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줍게’보다는 ‘어줍잖게’라는 말을 많이 쓰고 있지만, 바른 표현이 아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읽겠습니다.



‘어줍다’와 ‘어쭙잖다’

우리말에 ‘어줍다’는 말이 있다. 서투르고 어설픈 것을 표현할 때, 또는 어쩔 줄을 몰라 겸연쩍거나 어색한 모습을 나타낼 때 쓰는 말이다. 남자가 맞선을 보면서 시선 처리를 잘 못하고 말을 더듬는다든지 하면 “그 남자는 맞선을 보면서 무척 어줍어했다.”라고 쓸 수 있다. ‘이렇게 보면 어줍다’는 말은 ‘수줍다’와 비슷한 점이 있다. ‘수줍다’는 “숫기가 없어 다른 사람 앞에서 부끄러워하다.”는 뜻으로, “그 여자는 맞선을 보면서 몹시 수줍어했다.”처럼 쓰인다. 그러니까 어줍은 남자와 수줍은 여자가 맞선을 보게 되면, 얼마나 어색한 자리가 될 것인가.

우리는 ‘어줍게’보다는 ‘어줍잖게’라는 말을 많이 쓰고 있지만, 바른 표현이 아니다. ‘어줍다’가 “서투르고 어설프다”는 뜻이니까 ‘어줍잖다’라고 하면 그 반대인 “세련되다”는 뜻을 나타내야 이치에 맞을 것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서투르고 어설픈 것을 표현할 때 ‘어줍잖다’, ‘어줍잖게’처럼 말하고 있다. 이것은 ‘우연하게’라고 말해야 할 자리에 ‘우연찮게’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어줍다’는 표준말이지만, ‘어줍잖다’는 표준말이 아니다.

그런데 ‘어줍다’와 비슷한 말로 ‘어쭙잖다’라는 말이 있다. 아주 서투르고 어설플 때, 또는 비웃음을 살 만큼 분수에 넘치는 짓을 할 때 ‘어쭙잖다’라는 말을 쓴다. 가령 “그런 어쭙잖은 실력으론 우리 회사에서 배겨나지 못할 거야.” 한다든지, “변변한 벌이도 없으면서 어쭙잖게 자가용을 몰고 다니냐?”라고 쓸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바로 이때의 ‘어쭙잖다’를 ‘어줍잖다’로 잘못 발음하고 있는 것이다.

성기지/ 한글문화연대 학술위원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3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43
2656 [2006/09/04] 우리말) 들이키다와 들이켜다 id: moneyplan 2006-09-04 5760
2655 [2006/09/05] 우리말) 과일과 과실 id: moneyplan 2006-09-05 6446
2654 [2006/09/06] 우리말) 코스모스꽃? 살사리꽃! id: moneyplan 2006-09-06 6007
2653 [2006/09/07] 우리말) 휭하니 >> 힁허케 id: moneyplan 2006-09-07 5994
2652 [2006/09/07] 우리말) 일본 왕실의 왕자 탄생을 축하합니다 id: moneyplan 2006-09-08 5703
2651 [2006/09/08] 우리말) 자세한 내역? 자세한 내용? 자세하게? id: moneyplan 2006-09-08 5990
2650 [2006/09/11] 우리말) 납골당 >> 봉안당 id: moneyplan 2006-09-11 6180
2649 [2006/09/12] 우리말) 필자가 아니라 글쓴이! id: moneyplan 2006-09-12 6111
2648 [2006/09/13] 우리말) 고개를 숙이고 땅을 쳐다봐? id: moneyplan 2006-09-13 5985
2647 [2006/09/14] 우리말) 가을내가 아니라 가으내 id: moneyplan 2006-09-14 5658
2646 [2006/09/15] 우리말) 게슴츠레 졸린 눈 id: moneyplan 2006-09-15 6120
2645 [2006/09/18] 우리말) 즐거운 비명 id: moneyplan 2006-09-18 6636
2644 [2006/09/16] 우리말) 어머니 글을 또 보내드립니다 id: moneyplan 2006-09-18 5503
2643 [2006/09/18] 우리말) 숟가락을 떨어트리다? 떨어뜨리다? id: moneyplan 2006-09-18 6983
2642 [2006/09/19] 우리말) 고랭지, 고냉지, 고령지 id: moneyplan 2006-09-19 5995
2641 [2006/09/20] 우리말) 살사리꽃이 하늘거릴까 하늘댈까? id: moneyplan 2006-09-20 6079
2640 [2006/09/21] 우리말) 염치불구하고... id: moneyplan 2006-09-21 5635
2639 [2006/09/22] 우리말) 햇땅콩이 아니라 해땅콩입니다 id: moneyplan 2006-09-22 5469
2638 [2006/09/24] 우리말) 산문 모음집 id: moneyplan 2006-09-25 5589
2637 [2006/09/25] 우리말) 모듬과 모둠 id: moneyplan 2006-09-25 6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