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과천에서 교육을 받습니다.
그래서 예전에 보낸 편지로 우리말 편지를 갈음합니다.

다음주는 미국 출장입니다.
그 때 또한 예전에 보낸 편지로 우리말 편지를 갈음합니다.

고맙습니다.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모밀국수와 메일국수]

안녕하세요.

여러분이 편지를 받으실 때 저는 몽산포에 있을 겁니다. ^^*

우리말 편지는 오즈메일러라는 회사에서 공짜로 보내주시는데,
거기에 예약기능이 있습니다.
실은 이 편지는 어제 오후에 써 놓고 오늘 아침에 가도록 예약해 놓은 겁니다.
오즈메일러! 고맙습니다. ^^*

어제 메밀꽃 이야기를 했더니
메밀국수와 모밀 국수 가운데 어떤 게 맞냐고 물어오시는 분이 많으시네요.
메밀국수가 맞습니다.
'모밀'은 '메밀'의 잘못이므로 메밀가루로 만든 국수를 이르는 말도
'메밀국수'로 쓰는 것이 맞습니다.

표준어 규정에 보면
양성 모음이 음성 모음으로 바뀌어 굳어진 낱말은 음성 모음 형태를 표준어로 삼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모밀'이 아니라 '메밀'을 표준어로 삼았습니다.
또 깡총깡총, 귀동이, 바람동이, 쌍동이, 흰동이, 발가송이, 뻗장다리, 오똑이 따위는 다 틀리고
깡충깡충, 귀둥이, 바람둥이, 쌍둥이, 흰둥이, 발가숭이, 뻗정다리, 오뚝이가 맞습니다.

그러면서도 부조(扶助), 사돈(査頓), 삼촌(三寸) 따위처럼 말뿌리가 세게 남아 있는 낱말은 
모음 형태를 그대로 표준어로 삼아 부주, 사둔, 삼춘 따위는 표준어로 보지 않습니다.

내친김에 하나 더 볼게요.
냉면 사리에서 사리는 "국수, 새끼, 실 따위를 동그랗게 포개어 감은 뭉치"라는 뜻의 순 우리말인 것은 아시죠?

작은 대나무 발 등에 올려놓은 메밀 사리를 장국에 찍어 먹는 것을 보셨죠?
그것을 흔히 '소바'라고 하는데요.
이 소바는 일본말 そば[소바]에서 왔습니다. 메일이라는 뜻입니다.
메밀국수는 そば切り[소바키리]라고 하는데,
'메밀국수'라고 해야 합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84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404
2556 [2007/01/30] 우리말) 발자국과 발자욱 id: moneyplan 2007-01-31 6195
2555 [2007/03/19] 우리말) 설거지와 설것이 id: moneyplan 2007-03-19 6181
2554 [2009/10/06] 우리말) 내숭 id: moneyplan 2009-10-06 6178
2553 [2006/09/11] 우리말) 납골당 >> 봉안당 id: moneyplan 2006-09-11 6158
2552 [2012/07/11] 우리말) 왔다리 갔다리 머니북 2012-07-11 6144
2551 [2007/11/06] 우리말) 할는지와 할런지 id: moneyplan 2007-11-07 6143
2550 [2013/09/30] 우리말) 굉장히 머니북 2013-09-30 6134
2549 [2006/10/02] 우리말) 낯선 편지 id: moneyplan 2006-10-02 6117
2548 [2007/01/12] 우리말) '들쳐메다'가 아니라 '둘러메다'입니다 id: moneyplan 2007-01-12 6109
2547 [2006/09/15] 우리말) 게슴츠레 졸린 눈 id: moneyplan 2006-09-15 6102
2546 [2006/09/12] 우리말) 필자가 아니라 글쓴이! id: moneyplan 2006-09-12 6088
2545 [2009/03/31] 우리말) 꾀와 꽤 id: moneyplan 2009-03-31 6083
2544 [2007/09/06] 우리말) 지킴이와 지기의 반대말 id: moneyplan 2007-09-06 6062
2543 [2006/12/20] 우리말) 세모가 아니라 세밑! id: moneyplan 2006-12-20 6061
2542 [2014/08/08] 우리말) 딸따니 머니북 2014-08-11 6060
2541 [2006/09/20] 우리말) 살사리꽃이 하늘거릴까 하늘댈까? id: moneyplan 2006-09-20 6058
2540 [2006/12/13] 우리말) 시간 참 잘가죠? id: moneyplan 2006-12-13 6054
2539 [2006/11/16] 우리말) 난이도가 있다? 난이도가 높다? id: moneyplan 2006-11-16 6049
2538 [2006/10/14] 우리말) 가을이 오는 속도 id: moneyplan 2006-10-14 6027
2537 [2013/08/29] 우리말) 점잔과 점잖 머니북 2013-08-29 6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