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8/18] 우리말) 우리

조회 수 4290 추천 수 0 2014.08.19 11:02:15

가끔 ‘저희 나라’라는 말을 들을 수 있는데, 올바른 말이 아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학술위원의 글을 함께 읽겠습니다.

한국어에서 ‘우리’라는 말은 매우 독특하다. 이 말은 “우리는 하나다.”처럼, 말하는 사람이 자기와 듣는 사람을 함께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고, 또는 자기와 듣는 사람을 포함해서, 그 자리에 없는 다른 여러 사람까지 동시에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로도 쓰이는 말이다. 어쨌든 ‘우리’라고 하면 듣는 사람을 포함하는 말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우리’는 때에 따라서 듣는 사람을 포함하지 않는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우리 편이 너희 편보다 훨씬 잘해.”라고 하면 ‘우리’라는 말에 듣는 사람을 포함하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우리’는 ‘저희’라는 겸양어로 표현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저희’는 듣는 사람을 포함시키는 의미로는 사용될 수 없고, 듣는 사람을 포함시키지 않을 때에만 사용하는 말이다. “저희 편이 훨씬 잘해요.”라고 할 수는 있지만, “우리는 하나다.”를 “저희는 하나다.”라고 말할 수는 없다.

가끔 ‘저희 나라’라는 말을 들을 수 있는데, 올바른 말이 아니다. ‘저희’라는 말은 말하는 사람보다 듣는 사람이 나이가 많거나 신분이 높거나 하여 우월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겸양어이다. 그런데 단체와 단체, 나라와 나라 사이에는 비록 힘의 차이는 있다 하더라도 평등한 위치에 있는 존재들이기 때문에 높임과 낮춤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이러한 관계는 한 개인이 높이거나 낮출 수 있는 대상이 되지도 못하기 때문에, ‘저희 나라’가 아니라 ‘우리나라’로 쓰는 것이 알맞은 쓰임이다.

‘우리’의 쓰임 가운데 가장 독특한 것은, 이 말이 말하는 사람 자신을 가리키는 일인칭 단수로도 쓰인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외아들이면서도 내 어머니, 내 아버지를 ‘우리 어머니’, ‘우리 아버지’라고 한다든지, 자기 아내를 ‘우리 마누라’라고 하는 것이 이러한 예들이다. 이것은 문법적으로 따질 수 없는, ‘우리’라는 말의 독특한 속성으로 이해되고 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4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46
1656 [2008/07/18] 우리말) 게걸스럽다와 게검스럽다 id: moneyplan 2008-07-18 3528
1655 [2013/11/25]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 머니북 2013-11-25 3528
1654 [2013/05/01] 우리말) 4월과 4월달 머니북 2013-05-02 3528
1653 [2012/06/26] 우리말) '폭염'과 '불볕더위' 머니북 2012-06-26 3528
1652 [2014/07/24] 우리말) 사투리와 표준말 머니북 2014-07-25 3528
1651 [2016/12/09] 우리말) AI, 우리말에 숙제를 던지다 머니북 2016-12-12 3528
1650 [2017/03/14] 우리말) 사저 머니북 2017-03-14 3528
1649 [2007/11/21] 우리말) 편지에서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7-11-21 3529
1648 [2010/05/25] 우리말) 나와바리 id: moneyplan 2010-05-25 3529
1647 [2013/01/23] 우리말) 백조와 고니 머니북 2013-01-23 3529
1646 [2013/04/03] 우리말) 만빵과 안다미로 머니북 2013-04-03 3529
1645 [2015/07/27] 우리말) 억장이 무너지다 머니북 2015-07-28 3529
1644 [2007/05/22] 우리말) 보릿고개와 총체보리 id: moneyplan 2007-05-22 3530
1643 [2007/05/28] 우리말) 바리바리 싸 주신... id: moneyplan 2007-05-28 3530
1642 [2008/02/21] 우리말) 농촌진흥청이 감치도록 야젓하게 일할 겁니다 id: moneyplan 2008-02-21 3530
1641 [2010/10/19] 우리말) 끼적이다 moneybook 2010-10-19 3530
1640 [2011/01/24] 우리말) 모포와 담요 openmind 2011-01-24 3530
1639 [2014/02/14] 우리말) 밸런타인데이 머니북 2014-02-17 3530
1638 [2012/06/21] 우리말) 노인은 어르신으로 머니북 2012-06-21 3530
1637 [2014/12/26] 우리말) 피로해소/원기회복 머니북 2014-12-29 3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