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6/25] 우리말) 끌탕

조회 수 3118 추천 수 0 2014.06.26 08:31:38

속을 태우거나 속을 끓인다고 생각해서 '끓탕'이라고 쓰는 분을 봤습니다.
'끌탕'이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시간이 흐르고 흘러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벌써 70일이 넘었습니다.
아직도 11명이나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가족은 얼마나 속을 태우고 있을까요. 아마 당해보지 않은 사람은 감히 상상도 못 할 마음고생일 겁니다.

"속을 태우는 걱정"을 '끌탕'이라고 합니다.
누가 끌탕 중인지 모른다처럼 씁니다.

속을 태우거나 속을 끓인다고 생각해서 '끓탕'이라고 쓰는 분을 봤습니다.
끌탕이 바릅니다.

그러나 오늘만은 끓탕으로 쓰고 싶습니다.
실종자 가족들은 속을 끓이고 있을 테니까요. 아니 어쩌면 속이 까맣게 타서 끓일 수도 없을지 모르겠습니다.

내 일이 아니라서 그런지 아니면 애써 눈을 돌려서 그런지 조금씩 잊고 있습니다.
자주 웃으면서 즐겁게 사는 것도 좋지만,
끌탕하는 사람도 생각하면서 지내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조문기 선생님의 빈소]

안녕하세요.

설 잘 보내셨나요?

어젯밤에 숭례문이 다 타버렸습니다.
어쩌다 이런 어처구니없는 일이 있어났는지 모르겠습니다.
어젯밤에 텔레비전을 보는데 너무 안타까워서 어찌할 바를 모르겠더군요.
문화재는 한번 없어지면 그 가치를 다시 살려낼 수 없는 것인데...
너무나 가슴이 아픕니다.

가슴 아픈 일이 또 있었습니다.
설을 이틀 앞두고 민족문제연구소 조문기 이사장님이 돌아가셨네요.
평생을 우리나라 독립을 위해 힘쓰셨고, 최근에는 친일인명사전을 만드는 데 온 힘을 쓰신 분입니다.

저는 어제도 일터에 나와서 조직개편 관련 자료를 만드느라 미처 빈소나 분향소에 들르지 못했습니다.
그저 마음으로만 고인의 명복을 빌었습니다.
오늘이 발인인데 천국에서 편히 잠드시길 빕니다.

언젠가 우리말편지에서 소개했는데 
오늘도 빈소와 분향소의 차이를 알아볼게요.

'빈소'는,
"상여가 나갈 때까지 관을 놓아두는 방"으로
조문기 선생님의 빈소는 서울대학교 병원입니다.
사람이 죽으면 빈소는 한 군데밖에 없습니다.

'분향소'는,
"영정을 모셔놓고 향을 피우면서 돌아가신 분을 기리는 곳"으로,
여기저기에 많이 차릴 수 있습니다.

설 이틀 전에 돌아가셔서 분향소가 많지는 않겠지만
우리나라 얼을 되찾고 기리는데 한뉘를 바치신 선생님의 뜻은 
굳이 분향소를 찾지 않아도 많은 사람의 가슴속에 오래 남을 겁니다.

거듭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하늘에서 큰 별 두 개가 떨어진 느낌입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빈소'는 사전에 있으나
'분향소'는 사전에 오르지 못한 낱말입니다.
'분향'만 올라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7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08
2376 [2014/10/13] 우리말) 왠/웬 머니북 2014-10-13 4804
2375 [2017/11/01] 우리말) 비명과 환호성 머니북 2017-11-06 4801
2374 [2015/06/05] 우리말) 먼지잼/애급과 출애굽기 머니북 2015-06-05 4798
2373 [2007/02/01] 우리말) 명조 --> 바탕, 고딕 --> 돋움 id: moneyplan 2007-02-01 4793
2372 [2011/11/30] 우리말) 두째와 둘째 머니북 2011-11-30 4788
2371 [2013/11/14] 우리말) 날짜 헤아리기 머니북 2013-11-14 4779
2370 [2007/04/13] 우리말) 씨 띄어쓰기 id: moneyplan 2007-04-13 4768
2369 [2013/03/1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3-14 4761
2368 [2011/06/24] 우리말) 휘달리다 머니북 2011-06-24 4761
2367 [2011/05/18] 우리말) 치근대다와 지분거리다 moneybook 2011-05-18 4760
2366 [2008/02/22] 우리말) 득돌같다와 득달같다 id: moneyplan 2008-02-22 4754
2365 [2006/11/29] 우리말) '메모지'가 아니라 '적바림'입니다 id: moneyplan 2006-11-30 4747
2364 [2011/05/19] 우리말) 꽃 moneybook 2011-05-19 4744
2363 [2015/11/25] 우리말) 치르다/치루다 머니북 2015-11-25 4738
2362 [2006/12/26] 우리말) '저축하다'는 뜻의 순우리말은 '여투다'입니다 id: moneyplan 2006-12-26 4736
2361 [2011/09/02] 우리말) 간질이다와 간지럽히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2 4730
2360 [2007/01/05] 우리말) 황당/당황/깜짝 놀라다 id: moneyplan 2007-01-05 4721
2359 [2007/01/19] 우리말) 외교부가 하는 꼬라지 하고는... id: moneyplan 2007-01-19 4702
2358 [2009/01/16] 우리말) 한올지다 id: moneyplan 2009-01-16 4692
2357 [2007/08/23] 우리말) 갖바치 내일 모레 id: moneyplan 2007-08-23 46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