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7/15] 우리말) 강담/죽담

조회 수 3022 추천 수 0 2014.07.15 09:44:40

우리말에 "흙을 쓰지 아니하고 돌로만 쌓은 담"을 '강담'이라고 합니다.
막돌에 흙을 섞어서 쌓은 돌담은 '죽담'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집을 옮기려면 사흘 남았네요. ^^*
전주에 새집을 지으면서 담을 만들지 않았습니다.
첫 생각은 소통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만들지 않겠다는 것이었지만,
아내가 무서워하면 애들과 힘을 합쳐 작은 담을 만들어볼 생각입니다.

담은 목장 울타리처럼 나무를 써서 만들 생각입니다. 그래야 애들과 같이 담을 만들면서 추억을 쌓을 수 있을 것 같아서요.
우리말에 "흙을 쓰지 아니하고 돌로만 쌓은 담"을 '강담'이라고 합니다.
막돌에 흙을 섞어서 쌓은 돌담은 '죽담'이라고 합니다.
예전에는 이렇게 돌이나 흙으로 담을 쌓았죠.

풀이나 나무 따위를 얽거나 엮어서 담 대신에 경계를 지어 막는 물건을 '울타리'라고 하는데요.
지금 전주에 있는 집은 담이나 울타리 없이 그냥 빨랫줄만 걸쳐 놨습니다. ^^*

집을 지어놓고
한꺼번에 다 고치려고 하지 않겠습니다.
애들과 같이 하나하나 만들어가고자 합니다.
담도 애들과 같이 만들고, 마당에 잔디도 애들과 같이 깔고, 나무에 색칠하는 것도 애들과 같이할 겁니다.
좀 삐뚤어져도 좋습니다. 애들과 함께하는 추억이 깃들어 있다면 어설픈 것도 괜찮다고 봅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떡 도르라면 덜 도르고 말 도르라면 더 도른다]

안녕하세요.

눈이 참 포근하게 내리네요. ^^*

어제 드디어 이명박 님이 대통령이 되셨습니다.
앞으로 5년, 이 나라를 잘 이끌어 주시길 빕니다.

우리 익은말(속담)에
"떡 도르라면 덜 도르고 말 도르라면 더 도른다"는 게 있습니다.
'도르다'에 "몫을 갈라서 따로따로 나누다"는 뜻이 있기에
먹기 좋은 떡은 떼고 남에게 주고, 남 흉보기 좋은 말은 더해서 전한다는 뜻입니다.
곧, 남의 말을 소문내기 좋아한다는 뜻이겠죠.

아무쪼록 이명박 대통령께서
좋은 정책을 펴서 백성 모두에게 골고루 행복을 돌라 주시길 빕니다.

'도르다'에는 "그럴듯하게 말하여 남을 속이다."는 뜻도 있습니다.
가만있던 나를 살살 돌라서 거금을 투자하게 만들었다처럼 씁니다.

이명박 대통령께서 
백성을 살살 돌라 어벌쩡하게 나라를 이끌지 마시고,
나볏하게 이끌어 짐벙지게 행복을 돌라 주시길 빕니다.
(나볏하다 : 몸가짐이나 행동이 반듯하고 의젓하다.)
(짐벙지다 : 신명지고 푸지다.)

그래서 오 년 내내 백성 누구나 홈홈하고 훔훔하게 만들어 주시길 빕니다.
(홈홈하다 : 얼굴에 흐뭇한 표정을 띠고 있다. )
(훔훔하다 : 홈홈하다의 큰말)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02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585
1976 [2011/03/25] 우리말) 비릊다 moneybook 2011-03-25 3255
1975 [2013/06/19] 우리말) 버벅거리다 머니북 2013-06-19 3255
1974 [2014/06/23] 우리말) 허전거리다 머니북 2014-06-23 3255
1973 [2010/07/05] 우리말) 무척 덥다 moneybook 2010-07-05 3256
1972 [2011/01/03] 우리말) 장애인과 불구 moneybook 2011-01-03 3256
1971 [2015/10/08] 우리말) 우리말로 학문하기 머니북 2015-10-13 3256
1970 [2009/08/15] 우리말) 광복절 맞아 김영조 소장님의 글을 소개합니다 id: moneyplan 2009-08-17 3257
1969 [2010/11/02] 우리말) 가치와 개비 moneybook 2010-11-02 3257
1968 [2011/02/07] 우리말) 매듭 moneybook 2011-02-07 3257
1967 [2012/02/03] 우리말) 춤 머니북 2012-02-03 3257
1966 [2012/10/29] 우리말) 가마리 머니북 2012-10-29 3258
1965 [2012/11/14] 우리말) 올겨울과 이번겨울 머니북 2012-11-15 3258
1964 [2010/06/09] 우리말) 리터의 단위 moneybook 2010-06-09 3259
1963 [2015/04/28] 우리말) 초등 교과서에 한자 병기가 필요 없는 이유 머니북 2015-04-28 3259
1962 [2010/04/23] 우리말) 종자의 소중함과 라일락 꽃 id: moneyplan 2010-04-23 3260
1961 [2014/07/07] 우리말) 사리 머니북 2014-07-07 3260
1960 [2016/06/30] 우리말) 밥사발, 술사발, 국사발, 죽사발 머니북 2016-07-06 3260
1959 [2010/12/23] 우리말) 참모습 moneybook 2010-12-23 3261
1958 [2011/02/10] 우리말) 뜻밖에 moneybook 2011-02-10 3262
1957 [2013/04/12] 우리말) 살지다와 살찌다 머니북 2013-04-12 3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