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줍게’보다는 ‘어줍잖게’라는 말을 많이 쓰고 있지만, 바른 표현이 아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읽겠습니다.



‘어줍다’와 ‘어쭙잖다’

우리말에 ‘어줍다’는 말이 있다. 서투르고 어설픈 것을 표현할 때, 또는 어쩔 줄을 몰라 겸연쩍거나 어색한 모습을 나타낼 때 쓰는 말이다. 남자가 맞선을 보면서 시선 처리를 잘 못하고 말을 더듬는다든지 하면 “그 남자는 맞선을 보면서 무척 어줍어했다.”라고 쓸 수 있다. ‘이렇게 보면 어줍다’는 말은 ‘수줍다’와 비슷한 점이 있다. ‘수줍다’는 “숫기가 없어 다른 사람 앞에서 부끄러워하다.”는 뜻으로, “그 여자는 맞선을 보면서 몹시 수줍어했다.”처럼 쓰인다. 그러니까 어줍은 남자와 수줍은 여자가 맞선을 보게 되면, 얼마나 어색한 자리가 될 것인가.

우리는 ‘어줍게’보다는 ‘어줍잖게’라는 말을 많이 쓰고 있지만, 바른 표현이 아니다. ‘어줍다’가 “서투르고 어설프다”는 뜻이니까 ‘어줍잖다’라고 하면 그 반대인 “세련되다”는 뜻을 나타내야 이치에 맞을 것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서투르고 어설픈 것을 표현할 때 ‘어줍잖다’, ‘어줍잖게’처럼 말하고 있다. 이것은 ‘우연하게’라고 말해야 할 자리에 ‘우연찮게’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어줍다’는 표준말이지만, ‘어줍잖다’는 표준말이 아니다.

그런데 ‘어줍다’와 비슷한 말로 ‘어쭙잖다’라는 말이 있다. 아주 서투르고 어설플 때, 또는 비웃음을 살 만큼 분수에 넘치는 짓을 할 때 ‘어쭙잖다’라는 말을 쓴다. 가령 “그런 어쭙잖은 실력으론 우리 회사에서 배겨나지 못할 거야.” 한다든지, “변변한 벌이도 없으면서 어쭙잖게 자가용을 몰고 다니냐?”라고 쓸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바로 이때의 ‘어쭙잖다’를 ‘어줍잖다’로 잘못 발음하고 있는 것이다.

성기지/ 한글문화연대 학술위원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9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32
2576 [2017/05/02] 우리말) 순식간 머니북 2017-05-06 3702
2575 [2017/05/01] 우리말) 허점과 헛점 머니북 2017-05-06 3807
2574 [2017/04/28] 우리말) 아슬아슬 머니북 2017-04-29 3561
2573 [2017/04/27] 우리말) 게정/어기대다 머니북 2017-04-27 4348
2572 [2017/04/24] 우리말) 국어를 잘 배우자 머니북 2017-04-24 3559
2571 [2017/04/21] 우리말) 맑순 주세요 머니북 2017-04-22 3618
2570 [2017/04/20] 우리말) 리터 단위 머니북 2017-04-21 3444
2569 [2017/04/19] 우리말) 젬뱅이와 손방 머니북 2017-04-21 3926
2568 [2017/04/18] 우리말) 엿먹다 머니북 2017-04-18 3483
2567 [2017/04/17] 우리말) 달물결 머니북 2017-04-18 3577
2566 [2017/04/13] 우리말) 사전 이야기 머니북 2017-04-13 3493
2565 [2017/04/13] 우리말) 데구루루 머니북 2017-04-13 3875
2564 [2017/04/12] 우리말) 나와바리 머니북 2017-04-12 3489
2563 [2017/04/11] 우리말) '그것참'인데, '그거참 머니북 2017-04-11 3799
2562 [2017/04/10] 우리말) 우리글 교양을 높이기 위한 시민강좌 머니북 2017-04-11 3506
2561 [2017/04/07] 우리말) 만발 -> 활짝 머니북 2017-04-10 3858
2560 [2017/04/06] 우리말) 후리지아 -> 프리지어 머니북 2017-04-06 3226
2559 [2017/04/04] 우리말) 거방지다/걸판지다 머니북 2017-04-05 3459
2558 [2017/04/03] 우리말) 까다롭다/까탈스럽다 머니북 2017-04-04 3435
2557 [2017/03/31] 우리말) 비탈이 가파라서? 가팔라서? 머니북 2017-04-03 3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