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6/18] 우리말) 하룻강아지

조회 수 3390 추천 수 0 2014.06.18 10:43:48

흔히 장작을 '뽀개다'라는 말을 쓰는데, 이는 '빠개다'가 바른 말입니다.
장작을 빠개다, 머리가 빠개질 듯 아프다처럼 씁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학술위원의 글을 함께 읽고자 합니다.


하룻강아지

흔히 사회적 경험이 적고 자신의 얕은 지식만을 가지고 덤벼드는 사람을 가리켜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고 한다. 이 속담에는 ‘하룻강아지’가 등장하는데, 언뜻 보면 태어난 지 하루밖에 안 된 강아지로 오해할 수 있다. 그러나 아무리 속담이라도 그렇지, 갓 태어나서 눈도 못 뜨고 제대로 서지도 못하는 강아지가 범에게 덤빌 리는 만무하다. 이 ‘하룻강아지’의 ‘하룻’은 날짜를 헤아리는 그 ‘하루’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

옛날 우리 선조들은 소나 말, 개 등과 같은 가축의 나이를 ‘하릅, 이듭, 사릅, 나릅, 다습, 여습’ 들처럼 세었다. 이때의 ‘하릅’은 한 살을 뜻하므로, 한 살 먹은 개를 ‘하릅강아지’라 하였고, 이 말이 오늘날 ‘하룻강아지’로 변하여 내려온 것이다. 그러므로 '하룻강아지'는 태어난 지 하루 되는 강아지가 아니라, 이미 한 살이 된 개를 일컫는 말인 셈이다. 개는 태어나서 일 년쯤 지나면 견문은 모자라지만 힘은 넘칠 때라, 범이 얼마나 무서운 줄도 모르고 천방지축 까부는 모습이 쉽게 그려진다.

송아지나 망아지도 나이가 한 살이 되면 각각 ‘하릅송아지’, ‘하릅망아지’라고 한다. 뿐만 아니라 한해살이풀을 평안도에서는 아직도 ‘하릅나무’라고 하니, ‘하릅, 이듭(또는 ’두습‘), 사릅, 나릅, 다습, 여습’ 들과 같은 우리말들을 쉽게 잊을 일이 아니다. 눈에 보이는 것만이 우리가 지켜 나가야 할 문화재의 모두가 아니라는 사실을 되새겨야 한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철들다]

안녕하세요.

어제저녁에 한 후배를 만났는데 참 좋은 이야기를 해 주더군요.
"오늘 아침 편지는 형답지 않았다. 차분하게 글을 써야 했는데, 감정이 들어간 것 같았다."라는 말이었습니다.
대 놓고 이야기하지는 않았지만,
나이 사십이 넘었으면 이제 철 좀 들어야 한다는 말 같았습니다.
부끄럽고 창피하더군요.

한 이십 년쯤 전에 있었던 유행어가 생각납니다.
"친구야, 너 포항제철에서 전화 왔더라."
"왜?"
"응, 너 철 좀 드라고..." ^^*
기억나시죠?

"친구야, 너 울릉도에서 전화 왔더라."
"왜?"
"응, 너 엿먹으라고..." ^^*
뭐 이런 거였습니다.

철은 쇠를 뜻하기도 하지만,
"사리를 분별할 수 있는 힘"을 뜻하기도 합니다.
철이 들다, 아이들이 철이 너무 없다처럼 씁니다.

어떤 분은 '철'을
"자연의 이치를 아는 힘"이라고 하셨습니다.
그 말이 맞는 것 같습니다.
사랑하는 후배 상봉아!
철들지 않고 지금처럼 물색없이 새롱거리면 안 된다고 충고해 준 사랑하는 후배야.
고맙다. ^^*

나이가 들수록 가는 세월의 속도가 빠른 것처럼 느낀다고 하죠?
벌써 올 1월의 마지막 날입니다.
아무쪼록 좋은 일만 많이 생기시고,
웃고 까불 수 있는 재밌는 일만 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29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829
2036 [2009/10/29] 우리말) 야코죽다 id: moneyplan 2009-10-29 3329
2035 [2010/02/22] 우리말) 우와기와 한소데 id: moneyplan 2010-02-22 3329
2034 [2013/11/20] 우리말) 주의와 주위 머니북 2013-11-20 3329
2033 [2013/09/2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9-25 3329
2032 [2008/06/28] 우리말) 그냥 제 아들 이야기입니다 id: moneyplan 2008-06-30 3330
2031 [2012/06/13] 우리말) 맞춤법 설명자료 file 머니북 2012-06-13 3330
2030 [2014/04/01] 우리말) 사랑과 촌스럽다 머니북 2014-04-01 3330
2029 [2013/04/29] 우리말) 어려운 보도자료 머니북 2013-04-29 3331
2028 [2010/08/04] 우리말) 비가 내리네요 moneybook 2010-08-04 3332
2027 [2012/05/22] 우리말) 군에서 따까리, 시다바리 따위 말 안 쓴다 머니북 2012-05-22 3332
2026 [2016/05/30] 우리말) 스크린 도어 -> 안전문 머니북 2016-05-30 3332
2025 [2010/06/18] 우리말) 승리욕과 승부욕 moneybook 2010-06-18 3333
2024 [2010/08/05] 우리말) 물쿠다 moneybook 2010-08-05 3333
2023 [2013/04/12] 우리말) 살지다와 살찌다 머니북 2013-04-12 3333
2022 [2010/09/08] 우리말) 비껴가다 moneybook 2010-09-08 3334
2021 [2015/12/21] 우리말) 예쁘다/이쁘다 머니북 2015-12-21 3334
2020 [2013/11/29] 우리말) 오구탕 머니북 2013-11-29 3335
2019 [2010/11/02] 우리말) 가치와 개비 moneybook 2010-11-02 3336
2018 [2015/06/08] 우리말) 사춤 머니북 2015-06-09 3336
2017 [2010/05/26] 우리말) 로마자 이름을 왜 쓰는가? id: moneyplan 2010-05-26 3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