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1/22] 우리말) 들뜨다와 달뜨다

조회 수 3722 추천 수 0 2015.01.22 09:12:08

'들뜨다'와 '달뜨다'는 
사전에서 보기로 든 뜻은 조금씩 다르지만 저는 거의 같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곳 전주에는 많지는 않지만 어제부터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오늘도 비가 온다고 합니다.
그래도 내일이면 주말입니다. 
날씨가 궂건 개건, 주말에는 놉니다. ^^*

우리말에 '들뜨다'가 있습니다.
"마음이나 분위기가 가라앉지 아니하고 조금 흥분되다."는 뜻이라는 것은 다 아실 겁니다.
'달뜨다'도 있습니다.
"마음이 가라앉지 아니하고 조금 흥분되다."는 뜻으로 '들뜨다'와 거의 같은 뜻입니다. 
사전에서 보기로 든 뜻은 조금씩 다르지만 저는 거의 같아 보입니다. ^^*

오늘이 목요일, 내일은 금요일.
내일만 일터에 나오면 또 이틀을 쉴 수 있다는 생각에 
일터에 나오자마자 달뜹니다. ^^*

오늘도 자주 웃으시면서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압화와 누름꽃]

안녕하세요.

오늘은 다시 덥다죠? 걱정입니다.

어제 자료 찾을 게 있어 누리집을 좀 싸돌아 다니다 보니 구례군에서 대한민국 압화대전을 했다는 게 나오네요.
오늘은 '압화'를 알아볼게요.

'압화'는 
꽃이나 식물 따위의 수분을 없앤 뒤 말려서 눌러 꽃의 새로운 아름다움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영어로는 Pressed flower라고 하는데 이 말을 우리가 받아들이면서 '압화(押花)'라고 한 게 굳어진 겁니다.
1980년대 일본에서 들어왔다고 하고, 1990년대부터 일반에 퍼지기 시작했나 봅니다.
처음 우리나라에 받아들이면서 왜 그런 한자로 받아들였는지 모르겠습니다.
요즘은 압화라 하지 않고 '누름꽃'이라 하거나 '꽃누르미'라고 합니다.
한국꽃누르미협회도 있습니다. 참 좋은 일입니다.

중요한 것은,
압화, 누름꽃, 꽃누르미 모두 아직 사전에는 오르지 못했습니다.
요즘 국립국어원에서 사전을 다시 만들고 있다고 합니다. 
그 사전에는 '압화'를 넣지 말고 '누름꽃'과 '꽃누르미'만 넣기를 빕니다.

사회에서는 압화를 덜 쓰고 꽃누르미와 누름꽃을 쓰려 힘쓰는데,
국가기관에서 사전을 만들면서 압화는 표제어로 올리고 꽃누르미와 누름꽃을 빼버리지는 않겠죠?

내친김에 하나 더 볼게요.
야생화입니다.
야생화는 野生花로 들에 피는 꽃입니다.
이를 '들꽃'이라고 하면 더 멋진 향이 나는 것 같지 않나요?

구례군 야생화 압화대전보다는
구례군 들꽃 꽃누르미나 들꽃 꽃누름이 더 멋있지 않나요?
구례에 가면 구례군농업기술센터 야생화 압화전시관이 있습니다.
이것도 들꽃 꽃누르미 마당으로 바꾸면 어떨까요?

제 생각에는
야생화나 압화 보다는
들꽃과 꽃누름이 사람을 더 끌 것 같은데 그렇지 않나요?

이렇게 좋은 우리말을 두고 왜 영어나 한자를 좇는지 모르겠습니다.
내 집안에 멋진 수석이 있는데, 
미국 개천에서 가져온 돌을 미제나 외국산이라고 좋아하는 꼴은 또 뭔지 모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3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42
1136 [2013/09/23] 우리말) 설레다와 설렘 머니북 2013-09-23 3558
1135 [2007/09/29] 우리말) '고향 방문을 환영합니다.'에서 틀린 곳이 있습니다. 어딜까요? id: moneyplan 2007-10-01 3558
1134 [2017/01/31] 우리말) 벼슬과 볏 머니북 2017-01-31 3557
1133 [2017/06/12]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머니북 2017-06-13 3555
1132 [2014/08/27] 우리말) 어떻게/어떡해 머니북 2014-08-27 3555
1131 [2013/06/11] 우리말) 압존법 머니북 2013-06-11 3555
1130 [2012/03/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2-03-08 3555
1129 [2009/01/23] 우리말) 어영부영 id: moneyplan 2009-01-23 3555
1128 [2010/08/31] 우리말) 밍밍하다와 닝닝하다 moneybook 2010-08-31 3554
1127 [2008/05/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5-10 3554
1126 [2007/11/06] 우리말) 옷깃을 스치면 인연? id: moneyplan 2007-11-06 3554
1125 [2007/06/26] 우리말) 판사는 ㄷㄹ지고 ㄷㄸ야합니다 id: moneyplan 2007-06-26 3554
1124 [2012/11/30] 우리말) 고운때 머니북 2012-11-30 3553
1123 [2010/04/29] 우리말) 들고파다 id: moneyplan 2010-04-29 3553
1122 [2007/08/15] 우리말) 엉터리 id: moneyplan 2007-08-16 3553
1121 [2012/05/17] 우리말) 스마트워크센터 머니북 2012-05-17 3552
1120 [2008/10/02] 우리말) 한글날을 앞두고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6 3552
1119 [2008/01/09] 우리말) 속긋 id: moneyplan 2008-01-09 3552
1118 [2009/04/09] 우리말) 만두 사리 id: moneyplan 2009-04-10 3551
1117 [2014/11/14] 우리말) 불임과 난임 머니북 2014-11-14 3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