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1/19] 우리말) 총각김치(2)

조회 수 3925 추천 수 0 2015.01.19 09:22:29

총각무를 ‘알무’ ‘알타리무’라 하는 사람도 많다. 허나, 이들 단어도 이젠 표준어가 아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꽤 춥네요. 낮에는 좀 풀리겠죠? ^^*

이런 날은 아무래도 사무실 안과 밖의 온도차이가 클 겁니다. 이럴때일수록 건강을 잘 챙겨야 한다고 합니다.
'안'은 "어떤 물체나 공간의 둘러싸인 가에서 가운데로 향한 쪽. 또는 그런 곳이나 부분."입니다. 
건물 안, 극장 안에 들어갔다, 지갑 안에서 돈을 꺼내다처럼 씁니다.
'밖'은 "무엇에 의하여 둘러싸이지 않은 공간. 또는 그쪽."입니다.
밖에 나가서 놀아라, 밖은 추우니 나오지 말고…….처럼 씁니다.

이렇게 '안'과 '밖'으로 쓸 때는 그냥 그대로 쓰는데,
두 낱말이 합쳐져 "사물이나 영역의 안과 밖."이라는 뜻으로 쓸 때는 '안밖'이 아니라 '안팎'이 됩니다.
한글 맞춤법 4장4절31항에
두 말이 어울릴 적에 'ㅂ'소리나 'ㅎ'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게 되어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안팎의 온도차가 큽니다.
건강 잘 챙기시기 바랍니다.
이제 겨울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내일이 대한이고, 보름만 있으면 입춘입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아름답다]

안녕하세요.

무척 덥죠?
이런 날씨에는 생각만이라도 좋은 생각을 하면 좀 덜 더울까요? ^^*

'아름답다'는 낱말을 아시죠?
보고 듣는 것이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눈과 귀에 즐거움과 만족을 줄 만하다는 뜻입니다.
어디에서 보니 '아름답다'에서 '아름'이 '나'를 뜻한다고 합니다.(우리말 깨달음 사전, 우리말 배움터)
곧, 내가 나 다운 게 아름다운 거죠. 멋진 말입니다.

어린 아이는 어린 아이다워야 귀엽고,
어른은 어른다워야 존경을 받습니다.
학생은 학생다워야 하고, 선생님은 선생님다워야 합니다.
그게 다름다움이지 싶습니다.
제자리, 자기가 있는 자리에서 온 힘을 기울이는 모습이 그래서 아름다운가 봅니다.

이외수 님이 쓰신 하악하악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그 책에 있는 글을 옮기며 오늘치 우리말 편지를 매조집니다.
아름다움이란 무엇이고, 나 다운 게 무엇인지를 고민하면서 이 더운 날씨와 씨름하며 보내면 어떨까요?

'영국 사람이 영어를 잘 하는 건 마땅한 일이다. 
한국 사람이 영어를 잘 하는 건 놀라운 일이다. 
그런데 한국 사람이 영어는 잘 하면서 한국말은 잘 못하는 것은 캐안습이다. 
일찍이 퇴계 선생님이 말씀하셨다. 
내 손자가 뜰 앞에 천도복숭아가 있는데 먼 데까지 가서 개살구를 줍고 있구나. 즐!'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34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963
1656 [2009/07/21] 우리말) 체면치레 id: moneyplan 2009-07-21 3366
1655 [2010/12/13] 우리말) 희소병 moneybook 2010-12-13 3366
1654 [2010/12/22] 우리말) 못 잊다 moneybook 2010-12-22 3366
1653 [2008/06/03] 우리말) 떠나는 순자 씨가 아쉬워서...... id: moneyplan 2008-06-05 3367
1652 [2012/01/19] 우리말) 알뜰 주유소 머니북 2012-01-19 3367
1651 [2012/11/13] 우리말) 자배기 머니북 2012-11-13 3367
1650 [2009/06/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6-16 3368
1649 [2010/12/07] 우리말) 추스르다 moneybook 2010-12-07 3368
1648 [2011/05/06] 우리말) 안갚음과 치사랑 moneybook 2011-05-06 3368
1647 [2008/04/23] 우리말) 꽃잎이 떨어지더라도 아쉬워 말자 id: moneyplan 2008-04-23 3369
1646 [2008/07/01] 우리말) 리터당과 리터에... id: moneyplan 2008-07-02 3369
1645 [2009/01/23] 우리말) 어영부영 id: moneyplan 2009-01-23 3369
1644 [2009/10/19] 우리말) 가차없다 id: moneyplan 2009-10-19 3369
1643 [2011/12/27] 우리말) 짬 머니북 2011-12-27 3369
1642 [2012/11/09] 우리말) 내년부터 한글날 쉽니다(2) 머니북 2012-11-09 3369
1641 [2014/03/10] 우리말) 붚대다 머니북 2014-03-10 3369
1640 [2007/10/23] 우리말) 도저를 살려 쓰자고요? id: moneyplan 2007-10-23 3370
1639 [2009/02/05] 우리말) 야멸치다와 야멸차다 id: moneyplan 2009-02-05 3370
1638 [2012/05/10] 우리말) 금실과 금슬 머니북 2012-05-10 3370
1637 [2014/11/07] 우리말) 드레스 코드 머니북 2014-11-07 3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