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8/18] 우리말) 우리

조회 수 3962 추천 수 0 2014.08.19 11:02:15

가끔 ‘저희 나라’라는 말을 들을 수 있는데, 올바른 말이 아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학술위원의 글을 함께 읽겠습니다.

한국어에서 ‘우리’라는 말은 매우 독특하다. 이 말은 “우리는 하나다.”처럼, 말하는 사람이 자기와 듣는 사람을 함께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고, 또는 자기와 듣는 사람을 포함해서, 그 자리에 없는 다른 여러 사람까지 동시에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로도 쓰이는 말이다. 어쨌든 ‘우리’라고 하면 듣는 사람을 포함하는 말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우리’는 때에 따라서 듣는 사람을 포함하지 않는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우리 편이 너희 편보다 훨씬 잘해.”라고 하면 ‘우리’라는 말에 듣는 사람을 포함하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우리’는 ‘저희’라는 겸양어로 표현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저희’는 듣는 사람을 포함시키는 의미로는 사용될 수 없고, 듣는 사람을 포함시키지 않을 때에만 사용하는 말이다. “저희 편이 훨씬 잘해요.”라고 할 수는 있지만, “우리는 하나다.”를 “저희는 하나다.”라고 말할 수는 없다.

가끔 ‘저희 나라’라는 말을 들을 수 있는데, 올바른 말이 아니다. ‘저희’라는 말은 말하는 사람보다 듣는 사람이 나이가 많거나 신분이 높거나 하여 우월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겸양어이다. 그런데 단체와 단체, 나라와 나라 사이에는 비록 힘의 차이는 있다 하더라도 평등한 위치에 있는 존재들이기 때문에 높임과 낮춤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이러한 관계는 한 개인이 높이거나 낮출 수 있는 대상이 되지도 못하기 때문에, ‘저희 나라’가 아니라 ‘우리나라’로 쓰는 것이 알맞은 쓰임이다.

‘우리’의 쓰임 가운데 가장 독특한 것은, 이 말이 말하는 사람 자신을 가리키는 일인칭 단수로도 쓰인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외아들이면서도 내 어머니, 내 아버지를 ‘우리 어머니’, ‘우리 아버지’라고 한다든지, 자기 아내를 ‘우리 마누라’라고 하는 것이 이러한 예들이다. 이것은 문법적으로 따질 수 없는, ‘우리’라는 말의 독특한 속성으로 이해되고 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3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10
1656 [2015/11/11] 우리말) 빼빼로 데이 머니북 2015-11-12 3691
1655 [2011/02/16] 우리말) 댓글을 같이 보고자 합니다 moneybook 2011-02-16 3689
1654 [2007/07/04] 우리말) 과반수와 반수 id: moneyplan 2007-07-04 3689
1653 [2008/12/15] 우리말) 개발과 계발 id: moneyplan 2008-12-15 3688
1652 [2013/03/05] 우리말) 아파트는 @를 ㉵로 ^^* file 머니북 2013-03-05 3687
1651 [2007/08/22] 우리말) 갈말 id: moneyplan 2007-08-22 3687
1650 [2017/05/23] 우리말) 육교 머니북 2017-05-24 3686
1649 [2017/05/02] 우리말) 순식간 머니북 2017-05-06 3686
1648 [2007/05/25] 우리말) 머드러기와 지스러기 id: moneyplan 2007-05-28 3685
1647 [2017/06/22] 우리말) 서식 머니북 2017-06-22 3684
1646 [2017/06/01] 우리말) 예초와 풀베기 openmind 2017-06-03 3683
1645 [2013/06/03] 우리말) 띠다와 띠우다 머니북 2013-06-04 3683
1644 [2011/02/24] 우리말) 째, 체, 채 moneybook 2011-02-24 3683
1643 [2010/05/14] 우리말) 접수와 등록 id: moneyplan 2010-05-14 3683
1642 [2009/07/16] 우리말) 외래어표기법 받침 id: moneyplan 2009-07-16 3683
1641 [2008/10/29] 우리말) 아다리 id: moneyplan 2008-10-29 3683
1640 [2014/08/20] 우리말) 허겁지겁과 헝겁지겁 머니북 2014-08-21 3681
1639 [2013/07/24] 우리말) 영계로 복달임 머니북 2013-07-24 3681
1638 [2010/09/29] 우리말) 코스모스 moneybook 2010-09-29 3681
1637 [2015/08/25] 우리말) 간이 크다와 붓다 머니북 2015-08-25 3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