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9/04] 우리말) 알갱이와 알맹이

조회 수 3379 추천 수 0 2014.09.04 09:53:00

 ‘알갱이’와 ‘알맹이’란 서로 다른 두 낱말이 있는데, 그 각각의 쓰임을 잘 따져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읽겠습니다.


알갱이와 알맹이-성기지 학술위원

‘알갱이’와 ‘알맹이’란 서로 다른 두 낱말이 있는데, 그 각각의 쓰임을 잘 따져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알갱이’는 “곡식의 낟알이나, 열매의 낱개”를 가리키는 말이다. “쌀이나 보리, 밀 알갱이는 잘고, 도토리나 밤 알갱이는 굵다.”처럼 쓰인다. 반면에 ‘알맹이’는 “물건을 싸고 있는 껍데기나 껍질을 벗기고 남은 속 부분”을 가리키는 말이다. “땅콩을 까서 알맹이를 모아 놓은 것보다 남은 껍데기가 더 수북하다.”처럼 쓰인다. ‘알갱이’는 셈을 헤아리는 단위로도 쓰여서 “한 알갱이, 두 알갱이, 세 알갱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알맹이’는 그렇게는 쓰이지 않는다.

모처럼 하늘이 높고 햇살이 눈부신 나날이다. 이런 날씨가 보름만 지속되어도 올 가을 수확이 풍성해질 것이다. 벼베기를 한 뒤에 이삭을 떨어서 낟알을 거두는 것을 ‘바심’이라고도 하고 한자말로 ‘타작’이라고도 한다. 이때 이삭의 낟알은 ‘알갱이’이고, 이 알갱이들을 방앗간에 가지고 가서 찧는 것을 ‘도정’이나 ‘정미’한다고 하는데, 이렇게 도정 공정을 거친 것이 ‘알맹이’이다. 이 알맹이가 쌀이다.

타작이란 말의 우리말이 ‘바심’인데, 벼가 아니라 ‘조의 이삭을 떨어내서 좁쌀을 만드는 것’을 ‘조바심’이라고 한다. 이 조는 잎이 어긋나 좁고 길게 생겼고, 귀가 질겨서 떨어내기가 힘들다. 그래서 조를 바심할 때에는 (곧 타작할 때는) 그 과정이 조심스럽고, 마음먹은 대로 쉽게 떨어지지도 않아, 조급해지고 초조한 마음이 들었던 모양이다. 그 때문에 “조마조마하게 마음을 졸이는 것”을 ‘조바심치다, 조바심하다’라고 하게 되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꽃보라]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어요?

저는 고향에 가서 작년에 이장한 아버지 산소에 나무를 몇 그루 심고 왔습니다.
나무를 심고 나서는 고추밭에 비닐도 덮었습니다.
오랜만에 홀로 계시는 어머니와 둘이서 삽을 들고 손을 맞추니 기분이 참 좋더군요.
옆에서는 흐드러지게 핀 꽃잎이 날리고...

'꽃보라'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보라'가 "잘게 부스러지거나 한꺼번에 많이 가루처럼 흩어지는 눈이나 물 따위"를 뜻해
'눈보라'는 "바람에 불리어 휘몰아쳐 날리는 눈을 뜻하고",
'물보라'는 "물결이 바위 따위에 부딪쳐 사방으로 흩어지는 잔 물방울"을 뜻합니다.
'꽃보라'는 
"떨어져서 바람에 날리는 많은 꽃잎"을 뜻합니다.

어제는 고작 나무 몇 그루 심고 왔지만,
돌아가신 아버지를 생각하며
아버지가 누워계시고, 나중에 어머니도 함께 누우실 곳에 어머니가 좋아하시는 꽃으로 꽃동산을 만들어 드리고 싶습니다.
'꽃동산'은 "꽃이 많이 피어 있는 동산. 아름다운 꽃으로 덮인 동산"입니다.
화원(花園) 보다는 '꽃동산'이 더 멋있지 않나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1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44
1876 [2009/08/17] 우리말) 물때와 통행시간 id: moneyplan 2009-08-17 3370
1875 [2008/01/31] 우리말) 철들다 id: moneyplan 2008-01-31 3372
1874 [2007/10/26] 우리말) 구리다 id: moneyplan 2007-10-26 3373
1873 [2014/01/13] 우리말) 할머니께서 아프십니다? 머니북 2014-01-13 3373
1872 [2014/10/07] 우리말) 네이버 카페 하나 소개합니다 머니북 2014-10-07 3373
1871 [2016/12/13] 우리말) 자치동갑 머니북 2016-12-14 3373
1870 [2008/02/26] 우리말) 떡 도르라면 덜 도르고 말 도르라면 더 도른다 id: moneyplan 2008-02-26 3374
1869 [2013/05/20] 우리말) 마냥과 처럼 머니북 2013-05-20 3375
1868 [2013/06/28] 우리말) 알맞은과 걸맞은 머니북 2013-06-28 3376
1867 [2008/04/15] 우리말) 헛가래질과 헹가래 id: moneyplan 2008-04-15 3377
1866 [2013/12/05] 우리말) 얽히고설키다 머니북 2013-12-06 3377
1865 [2014/07/02] 우리말) 여지껏과 여태껏 머니북 2014-07-02 3377
1864 [2017/07/17] 우리말) 때마침 머니북 2017-07-17 3377
1863 [2011/01/20] 우리말) 우연찮다 moneybook 2011-01-20 3378
1862 [2010/06/04] 우리말) 알음장과 알림장 moneybook 2010-06-04 3379
1861 [2013/05/06] 우리말) 꽃멀미와 꽃빛발 머니북 2013-05-06 3379
1860 [2016/07/25] 우리말) 사뜻하다 머니북 2016-08-10 3379
1859 [2012/05/04] 우리말) 주기와 주년 머니북 2012-05-04 3380
» [2014/09/04] 우리말) 알갱이와 알맹이 머니북 2014-09-04 3379
1857 [2016/09/02] 우리말) 드레지다 머니북 2016-09-07 3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