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날씨가 차네요. 늘 건강 잘 챙기시길 빕니다.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읽겠습니다.
'자랑차다'와 '가열차다'-성기지 학술위원
흔히 기운이 가득하면 ‘기운차다’라 하고 어떤 일의 결과가 몹시 좋으면 ‘보람차다’고 말한다. 또 아주 옹골지면 ‘옹골차다’라 하고 희망이 가득한 것을 ‘희망차다’라 표현한다. 이처럼 우리말에 ‘차다’가 붙으면 그 말의 뜻을 한층 보태주거나 강조하는 구실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 ‘차다’는 얼마든지 많은 말들에 붙어 쓰일 수 있다.
가령, 매우 능글맞다는 뜻을 나타내고 싶으면 ‘능글차다’고 말하면 되고, 성깔이 보통이 넘으면 ‘성깔차다’라고 표현한다. 마찬가지로, 몹시 자랑스러울 땐 ‘자랑차다’라고 하면 된다. ‘능글차다’, ‘성깔차다’, ‘자랑차다’ 같은 말들은 모두 국어사전에도 실려 있는 표준말이고, 이런 말들을 자주 활용해서 쓰는 것이 우리말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
그런데 이렇게 ‘차다’를 붙여서 뜻을 강조하다 보면, 붙여 쓰지 못하는 말에도 종종 ‘차다’를 잘못 붙이는 경우가 있다. “조국 통일의 바람이 가열차게 휘몰아치는”이라고 할 때의 ‘가열차다’가 그러한 사례 가운데 하나이다. 최근에 와서 이 ‘가열차게’라는 말이 이곳저곳에서 눈에 띄고 있는데, 이것은 우리말에서는 쓰이지 않는 잘못된 낱말이다. ‘가열차게’ 대신에 ‘맹렬하게’ 또는 ‘힘차게’라고 바꾸어 써야 할 것이다.
비슷한 예를 한 가지 더 들면, “이번 인사 개편 때 구조조정이 야멸차게 진행되었다.”와 같이, 남의 사정을 봐주지 않는 것을 ‘야멸차다’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 말의 원래 바른말은 ‘야멸치다’이다. ‘야멸치다’와 뜻이 비슷한 우리말로 ‘매몰차다’라는 낱말이 있는데, 바로 이 말의 영향으로 ‘야멸치다’를 ‘야멸차다’로 잘못 쓰게 된 게 아닐까 생각된다. 그런데, 워낙 많은 사람들이 ‘야멸차다’라고 잘못 쓰다 보니까, 최근에 <표준 국어대사전> 인터넷판에는 이 말도 올림말로 올려서 표준말로 인정하게 되었다.
고맙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