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11/21] 우리말) 발밭다

조회 수 3535 추천 수 0 2014.11.21 13:24:39

우리말에 '발밭다'는 그림씨(형용사)가 있습니다.
흔히 '발밭게' 꼴로 쓰여,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재빠르게 붙잡아 이용하는 소질이 있다처럼 씁니다.
"그때그때의 사정과 형편을 보아 적절하게 일을 처리하는 재주가 있다."는 뜻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날씨가 좀 풀렸네요.
제가 일하는 곳은 기획실입니다.
기획실은 말은 기획을 하는 곳이겠지만, 실은 수도 고장난 것도 고쳐야 하고, 보고자료도 만들어야 하며, 말 그대로 기획도 하는 등 하는 여러 가지 일을 해야 하는 곳입니다.
워낙 일이 많으니 갈래를 잘 타서 재빠르게 처리 해야 합니다.

우리말에 '발밭다'는 그림씨(형용사)가 있습니다.
흔히 '발밭게' 꼴로 쓰여,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재빠르게 붙잡아 이용하는 소질이 있다처럼 씁니다.

"그때그때의 사정과 형편을 보아 적절하게 일을 처리하는 재주가 있다."는 뜻도 있습니다.
입 안의 혀같이 발밭게 일을 해 주는 손매가 아쉬워...처럼 습니다.

저는 기획 업무를 거의 10년 가까이 보고 있습니다.
연구직이라서 연구기획 업무를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12월까지만 이곳에 있고, 내년부터 본연의 업무로 돌아갑니다.
그동안 모든 일을 발밭게 해 온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나름대로 온 힘을 다해 일했다고는 떳떳하게 말할 수 있습니다.
제 욕심 챙기지 않고, 한쪽에 치우치지 않게 했다고 누구 앞에서건 말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무슨 일을 하건 그렇게 할 것이고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능놀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세상은 참 여러 면이 있나 봅니다. 
주말에는 놀러 가는 사람도 있고, 집에서 자는 사람도 있고, 교회 나가는 사람도 있고, 서울로 가는 사람도 있고...

'놀이'라는 우리말이 있습니다.
"즐거움을 얻으려고 자발적으로 행하는 모든 활동"을 뜻합니다.
놀이 공간, 건전한 놀이 문화처럼 씁니다.
요즘 ㅅㄱㄱ문제로 ㅊㅂㅈㅎ...

'놀'은 한 가지 일에 집착하여 온 정신을 기울인다는 뜻이 있다고 합니다.
흥이나 멋과도 통하는 말이지 싶습니다.
그래서 놀이를 놀았다고 하고 무당이 굿하는 것도 놀았다고 하나 봅니다.

'능'이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빠듯하지 아니하게 넉넉히 잡은 여유."라는 뜻으로
능을 두어 옷을 짓다처럼 씁니다.

이 '능'과 '놀다'가 합쳐지면 '능놀다'가 되어
"쉬어 가며 일을 천천히 하다."는 뜻이 됩니다.

능놀다로 하고 싶은 말은 많지만, 매우 많지만, 여기서는 참겠습니다.

저는 오늘 출장 갑니다.
일터 일로 양평, 서산, 부여, 함양, 진주를 다녀와야 합니다. 
내일 오후에 돌아오니 모레는 편지를 보낼 수 있을 겁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어제 오후에 일터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전화가 울어 받아보니 3060이라는 번호의 차가 제 것이 맞냐고 하더군요.
그래서 그런다고 했더니,
무려 한 시간이 넘게 계속 시동이 걸려 있는데, 무슨 이유가 있냐고 묻더군요.
이런... 제가 이유는 무슨 이유가 있겠습니까 그놈의 건망증 때문이죠.
비가 올때 사무실에 나오는 바람에 우산 챙기느라 차 열쇠 빼는 것을 깜빡한 겁니다.
요즘처럼 기름 값이 비쌀 때...

이 머리도 이제 다 되었나 봅니다. 

말 나온 김에 건망증과 치매의 다른 점을 알려 드릴까요?
건망증은 열쇠를 손에 들고 "내 열쇠가 어딨지?"라고 찾는 것이고,
치매는 열쇠를 손에 들고 "이게 뭐 하는 물건인고?"라고 하는 것이라네요. ^^*

저는 열쇠가 뭐하는 물건인지는 압니다. 아직은... ^___^*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5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30
1416 [2013/03/29] 우리말) 셋째 태어나고 아내에게 쓴 편지 머니북 2013-03-29 3579
1415 [2012/06/14] 우리말) 관심은 가지는 게 아니라 두는 것 머니북 2012-06-15 3579
1414 [2012/05/14] 우리말) 남의나이와 남의눈 머니북 2012-05-14 3579
1413 [2008/10/01] 우리말) '안되다'와 '안 되다' id: moneyplan 2008-10-01 3579
1412 [2007/10/18]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id: moneyplan 2007-10-18 3579
1411 [2017/02/22] 우리말) 역시 머니북 2017-02-22 3578
1410 [2011/06/17] 우리말) 나시와 민소매 머니북 2011-06-17 3578
1409 [2010/07/14] 우리말) 빠르면 오늘 소환? [1] moneybook 2010-07-14 3578
1408 [2008/07/03] 우리말) 메기탕과 매기탕 id: moneyplan 2008-07-03 3578
1407 [2015/02/16] 우리말) 새털과 쇠털 머니북 2015-02-16 3577
1406 [2013/10/07] 우리말) 책 '어이없이 틀리는 우리말 500' 머니북 2013-10-07 3577
1405 [2016/10/10] 우리말) ‘빠르다’와 ‘이르다’ 머니북 2016-11-01 3576
1404 [2015/11/27] 우리말) 숫눈과 숫눈길 머니북 2015-11-27 3576
1403 [2009/05/04] 우리말) 동무와 벗 id: moneyplan 2009-05-06 3575
1402 [2007/08/14] 우리말) '벼리'와 비슷한 뜻의 낱말 id: moneyplan 2007-08-14 3575
1401 [2007/06/14] 우리말) 담합이 아니라 짬짜미 id: moneyplan 2007-06-15 3575
1400 [2016/06/14] 우리말) 몹쓸 머니북 2016-06-15 3574
1399 [2014/10/16] 우리말) 따뜻한 편지 머니북 2014-10-16 3574
1398 [2012/03/13] 우리말) 애동대동과 중씰 머니북 2012-03-13 3574
1397 [2013/10/23] 우리말) 속알딱지 -> 소갈딱지 머니북 2013-10-23 3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