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7/07] 우리말) 사리

조회 수 3370 추천 수 0 2014.07.07 09:22:38

“모밀국수 사리 주세요!”는 “메밀국수 한 사리 주세요!”로 말해야 바른 표현이 된다.

안녕하세요.

오늘이 소서라고 합니다. 여름이니까 더워야 제맛이겠죠? ^^*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읽겠습니다.

모밀국수 사리 주세요!_성기지 학술위원

더운 날씨에 많이 찾게 되는 음식 가운데, ‘모밀국수’라 불리는 국수가 있다. 대나무 발에 받친 면을 살얼음 동동 띄운 육수에 담갔다 먹는 그 시원한 맛! 그러나 ‘모밀국수’는 ‘메밀국수’라고 해야 맞다. ‘모밀’과 ‘메밀’은 모두 우리말로서, 이 가운데 ‘메밀’이 오늘날 표준말로 정착하였고, 주로 평안도와 황해도 지방에서 쓰이던 ‘모밀’은 방언으로 남아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모밀묵이나 모밀떡 들과 같은 말들도 모두 메밀묵, 메밀떡으로 써야 한다.

면을 더 주문할 때, “사리 좀 주세요!”라고 하는 것은 올바른 말이 아니다. ‘사리’는 국수를 동그랗게 감아놓은 뭉치를 세는 단위이지, 국수 자체를 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밥 한 그릇, 두 그릇 하고 세듯이, 국수 한 사리, 두 사리 하고 세는 것이다. “모밀국수 사리 주세요!”는 “메밀국수 한 사리 주세요!”로 말해야 바른 표현이 된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빚쟁이]

안녕하세요.

아침에 안개가 짙게 끼었네요.
해가 떴으니 이 안개도 곧 걷히겠죠?
안개가 걷히는 것처럼 안갯속 정국도 걷히길 빕니다.
다행히 오늘쯤 정부조직개편이 마무리될 것 같네요.

오늘도 그렇지만,
가끔은 아침에 일터에 나오면서 그날 쓸 우리말편지 주제가 떠오르지 않은 때가 있습니다.
오늘처럼 이렇게 컴퓨터를 켜고 자리에 앉아 있어도 우리말 글감이 떠오르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이제는 그런 날은 부담없이 하루쯤 건너뛰고자 합니다. 너무 빠듯하지 않게... 조금은 느슨하게...^^*

오늘처럼 편지를 억지로 써야 할 때는 제가 무슨 빚쟁이라도 된 느낌입니다.
빚쟁이... 이 낱말도 참 재밌는 말입니다.

빚쟁이가 뭐죠?
남에게 돈을 빌려서 언젠가는 갚아야 할 사람이죠?
남에게 갚을 빚이 있는 사람을 낮잡아 빚쟁이라고 합니다.
소를 키우다 하루아침에 빚쟁이가 된 농민처럼 씁니다.

또,
이 빚쟁이는
남에게 돈을 빌려 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기도 합니다.
그는 빚 독촉에 못 이겨 집을 빚쟁이에게 넘기고 말았다처럼 씁니다.

재밌죠?
한 낱말이 반대되는 뜻을 가지고 있잖아요.

언젠가 소개해드린 '에누리'도 이런 낱말입니다.
물건을 팔 사람이 제값보다 낮게 부르는 것도 에누리고,
물건을 팔 사람이 제값보다 높게 부르는 것도 에누리입니다.

따라서
사과를 에누리해서 판다고 하면,
제값보다 높게 바가지를 씌운다는 뜻도 되고
제값보다 낮게 깎아준다는 뜻도 있습니다.

빚쟁이와 에누리로 이렇게 하루를 또 때웁니다.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빚쟁이가 
빚을 진 사람인지, 빚을 받을 사람인지 헷갈리시면,
'빚꾸러기'라는 낱말을 써 보세요.
"빚을 많이 진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입니다.
빚쟁이는 빚을 받을 사람,
빚꾸러기는 빚을 진 사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03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561
2456 [2007/05/09] 우리말) 천벌 받을... id: moneyplan 2007-05-09 4045
2455 [2007/05/10] 우리말) 가슴을 에이는이 아니라 에는 id: moneyplan 2007-05-10 3532
2454 [2007/05/11] 우리말) 아이들이 이리저리 피해 달아나며 뛰노는 장난 id: moneyplan 2007-05-11 3690
2453 [2007/05/14] 우리말) '생채기'는... id: moneyplan 2007-05-14 4390
2452 [2007/05/15] 우리말) 손수 만든 꽃? id: moneyplan 2007-05-15 3496
2451 [2007/05/16] 우리말) 바리캉, 포클레인, 제록스, 스카치테이프, 나일론, 무스, 본드, 스티로폼 id: moneyplan 2007-05-16 5448
2450 [2007/05/17] 우리말) 하양과 하얀색 id: moneyplan 2007-05-17 3802
2449 [2007/05/18] 우리말) 고마움과 감사 id: moneyplan 2007-05-18 3992
2448 [2007/05/21] 우리말) 보라 id: moneyplan 2007-05-21 3815
2447 [2007/05/22] 우리말) 보릿고개와 총체보리 id: moneyplan 2007-05-22 3504
2446 [2007/05/23] 우리말) 자린고비 id: moneyplan 2007-05-23 3489
2445 [2007/05/25] 우리말) 머드러기와 지스러기 id: moneyplan 2007-05-28 3736
2444 [2007/05/28] 우리말) 바리바리 싸 주신... id: moneyplan 2007-05-28 3493
2443 [2007/05/29] 우리말) 일 뒤에도 점을 찍어야 합니다 id: moneyplan 2007-05-29 3438
2442 [2007/05/30] 우리말) 세리머니가 아니라 뒤풀이입니다 id: moneyplan 2007-05-30 3631
2441 [2007/05/31] 우리말) 건하다와 거나하다 id: moneyplan 2007-05-31 3547
2440 [2007/06/01] 우리말) 맹세와 다짐 id: moneyplan 2007-06-01 3514
2439 [2007/06/01] 우리말) 쌩얼과 민낯 id: moneyplan 2007-06-01 3439
2438 [2007/06/04] 우리말) 간인과 사잇도장 id: moneyplan 2007-06-04 4099
2437 [2007/06/05] 우리말) 최대값과 최댓값 id: moneyplan 2007-06-05 3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