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1/28] 우리말) 오지와 두메

조회 수 3254 추천 수 0 2015.01.29 09:14:50

오지(奧地)는 "해안이나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대륙 내부의 땅."입니다.
그러나 이 말은 국립국어원에서 '두메'로 다음은 말입니다. '두메'나 '두메산골'로 쓰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변산에 갔다가 이제 막 돌아왔습니다.
요즘은 길이 좋아져서 1시간 남짓하면 갈 수 있지만 5년 전만해도 길이 좋지 않아 거의 두 시간이나 걸렸다고 합니다.
바닷가라서 두메산골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어쨌든 가기 쉬운 곳은 아니었겠죠.

우리말에 '오지'가 있습니다.
일요일에 하는, 이영자 씨와 어떤 요리사가 나오는 방송이 있는데, 거기서 오지에 편지를 배달하는 우편배달부에게 따뜻한 밥을 해주는 게 나왔습니다. 바로 그런 '오지'
오지(奧地)는 "해안이나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대륙 내부의 땅."입니다.
그러나 이 말은 국립국어원에서 '두메'로 다음은 말입니다. '두메'나 '두메산골'로 쓰시면 됩니다.

아프리카 오지의 정글, 오지를 탐험하다, 오지에서 길을 잃고 헤매었다, 이 고장은 오지인 탓인지 상당히 고집스레…….는
아프리카 두메 정글, 두메산골을 탐험하다, 두메에서 길을 잃고 헤매었다, 이 고장은 두메산골이라…….처럼 쓰시면 됩니다.

가벼운 옷을 입고 나무가 우거진 두메에 들어가 맘껏 뛰어다니고 싶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내셍기다]

안녕하세요.

제가 인덕이 없기는 없나 봅니다. 
시험을 봤다고 해도, 그 결과가 오늘 나올 거라고 해도, 누군가 나지막하게 이야기해주면 좋겠다고 해도...
별로 관심이 없으시네요.
좋은 결과 기대한다고 댓글 달아주신 분은 딱 두 분,
나지막하게 이야기해 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제가 여기저기 물어보면 일부러 쓸데없는 말이나 주섬주섬 내셍기며 제 궁금증을 풀어주지 않네요.

수천 명, 수만 명이 편지를 받는데, 그 가운데 딱 두 분이 좋은 결과를 기대한다고 하셨네요. 
고맙습니다.
혹시라도, 만에 하나 혹시라도 제가 합격하면 그 두 분 덕입니다. ^___^*

'내셍기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셍'이 들어가니 좀 이상하게 보이는데요,
"내리 이 말 저 말 자꾸 주워대다."는 뜻의 순 우리말입니다.
그는 쓸데없는 말을 주섬주섬 내셍기며 화로를 뒤적인다, 몇 시간이고 신세타령을 내셍기고 있다처럼 씁니다.
이를 '내섬기다'고 하면 틀립니다.
내셍기다가 맞습니다.

오늘 발표가 나겠죠?
아직 발표가 나지 않았으니
여기서 주워대든, 저기서 내셍기든 그 말 한마디에도 귀를 쫑긋하게 되네요.
시험은 못봤으면서... ㅋㅋㅋ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095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16580
2416 [2015/12/15] 우리말) 육질과 과육 머니북 2015-12-15 2913
2415 [2009/06/15] 우리말) 음식 맛 id: moneyplan 2009-06-15 2914
2414 [2009/12/18] 우리말) 댓글을 소개합니다 id: moneyplan 2009-12-18 2914
2413 [2009/08/10]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9-08-14 2916
2412 [2015/07/14] 우리말) 도긴개긴 머니북 2015-07-15 2916
2411 [2008/12/28] 우리말) 고향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2-29 2917
2410 [2015/12/04] 우리말) 엉터리와 터무니 머니북 2015-12-07 2917
2409 [2016/06/08] 우리말) 나달 머니북 2016-06-10 2918
2408 [2016/03/17] 우리말) '잎새'도 표준말입니다. 머니북 2016-03-18 2919
2407 [2011/03/16] 우리말) 잎샘 moneybook 2011-03-16 2920
2406 [2014/03/17] 우리말) 나잇살/나쎄 머니북 2014-03-17 2920
2405 [2009/03/19] 우리말) 현안 문제 id: moneyplan 2009-03-19 2921
2404 [2016/04/07] 우리말) 어연번듯하다 머니북 2016-04-07 2921
2403 [2008/07/17] 우리말) 압화와 누름꽃 id: moneyplan 2008-07-17 2922
2402 [2012/01/26] 우리말) 에멜무지로 머니북 2012-01-27 2922
2401 [2015/11/05] 우리말) 찜찜하다/찝찝하다 머니북 2015-11-05 2922
2400 [2016/03/30] 우리말) 머와 뭐 머니북 2016-03-31 2922
2399 [2015/12/22]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3 2923
2398 [2016/06/09] 우리말) 나라지다 머니북 2016-06-10 2923
2397 [2009/03/16] 우리말) 주야장천 id: moneyplan 2009-03-16 2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