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7/23] 우리말) 무등/목마/목말

조회 수 3530 추천 수 0 2014.07.23 08:49:08

애들을 목 뒤에 올리는 것은
'무등'이나 '목마'가 아니라 '목말'이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요즘 식구와 떨어져 삽니다.
애들은 전주 집에 있고, 저는 회사가 아직 옮기지 않아서 8월 말까지 수원에 있어야 합니다.
덕분에(?) 날마다 찜질방에서 찜질 잘하고 있습니다. ^^*

조금 전에 애들과 영상통화를 했습니다.
애들은 벌써 일어나 마당에서 흙 놀이하고 있더군요. 전주는 비가 오지 않나 봅니다. 

애들 어릴 때 무등을 자주 태워줬던 기억이 납니다.
애를 번쩍 들어 제 목 뒤로 애들 다리를 벌려 올리는 거죠.
저는 조금 힘들지만 애들은 무척 좋아했던 기억이 납니다.

애들 다리를 벌려 남의 어깨에 올리는 것을 '무등'이라고 하는데요. 
실은 '무등'은 '목말'의 사투리입니다.
그리고 '목말'도 '목마'라고 하면 틀립니다. '목마'는 트로이 목마에 나오는 나무로 깎아 만든 말입니다.

정리하면,
애들을 목 뒤에 올리는 것은
'무등'이나 '목마'가 아니라 '목말'이 바릅니다.

오늘따라 부쩍 지안이를 목말 태우고 싶네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내디딘과 내듣은]

안녕하세요.

새 정부가 들어선지 딱 1주일이 지났네요.
장관 인사로 첫발을 내디딘 새 정부가 국정을 잘 추슬러 주길 빕니다.

무엇을 시작하거나, 새로운 범위 안에 처음 들어서다는 뜻의 낱말은 '내디디다'입니다.
준말이 '내딛다'입니다.
민주화의 힘찬 발걸음을 내디디다, 사회에 처음으로 발을 내디딜 예비 직장인들이다처럼 씁니다.
이렇게 내 디디다를 쓰면 별로 헷갈리지 않는데,
준말인 내딛다를 쓰면 헷갈립니다.

첫발을 내딛은 정부, 첫발을 내디딘 정부...어떤 게 맞지?

맞춤법 규정을 좀 보죠.
규정 제16항에
"준말과 본말이 다 같이 널리 쓰이면서 준말의 효율이 뚜렷이 인정되는 것은 두 가지를 모두 표준어로 삼는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머무르다/머물다, 서두르다/서둘다가 모두 표준어입니다.
내디디다/내딛다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이 규정의 맨 밑에
모음 어미가 연결될 때에는 준말의 활용형을 인정하지 않음이라고 써 놨습니다.
이에 따라 머물다의 머물, 서툴다의 서툴 뒤에는 '고, 다가, 며' 따위의 자음이 붙을 수는 있지만,
어라, 었 따위 모음으로 시작되는 뒷가지(어미)는 붙을 수 없습니다.
곧, '머물고, 머물다가, 머물며, 서툴고, 서툴다가, 서툴며'는 말이 되지만,
'머물어, 머물었다, 서툴어'는 쓸 수 없습니다.

이에 따라,
내디디다도
내딛고, 내딛다가는 쓸 수 있지만,
내딛어, 내딛은, 내딛으면으로는 쓰지 않습니다.
원말인 '내디디다'의 활용형인 '내디딘'을 써야 맞습니다. 

새 정부가 첫발을 내디딘 겁니다.

오늘은 좀 어려웠나요?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6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80
1396 [2011/07/14] 우리말) 서식지와 자생지 머니북 2011-07-14 3767
1395 [2011/07/1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1-07-15 3819
1394 [2011/07/18] 우리말) 말과 글은 쉽게... 머니북 2011-07-18 3972
1393 [2011/07/19] 우리말) 싸가지/늘품과 느ㅊ 머니북 2011-07-19 3866
1392 [2011/07/20] 우리말) 발자국과 발걸음 머니북 2011-07-20 3987
1391 [2011/07/21] 우리말) 아부재기 머니북 2011-07-21 4492
1390 [2011/07/22] 우리말) 표정 머니북 2011-07-22 3974
1389 [2011/07/25] 우리말) 이승잠과 영피다 머니북 2011-07-25 3909
1388 [2011/07/26] 우리말) 천천히 즐기기와 바보 머니북 2011-07-26 4409
1387 [2011/07/27] 우리말) 칠삭둥이 머니북 2011-07-27 4905
1386 [2011/07/28] 우리말) 호우와 큰비 머니북 2011-07-29 4355
1385 [2011/07/29] 우리말) 늦장과 늑장 머니북 2011-07-29 4091
1384 [2011/08/02] 우리말) 숫병아리와 수평아리 머니북 2011-08-02 4136
1383 [2011/08/03] 우리말) 현훈? 어지러움! 머니북 2011-08-03 3942
1382 [2011/08/04] 우리말) 들뜨다와 달뜨다 머니북 2011-08-04 9538
1381 [2011/08/08] 우리말) 토씨(조사) '의' 쓰임 머니북 2011-08-08 3684
1380 [2011/08/09] 우리말) 흙주접 머니북 2011-08-09 3716
1379 [2011/08/10] 우리말) 배럴당 80달러 머니북 2011-08-10 3616
1378 [2011/08/11] 우리말) 原乳 머니북 2011-08-11 3733
1377 [2011/08/12] 우리말) 본 지 오래 머니북 2011-08-12 3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