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9/19] 우리말) 눈시울과 가선

조회 수 3055 추천 수 0 2014.09.19 14:18:49

안녕하세요.

오늘도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합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눈시울과 가선]

안녕하세요.

어제 울산에 갔었는데,
오후 5:40, 울산문화방송 라디오에서
"화장품 선물을 드리니 방송국에 들릴 일 있으시면..."이라고 하더군요.
"지나는 길에 잠깐 들어가 머무르다"는 뜻의 낱말은
'들리다'가 아니라 '들르다'입니다.
따라서,
"화장품 선물을 드리니 방송국에 들를 일 있으시면..."이라고 해야 하고,
이마저도,
"화장품 선물을 드리니 근처를 지나가실 때 방송국에 들러주십시오."라고 하는 게 좋습니다.

오늘 이야기입니다.
먼저, 
어제 낸 문제의 답은 '가선'입니다.
눈가에 있는 선이니 가선이죠.
가선이 지다, 가선졌다처럼 씁니다.

사전에는 가선을 "쌍꺼풀이 진 눈시울의 주름진 금"이라고 풀어놨는데요.
그러면 쌍꺼풀이 없는 눈은 가선이 없다는 말인가요?
아마 그게 아닐 겁니다.
'눈시울의 주름진 금'이므로 눈가에 있는 주름을 뜻할 겁니다.

'시울'은 "약간 굽거나 휜 부분의 가장자리"입니다.
그래서 입 가장자리는 '입시울'이고 이게 줄어 '입술'이 된 겁니다.
눈시울도 말 그대로 눈의 가장자리를 뜻합니다.
그러니 '눈시울의 주름진 금'은 바로 눈웃음칠 때 생기는 눈가의 잔주름입니다.

누군가 그랬다죠?
마흔이 넘으면 자기 얼굴에 책임을 지라고...
그리고 마음씨를 곱게 먹으면 그게 얼굴에 나타나 곱게 늙는다고...

저도 오늘은 착한 일 좀 하고 살겠습니다.
곱게 늙고 싶어서......^^*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6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91
2536 [2006/11/14] 우리말) 사의 표명! 반려? id: moneyplan 2006-11-14 6039
2535 [2008/11/06] 우리말) 관용구란? id: moneyplan 2008-11-06 6038
2534 [2006/12/18] 우리말) 암캐도 복제 성공했다 id: moneyplan 2006-12-19 6038
2533 [2013/05/16] 우리말) 불초소생 머니북 2013-05-16 6035
2532 [2008/09/04] 우리말) 알켜주다와 갈켜주다 id: moneyplan 2008-09-04 6035
2531 [2007/03/22] 우리말) 미역 서식지? id: moneyplan 2007-03-22 6033
2530 [2006/10/16] 우리말) 아싸리 말해서 이거 똔똔입니다 id: moneyplan 2006-10-16 6027
2529 [2006/09/06] 우리말) 코스모스꽃? 살사리꽃! id: moneyplan 2006-09-06 6019
2528 [2011/09/19] 우리말) 날개/나래, 냄새/내음 머니북 2011-09-19 6018
2527 [2017/10/30] 우리말) 문안 인사 머니북 2017-11-06 6015
2526 [2006/09/19] 우리말) 고랭지, 고냉지, 고령지 id: moneyplan 2006-09-19 5999
2525 [2006/09/07] 우리말) 휭하니 >> 힁허케 id: moneyplan 2006-09-07 5998
2524 [2006/09/08] 우리말) 자세한 내역? 자세한 내용? 자세하게? id: moneyplan 2006-09-08 5992
2523 [2006/09/13] 우리말) 고개를 숙이고 땅을 쳐다봐? id: moneyplan 2006-09-13 5988
2522 [2006/10/30] 우리말) '한목'과 '한몫' id: moneyplan 2006-10-30 5971
2521 [2006/11/17] 우리말) '폼' 버리고 '품' 잡게요 id: moneyplan 2006-11-17 5965
2520 [2017/05/18] 우리말) 해찰하다/헤찰하다 머니북 2017-05-18 5935
2519 [2012/03/23] 우리말) 곤달걀 머니북 2012-03-23 5898
2518 [2006/11/10] 우리말) '데' 띄어쓰기 id: moneyplan 2006-11-10 5882
2517 [2017/11/02] 우리말) 차담회 머니북 2017-11-06 5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