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1/08] 우리말) 많다와 잦다(2)

조회 수 3564 추천 수 0 2015.01.09 08:53:31

제 생각에 '잦다'는 간격을 기준으로 한 표현인 것 같고, '많다'는 전체 횟수를 기준으로 한 표현인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어제 편지를 보시고 유영희 님이 댓글을 보내주셨습니다.
유영희 님의 허락을 받고 여러분과 같이 읽고자 합니다.

안녕하세요?
'잦다'와 '많다'의 쓰임에 대한 편지 잘 받아보았습니다. 제 생각에 '잦다'는 간격을 기준으로 한 표현인 것 같고, '많다'는 전체 횟수를 기준으로 한 표현인 것 같아요. 그래서 '많다'라는 것이 딱히 바르지 않다고 보기는 어렵지 않을까 싶네요. 다만, 상황으로 보아 '잦다'라는 표현이 적절할 때가 많을 것 같기는 합니다.  

그리고 이와는 관계없는 의견이 하나 있는데, 답장 쓰는 김에 내친 김에 더 쓸게요. 
요즘 구제역이 또 발생해서 걱정이 많습니다. 최근 어느 신문에 우리에 있는 소 사진을 싣고 언젠가 구제역이 발생해서 소 67,000마리를 살처분했다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살처분이라고 하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는 산 채로 매장하는 건데 살처분이라고 하면 마치 죽여서 처분한다는 느낌이 더 많이 들어서 뭔가 상황의 심각성을 흐리게 하는 기능을 한다고 봅니다. 게다가 '살처분'이라는 말이 국어사전에는 아직 올라와 있지도 않더라고요. 그래서 저 혼자 '생처분'이 더 적절하지 않을까 생각해보았습니다. 

그런데 이 내용을 저희 애한테 말했더니, 그건 아닌 것 같다고 하네요. 
살처분이라면 '죽인 후 없앤다'가 아니라 '죽이는 방법으로 처리한다'의 의미라고 이해할 수 있고, 실제로 저희 아이는 그렇게 생각해서 별 무리 없어 보인다고요. 오히려 '생처분'이라고 하면 '산 채 매장한다'가 아니라 '살아있게 한다'로 오해할 수 있다고 하네요. 

그 말을 듣고 국어사전에는 없는 단어지만 인터넷에서 '살처분'을 쳐보니, 구제역에 전염된 동물들을 처리하는 방법에는 '생매장처분'과 '소각처분'이 있다고 합니다. '소각처분'은 '죽인 후 태워 없앤다'여서 '죽인 후 없앤다'에 해당하더라고요. (어떻게 죽이는지는 아무리 찾아도 없네요.) 물론 우리나라에서는 '생매장처분'을 주로 쓰고 있지만, 일부 '소각처분'도 하고 있다고 합니다.그렇다면 오해의 여지도 있고 사실과도 딱 맞지 않는 '생처분'이라는 단어로 바꾸는 것은 무리가 있어 보이네요. 경각심을 살리자고 '생매장처분' '소각처분' 이렇게 구분해서 쓰자고 할 수도 없는 일이고요. 

사람이 고기를 값싸게 많이 먹기 위해서 대량사육하다가 동물들이 병에 걸리고 생매장도 당한다고 생각하니 새삼스레 가슴이 저며오는 기분이 들고 고기맛도 뚝 떨어져요. 그런데 살처분이라고 하면 당연히 죽어야 할 동물을 '죽여서' 없애는 것 같아서 다른 단어로 바꾸면 좋겠는데, '생처분'도 딱 맞는 것 같지는 않아요. 좋은 단어가 없을까요? 

이미 있는 바른말 쓰기 운동하기도 어려운데, 없는 말 생각하자고 의논 드리니 짐을 하나 얹어 드리는 것 같네요. 
그래도 의논드릴 데가 여기밖에 없군요. ㅠ.ㅠ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9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07
1296 [2015/05/19] 우리말) 생광스럽다 머니북 2015-05-19 3585
1295 [2012/07/02] 우리말) 천장과 천정 머니북 2012-07-02 3586
1294 [2014/10/16] 우리말) 따뜻한 편지 머니북 2014-10-16 3586
1293 [2017/02/22] 우리말) 역시 머니북 2017-02-22 3586
1292 [2012/04/05] 우리말) 한식 머니북 2012-04-05 3587
1291 [2012/06/14] 우리말) 관심은 가지는 게 아니라 두는 것 머니북 2012-06-15 3587
1290 [2015/11/10] 우리말) 개비/피우다 머니북 2015-11-10 3587
1289 [2013/10/07] 우리말) 책 '어이없이 틀리는 우리말 500' 머니북 2013-10-07 3588
1288 [2008/07/10] 우리말) 오시면 선물을 드립니다 ^^* id: moneyplan 2008-07-10 3589
1287 [2011/05/24] 우리말) 갑시다 moneybook 2011-05-24 3589
1286 [2013/11/04] 우리말) 난임과 촌스럽다 머니북 2013-11-04 3589
1285 [2012/06/29] 우리말) 같이 읽고 싶은 글 머니북 2012-06-29 3589
1284 [2008/04/07] 우리말) 꽃보라 id: moneyplan 2008-04-07 3590
1283 [2012/03/13] 우리말) 애동대동과 중씰 머니북 2012-03-13 3590
1282 [2016/10/21] 우리말) 받침소리의 혼란 머니북 2016-11-01 3590
1281 [2007/08/14] 우리말) '벼리'와 비슷한 뜻의 낱말 id: moneyplan 2007-08-14 3591
1280 [2015/02/16] 우리말) 새털과 쇠털 머니북 2015-02-16 3591
1279 [2007/06/07] 우리말) 함박꽃 id: moneyplan 2007-06-07 3592
1278 [2013/03/29] 우리말) 셋째 태어나고 아내에게 쓴 편지 머니북 2013-03-29 3592
1277 [2013/07/02] 우리말) 눈썹과 눈썰미 머니북 2013-07-02 3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