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과천에서 교육을 받습니다.
그래서 예전에 보낸 편지로 우리말 편지를 갈음합니다.

다음주는 미국 출장입니다.
그 때 또한 예전에 보낸 편지로 우리말 편지를 갈음합니다.

고맙습니다.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올림픽 선수 로마자 이름 쓰기]

안녕하세요.

올림픽에서 좋은 소식이 많이 날아오네요.
오늘도 박태환 선수 목에 금메달이 걸리기를 기대합니다.

저는 좀 다른 이야기를 해 볼게요.
올림픽은 많은 사람이 모여 운동으로 겨루는 전 세계인의 잔치입니다.
이 잔치에 쓰이는 우리나라 국기가 제대로 된 게 아니라고 합니다.
효가 규격보다 얇게 그려졌다고 합니다.
국기는 한 나라의 얼굴이고, 태극기는 우리나라의 자존심입니다.
세계인의 잔치에 엉터리 태극기가 쓰인다는 것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국가기관에서는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이런 것은 백 번 천 번 욕을 들어도 쌉니다.

하나 더 짚을게요.
올림픽에 나간 선수들 등에는 큼지막한 로마자 이름이 쓰여 있습니다.

제가 본 몇 개를 소개하면,
양궁 윤옥희 선수는 YUN. O. H,
역도 윤진희 선수는 Yun Jinhee, 전광판에는 YOON Jinhee,
핸드볼 박진규 선수는 J. G. Park,
하키는 KIM. E. S, GIM. S. H
수영 정슬기 선수는 텔레비전 자막에 JUNG Seulki,
수영 박태환 선수 모자에는 PARK T. H,
여자 배드민턴 전재현 선수는 Jun J H,
축구 박민수 선수는 MINSOO 라고 되어 있었습니다.

올림픽에서 운동 종류별로 이름 쓰는 법을 달리하지는 않았을 겁니다.
그런데도 우리나라 선수들 이름을 왜 이렇게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면,
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쓰고,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쓰는 것을 허용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민용하는 Min Yongha라고 쓰거나 Min Yong-ha라고 써야 하며,
송나리는 Song Nari로 쓰거나 Song Na-ri로 써야 합니다.

우리 말법을 이렇게 만들어 놓고도 선수들 등에는 그 모양 그 꼴로 제멋대로 갈긴 까닭을 모르겠습니다.
우리 로마자 표기법이 없다면 모를까, 분명히 표기법이 있는대도 그 모양입니다.
다른 나라 사람들이 이걸 보면 무슨 생각을 할까요?
창피한 노릇입니다.

대한체육회가 잘못을 한 건지, 올림픽 위원회가 잘못한 것 인지, 문화체육관광부가 잘못을 한 건지, 국립국어원이 잘못한 것 인지, 올림픽 선수촌이 잘못을 한 건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잘못된 것은 분명합니다.

이런 것을 저만 꼬집은 게 아닙니다.
몇 년 전부터 많은 이들이 그런 것을 바로잡고자 힘썼습니다.
그럼에도 아직도 이 모양입니다.

자료 하나 붙입니다.
송춘종 님이 2004년에 고희기념산문집에 쓰신 글입니다.
이분은 국어학자도 아니고 체육전문가도 아니며 올림픽 위원도 아닙니다.
농대를 나와 농촌진흥청에서 일하다 퇴직하신 조쌀하신 어르신입니다.
이런 분들이 그렇게 악을 쓰고 힘써도 안 됩니다.
왜 그럴까요?
뭐가 문제일까요?
학자가 아닌 평범한 사람들이 그런 말을 해서 무시한 것일까요?

참으로 가슴이 아픈 일입니다.
송춘종 님의 글을 읽어보시면 가슴이 더 아파지실 겁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1.
홍길동을 Hong Gildong으로 쓰는 것은
우리 이름을 '영어'로 쓰는 게 아닙니다. '로마자'로 쓰는 겁니다.

2.
붙임 글은 송춘종 님의 허락을 받고 우리말편지에 붙인 겁니다.
우리말편지에 글을 소개해도 좋을지를 여쭤보는 편지를 보시고 보낸 답장입니다.

앞글 지움...

운동선수 이름 로마자 표기는 내가 포기했던 일이네요. 성 박사가 끝장을 내시기 바랍니다. 1999년부터 2004년까지(책 149쪽)에서 보다시피.
요즘은 더 나가서 축구선수는 성도 없고 이름만 있는 동물로 만들어 버렸고...
모자란 데는 보충하며 활용하기 바랍니다. 관심 가져 주어서 고맙습니다. 
한자나 영어는 점 하나, 획 하나만 틀려도 야단들이면서, 내 나라 우리 글은 함부로 하는 세태가 더럽고 부끄럽습니다. 
영어 광풍은 어떤가요. 
보람 늘 함께 하시기 바랍니다. 송춘종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4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67
2096 [2017/10/11] 우리말) 바람직한 국어 순화방향 학술대회 안내 머니북 2017-11-06 4086
2095 [2017/09/07] 우리말) 우리말 바로 쓰기에 앞장섭시다 머니북 2017-09-07 4086
2094 [2011/05/02] 우리말) 오뚜기와 오뚝이 moneybook 2011-05-02 4082
2093 [2017/07/10] 우리말) 토마토 머니북 2017-07-11 4079
2092 [2007/04/10] 우리말) 싸 군과 국제전화 id: moneyplan 2007-04-10 4078
2091 [2017/08/08] 우리말) 미어지다 머니북 2017-08-09 4077
2090 [2011/10/13] 우리말) 연방과 연신 머니북 2011-10-13 4076
2089 [2007/04/14] 우리말) 만발? 활짝 핌! id: moneyplan 2007-04-16 4071
2088 [2017/09/29] 우리말) 갯벌과 개펄 머니북 2017-11-06 4070
2087 [2015/10/12] 우리말) 일자리 나누기와 잡 셰어링 머니북 2015-10-13 4069
2086 [2012/10/1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2-10-19 4069
2085 [2007/11/01] 우리말) 문제입니다. 바닷가에 쌓인 굴 껍데기를 뭐라고 하죠? id: moneyplan 2007-11-01 4064
2084 [2007/09/07] 우리말) 내외빈 id: moneyplan 2007-09-07 4064
2083 [2007/09/05] 우리말) 지킴이와 지기 id: moneyplan 2007-09-05 4063
2082 [2013/03/19] 우리말) 바다나물과 먼산나물 머니북 2013-03-19 4061
2081 [2007/07/09] 우리말) 평창이 안타까워서... id: moneyplan 2007-07-09 4061
2080 [2012/01/10] 우리말) 신발을 구겨 신는다? 머니북 2012-01-10 4058
2079 [2015/09/16] 우리말) 정의 -> 뜻매김 머니북 2015-09-16 4053
2078 [2013/04/02] 우리말) 만개 머니북 2013-04-02 4052
2077 [2009/06/10] 우리말) 불임과 난임 id: moneyplan 2009-06-10 4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