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1/15] 우리말) 토씨

조회 수 2863 추천 수 0 2015.01.15 09:07:35

우리 주변에는 작은 것, 사소한 것, 하찮은 것이 많습니다.
그러나 그런 것들도 모두 쓰임이 있습니다.
그리고 때에 따라 그 쓰임이 다른 그 무엇과 견줄 수 없이 큰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제보다 더 포근할 거라네요.

저는 사람을 만나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주로 말하기보다는 남의 말을 듣는 것을 좋아하고, 이왕이면 쉽게 맘을 터놓을 수 있는 술자리가 좋습니다.
(그래서 어떤 분은 제가 술을 좋아하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습니다. ^^*)

어제는 네 명이 모여 작은 것, 사소한 것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작은 것이지만 소중할 수 있고, 사소하지만 나중에 크게 쓰일 수 있는...

우리말에는 품사가 있습니다. 이름씨(명사), 움직씨(동사), 그림씨(형용사) 같은 것도 있지만 토씨(조사)도 있습니다.
다른 것은 혼자 쓰일 수 있지만, 조사는 체언이나 부사, 어미 따위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줍니다. 혼자 쓰일 수는 없습니다.
조사를 순우리말로는 토씨나 걸림씨라고도 합니다.(둘 다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토씨'에는 문법적인 풀이 말고도, 작은 것이나 하찮은 것이라는 뜻도 있을 것 같습니다.

어쨌든,
토씨처럼 혼자 쓰일 수도 없는 작은 것도, 그 쓰임에 따라 다른 어떤 것보다도 크게 쓰일 수도 있습니다.
술을 마신다.
술도 마신다.
술만 마신다.
술은 마신다.
이렇게 네 문장은 토씨 쓰임에 따라 뜻이 다 다릅니다. 그것도 크게 다릅니다.
작고 하찮은 토씨 하나로 뜻과 맛을 달리할 수 있는 것이죠.

우리 주변에는 작은 것, 사소한 것, 하찮은 것이 많습니다.
그러나 그런 것들도 모두 쓰임이 있습니다.
그리고 때에 따라 그 쓰임이 다른 그 무엇과 견줄 수 없이 큰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작은 것을 깊게 생각해보는 하루로 살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산보, 산책, 걷기, 거ㅤㄴㅣㄻ]

안녕하세요.

어제 밀가루와 밀가리의 다른 점을 말씀드렸죠?
밀가루로는 국수를 만들고 밀가리로는 국시를 만든다고 말씀드렸는데,
다른 점이 또 있네요.
밀가루는 봉지에 담고, 밀가리는 봉다리에 담는다네요. ^^*

오늘도 아침부터 찌는 듯이 덥네요.
오늘 낮에는 얼마나 삶아댈지 걱정입니다.
이렇게 더위에 시달린 날에는 저녁 먹고 잠시 걷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산책을 하시든, 산보를 하시든, 그냥 걷거나 거니시든 간에...

어떤 분은 '산보'는 일본에서 온 말이니 되도록 쓰지 않아야 한다고 합니다. 산책이라고 해야 한다네요.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일본에서 온 낱말은 '일본어투 생활용어> ○로 순화', 또는 <일(원어 표시)>처럼 일본말 뿌리를 보여줍니다.
그러나 '산보'에는 그러한 정보가 없습니다.
그저 '산보'를 '산책'과 같은 말로만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본말이라는 확실한 증거나 뿌리를 못 찾았다는 거겠죠.

같은 사전에서 '산책'을 찾아보면,
"휴식을 취하거나 건강을 위해서 천천히 걷는 일."이라고 나와 있고 '산보'와 같은 뜻이라고 풀어놨습니다.

제 생각에는, 짧은 제 생각으로는
산보(散步)를 [산:뽀]라 읽는데 이게 일본말 さんぽ[散步, 상뽀]와 비슷해서 그렇게 생각하시는 것 같습니다.

네이버에서 웹문서를 검색해 보니
산보 187,560건, 산책 4,068,264건이 나오네요.
어쨌든 우리가 산보보다는 산책을 더 많이 쓰는 게 보입니다. ^^*

북한에서는 '산책로'를 '거님길'이라고 한다네요.
한자를 쓰지 않고 순우리말을 쓰고자 힘쓰는 게 보입니다.
'동의어'라 안 하고 '뜻같은말'이라 하고,
'출입문'이라 안 하고 '나들문'이라 하고,
'합성어'라 안 하고 '합친말'이라 하는 것을 보면 그런 제 생각이 맞나 봅니다.

이야기가 좀 길어졌는데요. 
오늘 드릴 말씀은 지금부터입니다.

산보나 산책의 뜻이 운동을 하거나 바람을 쐬고자 이리저리 거니는 것이라면,
'거닐기'나 '거ㅤㄴㅣㄻ'이라고 하면 어떨까 생각해 봅니다.
그냥 '걷기'라고 해도 좋고요.
네이버 웹문서에 보니 거닐기 18,411건, 거ㅤㄴㅣㄻ 455건, 걷기 1,929,975건이 나오네요.

꼭 산책이라고 해야 시원한 느낌이 들고
산보라고 해야 운동이 되는 것은 아닐 겁니다.
풀잎 하나 입에 물고 조용히 거닐면 그게 더 시원해 보이지 않나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494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0518
156 [2009/01/29] 우리말) 높임말 id: moneyplan 2009-01-29 2901
155 [2014/12/08] 우리말) 기프트 카 머니북 2014-12-08 2899
154 [2015/05/22] 우리말) 코르크 머니북 2015-05-26 2898
153 [2015/04/16] 우리말) 애성이 머니북 2015-04-16 2898
152 [2016/07/06] 우리말) 어수룩해지려고 귀촌하는가? 머니북 2016-07-06 2896
151 [2010/03/29] 우리말) 자글거리다 id: moneyplan 2010-03-29 2896
150 [2016/01/13] 우리말) 대갚음/되갚음 머니북 2016-01-14 2895
149 [2013/06/24] 우리말) 혼신 머니북 2013-06-24 2893
148 [2014/12/11] 우리말) 군드러지다 머니북 2014-12-11 2892
147 [2014/07/15] 우리말) 강담/죽담 머니북 2014-07-15 2889
146 [2010/07/15] 우리말) 본데와 본때 moneybook 2010-07-15 2889
145 [2014/10/27] 우리말) 치 머니북 2014-10-27 2888
144 [2015/03/26] 우리말) 2014년 새 낱말 머니북 2015-03-26 2884
143 [2009/06/24] 우리말) 짝꿍과 맞짱 id: moneyplan 2009-06-24 2884
142 [2014/12/31] 우리말) 요즘 쓸 말 머니북 2014-12-31 2881
141 [2015/10/26] 우리말) 두껍다와 두텁다 머니북 2015-10-27 2880
140 [2009/07/17] 우리말) 예전에 보낸 지킴이 인사말 id: moneyplan 2009-07-17 2880
139 [2015/12/02] 우리말) 속박이 머니북 2015-12-02 2878
138 [2014/11/25] 우리말) 성대모사/성대묘사/목소리 흉내 머니북 2014-11-25 2877
137 [2009/09/29] 우리말) 햇감자와 해땅콩 id: moneyplan 2009-09-29 28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