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9/19] 우리말) 눈시울과 가선

조회 수 3051 추천 수 0 2014.09.19 14:18:49

안녕하세요.

오늘도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합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눈시울과 가선]

안녕하세요.

어제 울산에 갔었는데,
오후 5:40, 울산문화방송 라디오에서
"화장품 선물을 드리니 방송국에 들릴 일 있으시면..."이라고 하더군요.
"지나는 길에 잠깐 들어가 머무르다"는 뜻의 낱말은
'들리다'가 아니라 '들르다'입니다.
따라서,
"화장품 선물을 드리니 방송국에 들를 일 있으시면..."이라고 해야 하고,
이마저도,
"화장품 선물을 드리니 근처를 지나가실 때 방송국에 들러주십시오."라고 하는 게 좋습니다.

오늘 이야기입니다.
먼저, 
어제 낸 문제의 답은 '가선'입니다.
눈가에 있는 선이니 가선이죠.
가선이 지다, 가선졌다처럼 씁니다.

사전에는 가선을 "쌍꺼풀이 진 눈시울의 주름진 금"이라고 풀어놨는데요.
그러면 쌍꺼풀이 없는 눈은 가선이 없다는 말인가요?
아마 그게 아닐 겁니다.
'눈시울의 주름진 금'이므로 눈가에 있는 주름을 뜻할 겁니다.

'시울'은 "약간 굽거나 휜 부분의 가장자리"입니다.
그래서 입 가장자리는 '입시울'이고 이게 줄어 '입술'이 된 겁니다.
눈시울도 말 그대로 눈의 가장자리를 뜻합니다.
그러니 '눈시울의 주름진 금'은 바로 눈웃음칠 때 생기는 눈가의 잔주름입니다.

누군가 그랬다죠?
마흔이 넘으면 자기 얼굴에 책임을 지라고...
그리고 마음씨를 곱게 먹으면 그게 얼굴에 나타나 곱게 늙는다고...

저도 오늘은 착한 일 좀 하고 살겠습니다.
곱게 늙고 싶어서......^^*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8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29
2556 [2007/01/30] 우리말) 발자국과 발자욱 id: moneyplan 2007-01-31 6223
2555 [2007/03/19] 우리말) 설거지와 설것이 id: moneyplan 2007-03-19 6202
2554 [2009/10/06] 우리말) 내숭 id: moneyplan 2009-10-06 6187
2553 [2006/09/11] 우리말) 납골당 >> 봉안당 id: moneyplan 2006-09-11 6183
2552 [2012/07/11] 우리말) 왔다리 갔다리 머니북 2012-07-11 6162
2551 [2007/11/06] 우리말) 할는지와 할런지 id: moneyplan 2007-11-07 6153
2550 [2013/09/30] 우리말) 굉장히 머니북 2013-09-30 6149
2549 [2006/10/02] 우리말) 낯선 편지 id: moneyplan 2006-10-02 6143
2548 [2007/01/12] 우리말) '들쳐메다'가 아니라 '둘러메다'입니다 id: moneyplan 2007-01-12 6126
2547 [2006/09/15] 우리말) 게슴츠레 졸린 눈 id: moneyplan 2006-09-15 6120
2546 [2006/09/12] 우리말) 필자가 아니라 글쓴이! id: moneyplan 2006-09-12 6114
2545 [2009/03/31] 우리말) 꾀와 꽤 id: moneyplan 2009-03-31 6098
2544 [2006/12/13] 우리말) 시간 참 잘가죠? id: moneyplan 2006-12-13 6087
2543 [2007/09/06] 우리말) 지킴이와 지기의 반대말 id: moneyplan 2007-09-06 6084
2542 [2006/12/20] 우리말) 세모가 아니라 세밑! id: moneyplan 2006-12-20 6084
2541 [2006/09/20] 우리말) 살사리꽃이 하늘거릴까 하늘댈까? id: moneyplan 2006-09-20 6081
2540 [2006/11/16] 우리말) 난이도가 있다? 난이도가 높다? id: moneyplan 2006-11-16 6079
2539 [2014/08/08] 우리말) 딸따니 머니북 2014-08-11 6077
2538 [2006/10/14] 우리말) 가을이 오는 속도 id: moneyplan 2006-10-14 6058
2537 [2013/08/29] 우리말) 점잔과 점잖 머니북 2013-08-29 6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