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쓰는 표현, 그것이 정확히 바른 말은 아니라 하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쓰는 표현을 꼭 틀렸으니 써서는 안된다고 하기가 어렵습니다.
[개그콘서트 피디]

안녕하세요.

새벽부터 눈이 많이 내렸습니다.
오가시면서 눈길이나 빙판길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1.
며칠 전에
개그콘서트에 나온 '도찐개찐'은 '도 긴 개 긴'으로 써야 한다는 편지를 드린 적이 있습니다.
그 편지를 보시고 담당 피디께서 답장을 보내오셨기에, 허락을 받고 여기에 붙입니다.
판단은 여러분 몫입니다. ^^*


[공유 허락하는 편지]
공유하시는 건 상관없습니다만, 
공유할 만한 가치가 있는 내용인지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필요하시다면 공유하셔도 좋습니다.
사실 제작진에서도 '도찐개찐'으로 정할 때까지 많이 고민한 부분입니다.

앞으로도 우리말 편지 열심히 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처음 보낸 편지]
안녕하세요? 언제부터인지는 잘 기억이 나지 않지만... 
오래전부터 보내 주신 우리말123 편지에 늘 고마움을 느낍니다. 이제야 고맙다는 말을 전하게 되네요.

전 <개그콘서트> PD입니다.
<도찐개찐>에 대한 글을 보내 주셔셔, 그에 대한 변명 아닌 변명을 하려고 이렇게 답장을 보내네요^^
'도 긴 개 긴'이 올바른 표현이라는 건 잘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방송언어가 당연히 바른 말을 써야한다는 것도 백번 맞는 말입니다.

하지만 TV프로그램 혹은 대중문화에서는 언어의 '대중성'과 '일반성'에 대한 부분도 간과할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쓰는 표현, 그것이 정확히 바른 말은 아니라 하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쓰는 표현을 꼭 틀렸으니 써서는 안된다고 하기가 어렵습니다.
마치 '짜장면'이 표준어로 인정된 것과 같은 맥락이겠지요. 

'도 긴 개 긴'이란 표현은 대다수 사람들에게 생소한 표현이기도 하고, '도찐개찐'이 무조건 틀렸다고 하기도 어려운 말입니다.
왜냐하면 '도찐개찐'은 '도 긴 개 긴'의 사투리이기 때문이죠. 물론 자장면-짜장면처럼 '진'이 '찐'으로 된소리가 되기는 했지만 말입니다.

실제로 노래제목, 가사나 혹은 코미디 코너의 제목 등에는 사투리가 많이 사용됩니다. 
기억나실 지는 모르겠지만 예전에 <괜찮아유>라는 충청도 사투리가 제목인 코너도 있었죠. 

문학에서도 '시적허용'이라는 원칙이 있습니다. 그 작품의 맥락에서 꼭 바른말, 표준어가 아니더라도 필요한 경우라면
맞춤법의 잣대를 적용하지 않는다는 문화적인 포용성을 보여주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중문화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써 코미디 프로그램에도 좀 더 관대한 애정과 관심을 가져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시 한 번 우리말 편지에 고마움을 전하면서,
앞으로도 잘 부탁합니다.



2.
지금은 없어졌지만, 개그콘서트에서 '뿜엔터테인먼트'라는 게 있었습니다.
'~느낌 아니까~', '~하고 가실게요', '자나 자나'같은 유행하는 말을 만들어 주목을 받았죠.
그때 쓴 <~하고 가실게요>는 틀린 말입니다. 
그런 지적에 방송사에서는 2013. 9. 1. 아래와 같은 자막을 내 보내고, 방송은 그대로 했습니다.

주의!
<~하고 가실게요>는 주체 높임형 선어말어미 '-시'와
약속형 종결어미 '-ㄹ게'가 함께 쓰인 잘못된 표현으로,
<~할게요/~하겠습니다>가 바른 표현입니다.


이 판단 또한 여러분에게 맡깁니다. ^^*


고맙습니다.

오늘 편지가 좀 길어서
예전에 보낸 편지는 붙이지 않겠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96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535
2416 [2007/07/02] 우리말) 선호가 아니라 좋아함입니다 id: moneyplan 2007-07-02 3833
2415 [2007/07/03] 우리말) 갑절과 곱절 id: moneyplan 2007-07-03 3774
2414 [2007/07/04] 우리말) 과반수와 반수 id: moneyplan 2007-07-04 3665
2413 [2007/07/04] 우리말) 후덥지근과 후텁지근 id: moneyplan 2007-07-04 3707
2412 [2007/07/05] 우리말) 잔불과 뒷불 id: moneyplan 2007-07-05 3414
2411 [2007/07/06] 우리말) 뒷다마와 뒷담화 id: moneyplan 2007-07-06 3710
2410 [2007/07/09] 우리말) 평창이 안타까워서... id: moneyplan 2007-07-09 4050
2409 [2007/07/10] 우리말) 금자탑 id: moneyplan 2007-07-10 3607
2408 [2007/07/11] 우리말) 점점 나아지다 id: moneyplan 2007-07-11 3671
2407 [2007/07/12] 우리말) 격강이 천리라 id: moneyplan 2007-07-12 3683
2406 [2007/07/13] 우리말) 짧은 편지 id: moneyplan 2007-07-13 4389
2405 [2007/07/16] 우리말) 엉터리 말 몇 개 id: moneyplan 2007-07-16 4091
2404 [2007/07/18] 우리말) 평방미터가 아니라 제곱미터 id: moneyplan 2007-07-18 3726
2403 [2007/07/24] 우리말) '뱃속'과 '배 속' id: moneyplan 2007-07-24 3390
2402 [2007/07/25] 우리말) 공멸은 피해야 합니다 id: moneyplan 2007-07-25 3533
2401 [2007/07/26] 우리말) 생률이 아니라 날밤입니다 id: moneyplan 2007-07-26 3632
2400 [2007/07/27] 우리말) 싱글맘 id: moneyplan 2007-07-31 3742
2399 [2007/07/28] 우리말) 가위표와 가새표 id: moneyplan 2007-07-31 3823
2398 [2007/07/30] 우리말) 담백한 게 아니라 깔끔한 것 입니다 id: moneyplan 2007-07-31 3564
2397 [2007/07/31] 우리말) 탈레반, 정말 밉네요 id: moneyplan 2007-07-31 3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