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7/28] 우리말) 일찍이

조회 수 3431 추천 수 0 2014.07.28 08:25:42

예전에는 '일찌기'가 맞았으나, 어찌씨에 '-이'가 붙어 어찌씨가 될 때는 원형을 밝혀 적는다는 맞춤법 규정에 따라 '일찍이'라고 써야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애들과 같이 마당에 잔디를 깔았습니다. 작은 수돗가도 만들었습니다.
마땅히 수돗가 시멘트 위에 애들 손도장도 찍었고요. ^^*
그렇게 주말마다 밖에서 일하다 보니 애들 얼굴도 많이 탔고 제 얼굴도 새까맣게 탔습니다.

애들과 함께하는 그런 재미,
일찍이 느껴보지 못했던 큰 기쁨입니다. ^^*

"일정한 시간보다 이르게" 또는 "예전에. 또는 전에 한 번"이라는 뜻을 지닌 어찌씨(부사)는 '일찍이'입니다.
예전에는 '일찌기'가 맞았으나, 어찌씨에 '-이'가 붙어 어찌씨가 될 때는 원형을 밝혀 적는다는 맞춤법 규정에 따라 '일찍이'라고 써야 바릅니다.
일찍이 출근하다, 다음 날 새벽 일찍이 출발했다, 일찍이 없었던 일, 일찍이 전해져 오던 책처럼 씁니다.

저는 어렸을 때 시골에서 뛰어다니며 자랐지만,
애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아파트에서만 살았기에 마당에서 뛰어놀 기회를 만들어주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단독주택을 꾸미며, 애들도 즐겁게 놀고 저도 기쁜 그런 삶을 살고 있습니다.
일찍이 없었던 일입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발췌, 발취, 발초]

안녕하세요.

오늘도 공무원이 많이 쓰는 낱말을 좀 씹어볼게요.

'보고서에서 필요한 부분만 (발췌, 발취, 발초)하다',
'원문 (발췌, 발취, 발초)가 끝나는 대로 번역에 들어가자.'에서
발췌, 발취, 발초... 가운데 뭐가 맞을까요?
여러분은 어떤 낱말을 쓰시겠어요?

발췌(拔萃)는 뺄 발 자와 모일 췌 자를 써서
"책, 글 따위에서 필요하거나 중요한 부분을 가려 뽑아냄. 또는 그런 내용."을 뜻합니다.

발초(拔抄)는 뺄 발 자와 베낄 초 자를 써서
"글 따위에서 필요한 대목을 가려 뽑아서 베낌. 또는 그런 내용."을 뜻합니다.

발취(拔取)는 뺄 발 자와 골라 뽑을 취 자를 써서
"물건이나 글 가운데서 뽑아냄."이라는 뜻입니다.

곧,
발췌, 발초, 발취는 모두 여럿 가운데서 중요한 것을 뽑은 것을 뜻합니다.
한자도 그런 뜻의 한자입니다.

꼭 그런 한자 낱말을 써야 할까요?

'보고서에서 필요한 부분만 (발췌, 발취, 발초)하다',
'원문 (발췌, 발취, 발초)가 끝나는 대로 번역에 들어가자.'를
'보고서에서 중요한 곳만 뽑다', 
'원문 벼리(뼈대)만 뽑아 번역에 들어가자'로 하면 안 되나요?

저라면 그렇게 하겠습니다.

홈페이지에서 발췌한 정보보다는
누리집에서 따온 정보가 낫고,
발취검색보다는 뽑아보기가 더 좋다고 봅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1.
씹다 : 1. 사람이나 동물이 음식 따위를 입에 넣고 윗니와 아랫니를 움직여 잘게 자르거나 부드럽게 갈다.
2. (속되게)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말을 의도적으로 꼬집거나 공개적으로 비난하다.
3. 다른 사람이 한 말의 뜻을 곰곰이 여러 번 생각하다.
저는 공무원을 존경하는 맘을 갖고 3번 뜻으로 '씹다'를 썼습니다. 믿으시죠? ^^*

2. 
굳이 따지자면,
'발췌'와 '발초'는 중요한 것을 뽑는 것이고,
'발취'는 그냥 하나 뽑는 것이라고 가를 수도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1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48
1156 [2013/07/04] 우리말) 후덥지근과 후텁지근 머니북 2013-07-04 3477
1155 [2012/06/21] 우리말) 노인은 어르신으로 머니북 2012-06-21 3477
1154 [2013/11/25]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 머니북 2013-11-25 3477
1153 [2008/04/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4-16 3477
1152 [2013/04/19] 우리말) 보니 -> 보늬 머니북 2013-04-19 3476
1151 [2012/01/13] 우리말) 소소하다 머니북 2012-01-13 3476
1150 [2014/02/14] 우리말) 밸런타인데이 머니북 2014-02-17 3476
1149 [2010/01/20] 우리말) 싸다와 쌓다 id: moneyplan 2010-01-20 3476
1148 [2007/06/01] 우리말) 맹세와 다짐 id: moneyplan 2007-06-01 3476
1147 [2010/02/24] 우리말) 육교 id: moneyplan 2010-02-24 3474
1146 [2008/12/22] 우리말) 마음고름 id: moneyplan 2008-12-22 3474
1145 [2017/07/03] 우리말) 태풍 난마돌 머니북 2017-07-04 3473
1144 [2017/01/02] 우리말) 끄트머리와 실마리 머니북 2017-01-02 3473
1143 [2017/04/12] 우리말) 나와바리 머니북 2017-04-12 3472
1142 [2013/01/28] 우리말) 연배 머니북 2013-01-28 3472
1141 [2010/08/31] 우리말) 밍밍하다와 닝닝하다 moneybook 2010-08-31 3472
1140 [2007/05/31] 우리말) 건하다와 거나하다 id: moneyplan 2007-05-31 3472
1139 [2007/04/19] 우리말) 외톨이 id: moneyplan 2007-04-19 3472
1138 [2017/01/10] 우리말) 트롯트와 트롯 머니북 2017-01-10 3471
1137 [2014/09/25] 우리말) 언뜻/얼핏 머니북 2014-09-25 3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