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1/28] 우리말) 오지와 두메

조회 수 3969 추천 수 0 2015.01.29 09:14:50

오지(奧地)는 "해안이나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대륙 내부의 땅."입니다.
그러나 이 말은 국립국어원에서 '두메'로 다음은 말입니다. '두메'나 '두메산골'로 쓰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변산에 갔다가 이제 막 돌아왔습니다.
요즘은 길이 좋아져서 1시간 남짓하면 갈 수 있지만 5년 전만해도 길이 좋지 않아 거의 두 시간이나 걸렸다고 합니다.
바닷가라서 두메산골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어쨌든 가기 쉬운 곳은 아니었겠죠.

우리말에 '오지'가 있습니다.
일요일에 하는, 이영자 씨와 어떤 요리사가 나오는 방송이 있는데, 거기서 오지에 편지를 배달하는 우편배달부에게 따뜻한 밥을 해주는 게 나왔습니다. 바로 그런 '오지'
오지(奧地)는 "해안이나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대륙 내부의 땅."입니다.
그러나 이 말은 국립국어원에서 '두메'로 다음은 말입니다. '두메'나 '두메산골'로 쓰시면 됩니다.

아프리카 오지의 정글, 오지를 탐험하다, 오지에서 길을 잃고 헤매었다, 이 고장은 오지인 탓인지 상당히 고집스레…….는
아프리카 두메 정글, 두메산골을 탐험하다, 두메에서 길을 잃고 헤매었다, 이 고장은 두메산골이라…….처럼 쓰시면 됩니다.

가벼운 옷을 입고 나무가 우거진 두메에 들어가 맘껏 뛰어다니고 싶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내셍기다]

안녕하세요.

제가 인덕이 없기는 없나 봅니다. 
시험을 봤다고 해도, 그 결과가 오늘 나올 거라고 해도, 누군가 나지막하게 이야기해주면 좋겠다고 해도...
별로 관심이 없으시네요.
좋은 결과 기대한다고 댓글 달아주신 분은 딱 두 분,
나지막하게 이야기해 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제가 여기저기 물어보면 일부러 쓸데없는 말이나 주섬주섬 내셍기며 제 궁금증을 풀어주지 않네요.

수천 명, 수만 명이 편지를 받는데, 그 가운데 딱 두 분이 좋은 결과를 기대한다고 하셨네요. 
고맙습니다.
혹시라도, 만에 하나 혹시라도 제가 합격하면 그 두 분 덕입니다. ^___^*

'내셍기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셍'이 들어가니 좀 이상하게 보이는데요,
"내리 이 말 저 말 자꾸 주워대다."는 뜻의 순 우리말입니다.
그는 쓸데없는 말을 주섬주섬 내셍기며 화로를 뒤적인다, 몇 시간이고 신세타령을 내셍기고 있다처럼 씁니다.
이를 '내섬기다'고 하면 틀립니다.
내셍기다가 맞습니다.

오늘 발표가 나겠죠?
아직 발표가 나지 않았으니
여기서 주워대든, 저기서 내셍기든 그 말 한마디에도 귀를 쫑긋하게 되네요.
시험은 못봤으면서... ㅋㅋㅋ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74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259
1336 [2011/10/17] 우리말) 걸리적거리다와 거치적거리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7 4936
1335 [2011/10/14] 우리말) 휭하니와 힁허케 머니북 2011-10-14 5211
1334 [2011/10/13] 우리말) 연방과 연신 머니북 2011-10-13 4093
1333 [2011/10/12] 우리말)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써야 합니다 머니북 2011-10-12 4343
1332 [2011/10/11] 우리말) ‘넉넉치 않다’가 아니라 ‘넉넉지 않다’가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1 4997
1331 [2011/10/10] 우리말) 어리숙하다와 어수룩하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0 5614
1330 [2011/10/07] 우리말) 손자 더하기 손녀는 손주 머니북 2011-10-07 4413
1329 [2011/10/06] 우리말) 메우다와 메꾸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06 6554
1328 [2011/10/05] 우리말) 먹거리와 먹을거리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05 5123
1327 [2011/10/04] 우리말) 뜨락과 뜰 머니북 2011-10-04 4369
1326 [2011/09/22] 우리말) 더펄이/곰살갑다/구순하다 머니북 2011-09-22 4936
1325 [2011/09/21] 우리말) 한가위에 냈던 문제 머니북 2011-09-22 4107
1324 [2011/09/20] 우리말) 떨어뜨리다와 떨구다 머니북 2011-09-20 3899
1323 [2011/09/19] 우리말) 날개/나래, 냄새/내음 머니북 2011-09-19 6054
1322 [2011/09/16] 우리말) 괴발개발과 개발새발 머니북 2011-09-16 4012
1321 [2011/09/15] 우리말) ~길래와 ~기에 머니북 2011-09-15 5063
1320 [2011/09/14] 우리말) 허섭스레기도 맞고 허접쓰레기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14 4654
1319 [2011/09/09] 우리말) 세간도 맞고 세간살이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9 4893
1318 [2011/09/08] 우리말) 복사뼈도 맞고 복숭아뼈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8 4835
1317 [2011/09/07] 우리말) 묏자리도 맞고 묫자리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8 4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