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쓰는 표현, 그것이 정확히 바른 말은 아니라 하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쓰는 표현을 꼭 틀렸으니 써서는 안된다고 하기가 어렵습니다.
[개그콘서트 피디]

안녕하세요.

새벽부터 눈이 많이 내렸습니다.
오가시면서 눈길이나 빙판길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1.
며칠 전에
개그콘서트에 나온 '도찐개찐'은 '도 긴 개 긴'으로 써야 한다는 편지를 드린 적이 있습니다.
그 편지를 보시고 담당 피디께서 답장을 보내오셨기에, 허락을 받고 여기에 붙입니다.
판단은 여러분 몫입니다. ^^*


[공유 허락하는 편지]
공유하시는 건 상관없습니다만, 
공유할 만한 가치가 있는 내용인지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필요하시다면 공유하셔도 좋습니다.
사실 제작진에서도 '도찐개찐'으로 정할 때까지 많이 고민한 부분입니다.

앞으로도 우리말 편지 열심히 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처음 보낸 편지]
안녕하세요? 언제부터인지는 잘 기억이 나지 않지만... 
오래전부터 보내 주신 우리말123 편지에 늘 고마움을 느낍니다. 이제야 고맙다는 말을 전하게 되네요.

전 <개그콘서트> PD입니다.
<도찐개찐>에 대한 글을 보내 주셔셔, 그에 대한 변명 아닌 변명을 하려고 이렇게 답장을 보내네요^^
'도 긴 개 긴'이 올바른 표현이라는 건 잘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방송언어가 당연히 바른 말을 써야한다는 것도 백번 맞는 말입니다.

하지만 TV프로그램 혹은 대중문화에서는 언어의 '대중성'과 '일반성'에 대한 부분도 간과할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쓰는 표현, 그것이 정확히 바른 말은 아니라 하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쓰는 표현을 꼭 틀렸으니 써서는 안된다고 하기가 어렵습니다.
마치 '짜장면'이 표준어로 인정된 것과 같은 맥락이겠지요. 

'도 긴 개 긴'이란 표현은 대다수 사람들에게 생소한 표현이기도 하고, '도찐개찐'이 무조건 틀렸다고 하기도 어려운 말입니다.
왜냐하면 '도찐개찐'은 '도 긴 개 긴'의 사투리이기 때문이죠. 물론 자장면-짜장면처럼 '진'이 '찐'으로 된소리가 되기는 했지만 말입니다.

실제로 노래제목, 가사나 혹은 코미디 코너의 제목 등에는 사투리가 많이 사용됩니다. 
기억나실 지는 모르겠지만 예전에 <괜찮아유>라는 충청도 사투리가 제목인 코너도 있었죠. 

문학에서도 '시적허용'이라는 원칙이 있습니다. 그 작품의 맥락에서 꼭 바른말, 표준어가 아니더라도 필요한 경우라면
맞춤법의 잣대를 적용하지 않는다는 문화적인 포용성을 보여주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중문화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써 코미디 프로그램에도 좀 더 관대한 애정과 관심을 가져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시 한 번 우리말 편지에 고마움을 전하면서,
앞으로도 잘 부탁합니다.



2.
지금은 없어졌지만, 개그콘서트에서 '뿜엔터테인먼트'라는 게 있었습니다.
'~느낌 아니까~', '~하고 가실게요', '자나 자나'같은 유행하는 말을 만들어 주목을 받았죠.
그때 쓴 <~하고 가실게요>는 틀린 말입니다. 
그런 지적에 방송사에서는 2013. 9. 1. 아래와 같은 자막을 내 보내고, 방송은 그대로 했습니다.

주의!
<~하고 가실게요>는 주체 높임형 선어말어미 '-시'와
약속형 종결어미 '-ㄹ게'가 함께 쓰인 잘못된 표현으로,
<~할게요/~하겠습니다>가 바른 표현입니다.


이 판단 또한 여러분에게 맡깁니다. ^^*


고맙습니다.

오늘 편지가 좀 길어서
예전에 보낸 편지는 붙이지 않겠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2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38
2376 [2009/06/24] 우리말) 짝꿍과 맞짱 id: moneyplan 2009-06-24 3213
2375 [2014/07/25] 우리말) 안전하지 않은 안전사고 머니북 2014-07-25 3213
2374 [2008/11/1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1-18 3214
2373 [2009/02/27] 우리말) 일자리 나누기와 잡 셰어링 id: moneyplan 2009-02-27 3214
2372 [2013/04/08] 우리말) 봄 축제 머니북 2013-04-08 3214
2371 [2009/09/09] 우리말) 어제 받은 편지를 소개합니다 id: moneyplan 2009-09-09 3215
2370 [2011/04/07]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moneybook 2011-04-07 3215
2369 [2012/02/28] 우리말) 투잡은 겹벌이로 다듬어 씁시다 file 머니북 2012-02-28 3215
2368 [2014/06/25] 우리말) 끌탕 머니북 2014-06-26 3215
2367 [2009/08/06] 우리말) 중과 가운데 id: moneyplan 2009-08-06 3216
2366 [2009/05/21] 우리말) 이모씨 id: moneyplan 2009-05-21 3217
2365 [2009/10/23] 우리말) 하루가 되기는 싫습니다 id: moneyplan 2009-10-23 3217
2364 [2016/04/07] 우리말) 어연번듯하다 머니북 2016-04-07 3217
2363 [2015/10/06] 우리말) 살무사와 살모사(2) 머니북 2015-10-06 3218
2362 [2009/04/02] 우리말) 예전 편지만 붙입니다. id: moneyplan 2009-04-02 3219
2361 [2016/04/11] 우리말) 이울다 머니북 2016-04-11 3219
2360 [2008/12/28] 우리말) 고향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2-29 3220
2359 [2012/02/10] 우리말) 예/아니요 머니북 2012-02-10 3221
2358 [2015/02/08] 우리말) 리더십과 리더쉽 머니북 2015-02-09 3222
2357 [2016/10/28] 우리말) 어색한 표준말들 머니북 2016-11-01 3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