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3/11] 우리말) 무수다

조회 수 2523 추천 수 0 2015.03.11 09:42:02

우리말에 '무수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부수다'가 아닙니다.
"닥치는 대로 사정없이 때리거나 부수다."는 뜻입니다.
그는 술만 마시면 간판을 무수는 나쁜 버릇이 있다처럼 씁니다.

안녕하세요.

어젯밤에 눈발이 날리더니, 아침에 조금 쌓여 있네요. 지금이 3월 중순인데... ^^*

제 기억에, 요즘에,
술을 마시고 주정하는 사람은 거의 못 봤는데요.
어제 오랜만에 그런 사람을 봤습니다.
곤드레만드레 고주망태가 되어 상점 안내 간판과 이야기하다가 나중에는 간판과 싸우더군요.
나이는 40대 인 것 같은데…. 추운 날 집에나 제대로 들어갔는지 모르겠습니다.
왠지 옛 추억이 떠올라….^^*

우리말에 '무수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부수다'가 아닙니다.
"닥치는 대로 사정없이 때리거나 부수다."는 뜻입니다.
그는 술만 마시면 간판을 무수는 나쁜 버릇이 있다처럼 씁니다.

오늘 저녁에 대학교를 같이 다닌 동무들을 만나기로 했는데,
그 무리에는 무수는 버릇을 가진 친구가 없기를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늘상과 늘]

안녕하세요. 

주말 잘 쉬셨나요?
비가 와서 그런지 제법 쌀쌀하네요.

오늘은 공무원 비상소집이라 좀 일찍 나왔습니다.
'늘상' 보내던 우리말 편지니 오늘도 보내야겠죠? ^^*

'늘'이라는 어찌씨(부사)가 있습니다.
"계속하여 언제나"라는 뜻으로 
그는 아침이면 늘 신문을 본다, 다시 뵈올 때까지 늘 건강하십시오처럼씁니다.
이 '늘'을 '늘상'이라고 쓰기도 하는데 이는 잘못입니다.
아마도 항상 이나 노상의 '상'을 떠올려 '늘상'이라고 쓰시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표준어는 '늘상'이 아니라 '늘'입니다.

문법으로 보면
뜻이 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때, 그 가운데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낱말만을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그에 따라 늘상, 느루, 장근, 장창은 표준어가 아니고 '늘'이 표준어입니다.

'늘' 하던 대로 오늘도 우리말 편지를 보냅니다.
그리고 '언제나' 그렇듯이 내일 아침에도 우리말 편지를 보낼 것이고,
'노상' 이렇게 살아갈 겁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0188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7501
2656 [2010/03/11] 우리말) 숨탄것 id: moneyplan 2010-03-11 2557
2655 [2015/02/10] 우리말) 메밀꽃 머니북 2015-02-10 2558
2654 [2015/02/02] 우리말) 되갚을 것은 없다 머니북 2015-02-02 2560
2653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561
2652 [2009/01/07] 우리말) 흐지부지 [1] id: moneyplan 2009-01-07 2562
2651 [2009/06/01] 우리말) 안녕과 앞날 id: moneyplan 2009-06-01 2562
2650 [2014/09/24] 우리말) 산득 머니북 2014-09-24 2562
2649 [2010/02/16] 우리말) 절 하는 방법에 대한 댓글 id: moneyplan 2010-02-16 2563
2648 [2016/03/29] 우리말) 바람만바람만 머니북 2016-03-30 2563
2647 [2016/01/29] 우리말) 난장판의 아수라 머니북 2016-02-01 2566
2646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568
2645 [2013/11/22]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은? 머니북 2013-11-22 2569
2644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569
2643 [2016/07/04] 우리말) 욱여넣다 머니북 2016-07-06 2569
2642 [2016/07/27] 우리말) 볏과 벼슬 머니북 2016-08-10 2569
2641 [2016/01/25] 우리말) 망고하다 머니북 2016-01-26 2571
2640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572
2639 [2009/07/0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7-09 2573
2638 [2015/01/06] 우리말) 개개다와 개기다 머니북 2015-01-06 2573
2637 [2016/02/19] 우리말) 철 머니북 2016-02-25 2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