: moneyplan 2008-01-03 3389
935 [2007/06/05] 우리말) 최대값과 최댓값 id: moneyplan 2007-06-05 3389
934 [2015/05/21] 우리말) 사전에 이런 말도... 머니북 2015-05-26 3388
933 [2012/11/09] 우리말) 내년부터 한글날 쉽니다(2) 머니북 2012-11-09 3388
932 [2011/04/05] 우리말) 기름값 인하 moneybook 2011-04-05 3388
931 [2010/10/19] 우리말) 끼적이다 moneybook 2010-10-19 3388
930 [2011/01/24] 우리말) 모포와 담요 openmind 2011-01-24 3387
929 [2009/11/11] 우리말) 군자삼변 id: moneyplan 2009-11-11 3387
928 [2012/11/29] 우리말) 지르신다 머니북 2012-11-29 3386
927 [2011/03/02] 우리말) 파워 스폿 moneybook 2011-03-02 3386
926 [2010/12/22] 우리말) 못 잊다 moneybook 2010-12-22 3386
925 [2012/01/03] 우리말) 난이도와 난도 머니북 2012-01-03 3385
924 [2008/09/16] 우리말) 햇빛은 해가 비치는 밝음의 정도고... id: moneyplan 2008-09-16 3385
923 [2014/05/27] 우리말) 그을리다와 그슬리다 머니북 2014-05-27 3383
922 [2011/04/05-2] 우리말) 잔불과 뒷불 moneybook 2011-04-05 3383
921 [2008/03/06] 우리말) 양식이 아니라 서식입니다 id: moneyplan 2008-03-06 3383
920 [2013/07/26] 우리말) 양반다리와 책상다리 머니북 2013-07-29 3382
919 [2009/11/06] 우리말) 명조체와 바탕체 id: moneyplan 2009-11-06 3382
918 [2009/01/20] 우리말) 쾨쾨하다와 쾌쾌하다 id: moneyplan 2009-01-20 3382
917 [2008/12/03] 우리말) 찾다와 뒤지다 id: moneyplan 2008-12-04 3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