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1/28] 우리말) 오지와 두메

조회 수 3589 추천 수 0 2015.01.29 09:14:50

오지(奧地)는 "해안이나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대륙 내부의 땅."입니다.
그러나 이 말은 국립국어원에서 '두메'로 다음은 말입니다. '두메'나 '두메산골'로 쓰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변산에 갔다가 이제 막 돌아왔습니다.
요즘은 길이 좋아져서 1시간 남짓하면 갈 수 있지만 5년 전만해도 길이 좋지 않아 거의 두 시간이나 걸렸다고 합니다.
바닷가라서 두메산골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어쨌든 가기 쉬운 곳은 아니었겠죠.

우리말에 '오지'가 있습니다.
일요일에 하는, 이영자 씨와 어떤 요리사가 나오는 방송이 있는데, 거기서 오지에 편지를 배달하는 우편배달부에게 따뜻한 밥을 해주는 게 나왔습니다. 바로 그런 '오지'
오지(奧地)는 "해안이나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대륙 내부의 땅."입니다.
그러나 이 말은 국립국어원에서 '두메'로 다음은 말입니다. '두메'나 '두메산골'로 쓰시면 됩니다.

아프리카 오지의 정글, 오지를 탐험하다, 오지에서 길을 잃고 헤매었다, 이 고장은 오지인 탓인지 상당히 고집스레…….는
아프리카 두메 정글, 두메산골을 탐험하다, 두메에서 길을 잃고 헤매었다, 이 고장은 두메산골이라…….처럼 쓰시면 됩니다.

가벼운 옷을 입고 나무가 우거진 두메에 들어가 맘껏 뛰어다니고 싶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내셍기다]

안녕하세요.

제가 인덕이 없기는 없나 봅니다. 
시험을 봤다고 해도, 그 결과가 오늘 나올 거라고 해도, 누군가 나지막하게 이야기해주면 좋겠다고 해도...
별로 관심이 없으시네요.
좋은 결과 기대한다고 댓글 달아주신 분은 딱 두 분,
나지막하게 이야기해 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제가 여기저기 물어보면 일부러 쓸데없는 말이나 주섬주섬 내셍기며 제 궁금증을 풀어주지 않네요.

수천 명, 수만 명이 편지를 받는데, 그 가운데 딱 두 분이 좋은 결과를 기대한다고 하셨네요. 
고맙습니다.
혹시라도, 만에 하나 혹시라도 제가 합격하면 그 두 분 덕입니다. ^___^*

'내셍기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셍'이 들어가니 좀 이상하게 보이는데요,
"내리 이 말 저 말 자꾸 주워대다."는 뜻의 순 우리말입니다.
그는 쓸데없는 말을 주섬주섬 내셍기며 화로를 뒤적인다, 몇 시간이고 신세타령을 내셍기고 있다처럼 씁니다.
이를 '내섬기다'고 하면 틀립니다.
내셍기다가 맞습니다.

오늘 발표가 나겠죠?
아직 발표가 나지 않았으니
여기서 주워대든, 저기서 내셍기든 그 말 한마디에도 귀를 쫑긋하게 되네요.
시험은 못봤으면서... ㅋㅋㅋ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95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526
616 [2015/01/05] 우리말) ‘어줍다’와 ‘어쭙잖다’ 머니북 2015-01-05 3006
615 [2015/01/06] 우리말) 개개다와 개기다 머니북 2015-01-06 2822
614 [2015/01/07] 우리말) 뽁뽁이 머니북 2015-01-07 2822
613 [2015/01/08] 우리말) 많다와 잦다 머니북 2015-01-08 3155
612 [2015/01/08] 우리말) 많다와 잦다(2) 머니북 2015-01-09 3537
611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742
610 [2015/01/13] 우리말) 에라, 잘코사니라 머니북 2015-01-13 3028
609 [2015/01/14] 우리말) 저녁과 저물녘 머니북 2015-01-14 3451
608 [2015/01/15] 우리말) 토씨 머니북 2015-01-15 2934
607 [2015/01/16] 우리말) 총각김치 머니북 2015-01-16 4072
606 [2015/01/19] 우리말) 총각김치(2) 머니북 2015-01-19 4039
605 [2015/01/20] 우리말) 올바른 방법으로 사랑해야 합니다 머니북 2015-01-20 3119
604 [2015/01/21] 우리말) 중년과 장년 머니북 2015-01-21 4228
603 [2015/01/22] 우리말) 들뜨다와 달뜨다 머니북 2015-01-22 3611
602 [2015/01/23] 우리말) 압화와 누름꽃(2) 머니북 2015-01-23 3136
601 [2015/01/26] 우리말) 싣고 갈까, 타고 갈까 머니북 2015-01-26 3407
600 [2015/01/27] 우리말) 국회 상징, 한자에서 한글로 머니북 2015-01-27 3759
» [2015/01/28] 우리말) 오지와 두메 머니북 2015-01-29 3589
598 [2015/01/29] 우리말) 부아/부화 머니북 2015-01-29 3186
597 [2015/01/20] 우리말) 뇌물 수수 협의/뒷돈 받은 듯 머니북 2015-02-02 2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