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1/28] 우리말) 오지와 두메

조회 수 3932 추천 수 0 2015.01.29 09:14:50

오지(奧地)는 "해안이나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대륙 내부의 땅."입니다.
그러나 이 말은 국립국어원에서 '두메'로 다음은 말입니다. '두메'나 '두메산골'로 쓰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변산에 갔다가 이제 막 돌아왔습니다.
요즘은 길이 좋아져서 1시간 남짓하면 갈 수 있지만 5년 전만해도 길이 좋지 않아 거의 두 시간이나 걸렸다고 합니다.
바닷가라서 두메산골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어쨌든 가기 쉬운 곳은 아니었겠죠.

우리말에 '오지'가 있습니다.
일요일에 하는, 이영자 씨와 어떤 요리사가 나오는 방송이 있는데, 거기서 오지에 편지를 배달하는 우편배달부에게 따뜻한 밥을 해주는 게 나왔습니다. 바로 그런 '오지'
오지(奧地)는 "해안이나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대륙 내부의 땅."입니다.
그러나 이 말은 국립국어원에서 '두메'로 다음은 말입니다. '두메'나 '두메산골'로 쓰시면 됩니다.

아프리카 오지의 정글, 오지를 탐험하다, 오지에서 길을 잃고 헤매었다, 이 고장은 오지인 탓인지 상당히 고집스레…….는
아프리카 두메 정글, 두메산골을 탐험하다, 두메에서 길을 잃고 헤매었다, 이 고장은 두메산골이라…….처럼 쓰시면 됩니다.

가벼운 옷을 입고 나무가 우거진 두메에 들어가 맘껏 뛰어다니고 싶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내셍기다]

안녕하세요.

제가 인덕이 없기는 없나 봅니다. 
시험을 봤다고 해도, 그 결과가 오늘 나올 거라고 해도, 누군가 나지막하게 이야기해주면 좋겠다고 해도...
별로 관심이 없으시네요.
좋은 결과 기대한다고 댓글 달아주신 분은 딱 두 분,
나지막하게 이야기해 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제가 여기저기 물어보면 일부러 쓸데없는 말이나 주섬주섬 내셍기며 제 궁금증을 풀어주지 않네요.

수천 명, 수만 명이 편지를 받는데, 그 가운데 딱 두 분이 좋은 결과를 기대한다고 하셨네요. 
고맙습니다.
혹시라도, 만에 하나 혹시라도 제가 합격하면 그 두 분 덕입니다. ^___^*

'내셍기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셍'이 들어가니 좀 이상하게 보이는데요,
"내리 이 말 저 말 자꾸 주워대다."는 뜻의 순 우리말입니다.
그는 쓸데없는 말을 주섬주섬 내셍기며 화로를 뒤적인다, 몇 시간이고 신세타령을 내셍기고 있다처럼 씁니다.
이를 '내섬기다'고 하면 틀립니다.
내셍기다가 맞습니다.

오늘 발표가 나겠죠?
아직 발표가 나지 않았으니
여기서 주워대든, 저기서 내셍기든 그 말 한마디에도 귀를 쫑긋하게 되네요.
시험은 못봤으면서... ㅋㅋㅋ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1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20
1076 [2015/06/11] 우리말) 나들못 머니북 2015-06-12 3762
1075 [2007/07/06] 우리말) 뒷다마와 뒷담화 id: moneyplan 2007-07-06 3763
1074 [2008/10/27] 우리말) 말 줄이기 id: moneyplan 2008-10-27 3763
1073 [2011/02/01] 우리말) 온새미로와 라온 moneybook 2011-02-01 3763
1072 [2010/08/02] 우리말) 매기단하다 moneybook 2010-08-02 3764
1071 [2012/02/02] 우리말) '바' 띄어쓰기 머니북 2012-02-02 3764
1070 [2012/02/07] 우리말) 족집게와 쪽집게 머니북 2012-02-07 3764
1069 [2008/04/28] 우리말) 옥수수와 강냉이 id: moneyplan 2008-04-28 3766
1068 [2012/12/10] 우리말) 영어 교육2 머니북 2012-12-10 3766
1067 [2015/06/10] 우리말) 살품 머니북 2015-06-10 3766
1066 [2014/12/17] 우리말) 삐지다와 삐치다 머니북 2014-12-17 3767
1065 [2007/04/16]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7-04-16 3768
1064 [2015/08/25] 우리말) 간이 크다와 붓다 머니북 2015-08-25 3768
1063 [2015/10/05] 우리말) 살무사와 살모사 머니북 2015-10-05 3768
1062 [2017/05/02] 우리말) 순식간 머니북 2017-05-06 3768
1061 [2008/08/30] 우리말) 토요일이라 좀 널널하죠? id: moneyplan 2008-08-31 3769
1060 [2008/07/15] 우리말) 독도가 우리 땅이라는 증거 id: moneyplan 2008-07-15 3770
1059 [2013/03/05] 우리말) 아파트는 @를 ㉵로 ^^* file 머니북 2013-03-05 3770
1058 [2014/05/22] 우리말) '지' 띄어쓰기 머니북 2014-05-22 3770
1057 [2009/12/08] 우리말) 어리숙과 어수룩 id: moneyplan 2009-12-08 37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