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6/24] 우리말) 체신과 채신

조회 수 3299 추천 수 0 2014.06.24 08:52:32

이 처신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 채신입니다.
채신을 體身에서 온 말로 생각하고 '체신'이라고 쓰는 때도 있으나 이는 틀립니다.
채신머리처럼 쓰는 게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부터는 더위가 올 거라고 하죠? 
여름이니까 더워야 정상이겠죠. 무더운 더위를 잘 즐기시기 바랍니다. ^^*

요즘 부쩍 몸가짐에 대한 생각을 자주 합니다.
저와는 사는 세계가 다른 높으신 분들을 보면서….

세상을 살아가는 데 가져야 할 몸가짐이나 행동을 처신이라고 합니다. 處身이라는 한자입니다.
처신이 바르다, 처신을 잘해야 남에게 귀염을 받는다처럼 쓰고
움직씨(동사) '처신하다'로 써 신중하게 처신하자, 올바로 처신해야 한다처럼 씁니다.

이 처신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 채신입니다.
채신을 體身에서 온 말로 생각하고 '체신'이라고 쓰는 때도 있으나 이는 틀립니다.
채신머리처럼 쓰는 게 바릅니다.

살면서 늘 바른 처신만 하고 살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바른 생각을 하고 옳은 길을 가려고 애쓰며 살아야 한다고 봅니다.
적어도 채신머리없다는 말은 안 들어야 하지 않을까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설빔 준비하셨나요?]

안녕하세요.

오늘 고향에 가시나요?
저는 오늘 저녁에 버스 타고 광주로 갑니다. ^^*

설빔 준비하셨어요?

설빔이 뭔지 아시죠?
"설을 맞이하여 새로 장만하여 입거나 신는 옷, 신발 따위를 이르는 말"입니다.
"명절이나 잔치 때에 새 옷을 차려입음. 또는 그 옷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 '빔'이니
설빔은  설에 입는 새 옷을 뜻합니다.

'진솔'이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옷이나 버선 따위가 한 번도 빨지 않은 새것 그대로인 것"을 뜻하죠.
'짓것'도 "새로 지어서 한 번도 빨지 아니한 첫물의 옷이나 버선"으로 뜻이 비슷합니다.
'짓옷'도 마찬가지입니다.

반대로,
제가 제 애들에게 잘 챙겨주는
남이 쓰다가 물려준 물건이나 옷은 '대추'라고 합니다.

짓것이건 대추건 잘 입어서 
해지고 낡아 입지 못하게 된 옷 따위를 통틀어 '뜯게'라고 합니다.

그저 쉽게 생각하는 입는 옷 하나에게 이름이 참 많죠? 

고맙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성제훈 올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8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406
736 [2014/07/29] 우리말) 안전하지 않은 안전사고 머니북 2014-07-29 3339
735 [2012/04/30] 우리말) 전기요금 머니북 2012-04-30 3339
734 [2012/03/09] 우리말) 전단지 머니북 2012-03-09 3339
733 [2014/03/06] 우리말) 뒤돌아보다/되돌아보다(2) 머니북 2014-03-06 3337
732 [2012/10/29] 우리말) 가마리 머니북 2012-10-29 3337
731 [2012/01/06] 우리말) 차례 상 차리기 머니북 2012-01-06 3337
730 [2016/04/27] 우리말) 에누리와 차별 머니북 2016-04-29 3336
729 [2014/07/29] 우리말) 맨드리 머니북 2014-07-29 3335
728 [2012/11/14] 우리말) 올겨울과 이번겨울 머니북 2012-11-15 3335
727 [2010/12/14] 우리말) 좨기 moneybook 2010-12-14 3335
726 [2017/02/08] 우리말) 분수와 푼수 머니북 2017-02-09 3334
725 [2014/06/18] 우리말) 하룻강아지 머니북 2014-06-18 3333
724 [2009/07/30] 우리말) 엉이야벙이야 id: moneyplan 2009-07-30 3333
723 [2014/10/210] 우리말) 비가 그치겠죠? 머니북 2014-10-21 3332
722 [2010/05/13] 우리말) 삐끼 id: moneyplan 2010-05-13 3332
721 [2016/03/23] 우리말) 손목시계 머니북 2016-03-23 3331
720 [2014/07/16] 우리말) 담/담장 머니북 2014-07-16 3331
719 [2013/04/18] 우리말) 지며리 머니북 2013-04-18 3330
718 [2009/11/13] 우리말) 레바가 아니라 손잡이 id: moneyplan 2009-11-13 3330
717 [2009/01/02] 우리말) 고드름장아찌 id: moneyplan 2009-01-02 3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