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글차다’, ‘성깔차다’, ‘자랑차다’ 같은 말들은 모두 국어사전에도 실려 있는 표준말이고, 이런 말들을 자주 활용해서 쓰는 것이 우리말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

안녕하세요.

날씨가 차네요.
늘 건강 잘 챙기시길 빕니다.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읽겠습니다.


'자랑차다'와  '가열차다'-성기지 학술위원

흔히 기운이 가득하면 ‘기운차다’라 하고 어떤 일의 결과가 몹시 좋으면 ‘보람차다’고 말한다. 또 아주 옹골지면 ‘옹골차다’라 하고 희망이 가득한 것을 ‘희망차다’라 표현한다. 이처럼 우리말에 ‘차다’가 붙으면 그 말의 뜻을 한층 보태주거나 강조하는 구실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 ‘차다’는 얼마든지 많은 말들에 붙어 쓰일 수 있다.

가령, 매우 능글맞다는 뜻을 나타내고 싶으면 ‘능글차다’고 말하면 되고, 성깔이 보통이 넘으면 ‘성깔차다’라고 표현한다. 마찬가지로, 몹시 자랑스러울 땐 ‘자랑차다’라고 하면 된다. ‘능글차다’, ‘성깔차다’, ‘자랑차다’ 같은 말들은 모두 국어사전에도 실려 있는 표준말이고, 이런 말들을 자주 활용해서 쓰는 것이 우리말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

그런데 이렇게 ‘차다’를 붙여서 뜻을 강조하다 보면, 붙여 쓰지 못하는 말에도 종종 ‘차다’를 잘못 붙이는 경우가 있다. “조국 통일의 바람이 가열차게 휘몰아치는”이라고 할 때의 ‘가열차다’가 그러한 사례 가운데 하나이다. 최근에 와서 이 ‘가열차게’라는 말이 이곳저곳에서 눈에 띄고 있는데, 이것은 우리말에서는 쓰이지 않는 잘못된 낱말이다. ‘가열차게’ 대신에 ‘맹렬하게’ 또는 ‘힘차게’라고 바꾸어 써야 할 것이다.

비슷한 예를 한 가지 더 들면, “이번 인사 개편 때 구조조정이 야멸차게 진행되었다.”와 같이, 남의 사정을 봐주지 않는 것을 ‘야멸차다’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이 말의 원래 바른말은 ‘야멸치다’이다. ‘야멸치다’와 뜻이 비슷한 우리말로 ‘매몰차다’라는 낱말이 있는데, 바로 이 말의 영향으로 ‘야멸치다’를 ‘야멸차다’로 잘못 쓰게 된 게 아닐까 생각된다. 그런데, 워낙 많은 사람들이 ‘야멸차다’라고 잘못 쓰다 보니까, 최근에 <표준 국어대사전> 인터넷판에는 이 말도 올림말로 올려서 표준말로 인정하게 되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본데와 본때]

안녕하세요.

어제 보낸 우리말편지에 제가 또 실수를 했군요.
'베개'가 맞는데 '배게'가 맞다고 했고,
오줌싸개가 맞는데 오줌싸게가 맞다고 했습니다.

베개는 제가 실수한 것이고,
오줌싸개는 바로 앞줄에서는 '개'가 맞다고 설명해 놓고 막상 보기를 들면서는 '게'를 쓰는 어이없는 짓을 했습니다.
꼼꼼히 본다고 보면서도 헷갈리는 것을 보면,
역시나 '개'와 '게'가 헷갈리기는 헷갈린가봅니다. ^^*
지금 저처럼
이런 말 저런 말로 많은 핑계를 늘어놓는 모양을 천산지산이라고 합니다.
제 실수를 가리고자 천산지산하는거죠. ^^*


요즘 인사이동이 참 많네요.
어제는 제가 모시던 선임이 연구소로 돌아갔습니다.
한 팀에 보통 연구사 두 명이 일하는데 오경석 박사와 제가 한 팀으로 일했습니다.

오경석 박사는 제가 존경하는 '본데'있는 연구자입니다.
'본데'는 "보아서 배운 범절이나 솜씨 또는 지식"을 뜻하는 말인데 딱 오 박사님을 두고 하는 말입니다.

'본때'라는 말도 있습니다.
"본보기가 될 만한 사물의 됨됨이"를 뜻합니다.
늘 본데있는 오 박사가 연구소로 돌아가서도 일과 연구를 제대로 해서 본때를 보여주길 빕니다. ^^*

아무쪼록 연구 열심히 하셔서 좋은 성과 많이 내시고,
올 안에 승진도 하시고,
좋은 일 많이 만드시길 빕니다.
그리고 언제 또 식구끼리 모여서 삼겹살 구워먹게요.
이번에는 저희 집에서 모시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94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522
656 [2014/10/29] 우리말) 찌게와 찌개 머니북 2014-10-29 3399
655 [2014/10/31] 우리말) 큰물/시위/물마 머니북 2014-10-31 3196
» [2014/11/03] 우리말) '자랑차다'와 '가열차다' 머니북 2014-11-03 3268
653 [2014/11/04] 우리말) 늘키다 머니북 2014-11-04 3517
652 [2014/11/05] 우리말) 드레스 코드 머니북 2014-11-06 4331
651 [2014/11/06]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머니북 2014-11-06 2902
650 [2014/11/07] 우리말) 드레스 코드 머니북 2014-11-07 3409
649 [2014/11/10] 우리말) 어겹되다 머니북 2014-11-10 2979
648 [2014/11/11] 우리말) 다리다/달이다 머니북 2014-11-11 3531
647 [2014/11/12] 우리말) 핏줄 쓰이다 머니북 2014-11-12 3573
646 [2014/11/13] 우리말) 조비비다 머니북 2014-11-13 3141
645 [2014/11/14] 우리말) 불임과 난임 머니북 2014-11-14 3410
644 [2014/11/17] 우리말) 막냇동생 머니북 2014-11-17 3049
643 [2014/11/18] 우리말) 난이도 머니북 2014-11-18 2921
642 [2014/11/21] 우리말) 발밭다 머니북 2014-11-21 3526
641 [2014/11/24] 우리말) 퍼센트와 퍼센트 프로 머니북 2014-11-24 3676
640 [2014/11/25] 우리말) 성대모사/성대묘사/목소리 흉내 머니북 2014-11-25 2943
639 [2014/11/26] 우리말) 머지 않다와 멀지않다 머니북 2014-11-26 3436
638 [2014/11/27] 우리말) 뭉그적거리다와 밍기적거리다 머니북 2014-11-27 3471
637 [2014/11/28] 우리말) 엉터리 자막 머니북 2014-11-28 3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