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7/30] 우리말) 발맘발맘

조회 수 4050 추천 수 0 2014.07.30 10:03:00

우리말에 발맘발맘이라는 어찌씨(부사)가 있습니다.
"한 발씩 또는 한 걸음씩 길이나 거리를 가늠하며 걷는 모양.", "자국을 살펴 가며 천천히 따라가는 모양."을 뜻합니다.
아까 발맘발맘 간 감으로는..., 골짜기를 내려와 목탁 소리를 따라 발맘발맘 걸었다처럼 씁니다.

안녕하세요.

아시는 것처럼
농촌진흥청은 지난주부터 전주시로 옮기고 있습니다.
옮기는 분들이 많아 부서별로 계획에 따라 8월 말까지 이사를 합니다. 제가 일하는 부서는 맨 뒤인 8월 31일에 옮깁니다.
부서가 옮겨가고 나면 그 자리게 휑합니다. 여기저기 쓰레기가 보이면 마치 빈집에 있는 것처럼 기분이 이상해집니다.

어제는 저녁을 먹고 산책 삼아 여기저기 발맘발맘 걸어 다녔습니다.
채 어둠이 내리기 전에 추억이 깃든 곳을 하나하나 기억에 담아뒀죠.

우리말에 발맘발맘이라는 어찌씨(부사)가 있습니다.
"한 발씩 또는 한 걸음씩 길이나 거리를 가늠하며 걷는 모양.", "자국을 살펴 가며 천천히 따라가는 모양."을 뜻합니다.
아까 발맘발맘 간 감으로는..., 골짜기를 내려와 목탁 소리를 따라 발맘발맘 걸었다처럼 씁니다.

오늘 저녁에도 농촌진흥청 여기저기를 발맘발맘 거닐며 이곳과 작별 인사를 나누고자 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초승달과 초생달]

안녕하세요.

어젯밤 11:55, MBC에서 "세 근", "석 근"이라고 했습니다.
푸줏간에서 고기를 다는 단위는 '근'이 아니라 '그램(g)'입니다.
3분 뒤, 11:58, 
김구라 씨가 고등학교 때 반장을 했고, 영문과를 나왔다고 소개하면서 "재원"이라고 했습니다.
'재원'은 "재주가 뛰어난 젊은 여자"를 뜻하는데,
아나운서가 그렇게 말해서 실망이 컸습니다.

오늘 아침 8:05, KBS2,
'깜짝 놀래서...'라는 말과 자막이 나왔습니다.
'놀래다'는 '놀라다'의 타동사입니다.
놀라는 것은 내가 놀라는 것이고,
놀래는 것은 내가 남을 놀라게 하는 것입니다.
뉴스에서 그런 자막이 나와서 아침부터 실망했습니다.

어젯밤에는 집에 돌아가면서 하늘을 보니 초승달이 떠 있더군요.
시간은 참 잘도 갑니다. ^^*
흔히 초승달을 초생달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틀린 겁니다.

사실 초승달을 초생에서 왔습니다.
초생(初生)은 " 갓 생겨남"이라는 뜻이고,
초승(初生)은 "음력으로 그달 초하루부터 처음 며칠 동안"이라는 뜻입니다.
이렇게 초승과 초생은 뜻이 다르게 발전했습니다.
그래서 초승에 뜬 달은 초승달입니다.

한자 生은 가끔 '승'으로도 읽힙니다.
이승, 저승도 이生, 저生에서 왔다고 합니다.
초생도 전설모음화라는 음운변화를 일으켜 '초승'으로 바뀐 겁니다.
그래서 요즘은 '초승달'을 표준어로 보고 '초생달'은 인정하지 않습니다.

참고로 '보름달'의 '보름'은 '밝음'이라는 옛말에서 비롯된 말로 '보름달'은 '밝은 달'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보름달의 크기가 반달의 배니까 밝기도 그 배겠죠?
아니요. 빛의 반사각도 차이 때문에 보름달이 반달보다 열 배쯤 밝다고 하네요.
'그믐달'은 옛말 '그몰다', 곧, 지금의 '저물다'는 뜻에서 왔다고 하네요.
"저물어 가는 달"이라는 뜻이죠.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89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467
2496 [2006/12/12] 우리말) 저는 절대 똥기지 않을 겁니다 id: moneyplan 2006-12-12 5654
2495 [2006/09/07] 우리말) 일본 왕실의 왕자 탄생을 축하합니다 id: moneyplan 2006-09-08 5640
2494 [2013/03/22] 우리말) 약 머니북 2013-03-25 5622
2493 [2006/09/14] 우리말) 가을내가 아니라 가으내 id: moneyplan 2006-09-14 5602
2492 [2006/10/11] 우리말) 배추 뿌리, 배추꼬랑이 id: moneyplan 2006-10-11 5580
2491 [2006/10/18] 우리말) 심술깨나 부리게 생겼다. 꽤나 고집이 세겠군 id: moneyplan 2006-10-18 5571
2490 [2006/10/22] 우리말) 심간 편하세요? id: moneyplan 2006-10-23 5565
2489 [2006/09/21] 우리말) 염치불구하고... id: moneyplan 2006-09-21 5564
2488 [2006/10/04] 우리말) 즐거운 추석 되세요. -> 아니요. 싫은데요. id: moneyplan 2006-10-08 5563
2487 [2006/12/18] 우리말) 살찌다와 살지다 id: moneyplan 2006-12-18 5560
2486 [2006/12/03] 우리말) 선친 잘 계시냐? id: moneyplan 2006-12-04 5546
2485 [2006/10/10] 우리말) 밥먹고 삽시다 id: moneyplan 2006-10-10 5541
2484 [2011/10/10] 우리말) 어리숙하다와 어수룩하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0 5540
2483 [2006/09/24] 우리말) 산문 모음집 id: moneyplan 2006-09-25 5537
2482 [2011/01/04] 우리말) 잔주름/잗주름 moneybook 2011-01-04 5500
2481 [2006/12/14] 우리말) 어제는 어머니와 함께 점심을 먹었습니다 id: moneyplan 2006-12-14 5484
2480 [2007/01/26] 우리말) 족치다 id: moneyplan 2007-01-28 5466
2479 [2006/09/16] 우리말) 어머니 글을 또 보내드립니다 id: moneyplan 2006-09-18 5449
2478 [2007/03/29] 우리말) 움츠리다와 옴츠리다 id: moneyplan 2007-03-30 5442
2477 [2017/11/15] 우리말) ‘오’가 ‘우’로 바뀐 말들 머니북 2017-11-16 5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