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는 40대 인 것 같은데…. -> 40대인 것 같은데
아마도 항상 이나-> 아마도 '항상'이나

안녕하세요.

어제 편지에 제 실수가 있었습니다.

먼저,
정ㅎㅇ 님이 꼬집어 주신 글입니다.
나이는 40대 인 것 같은데…. -> 40대인 것 같은데
아마도 항상 이나-> 아마도 '항상'이나
예, 맞습니다. 그렇게 써야 합니다. 고맙습니다.

편지 아래쪽에 붙인 예전에 보낸 편지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그때 송ㅂㄱ 님께서 짚어주신 글도 있어 같이 보겠습니다.
먼저, 앞부분에서 '늘' 대신 '늘상 보내던 우리말 편지니~'라고 하셨는데 일부러 그렇게 쓰신 것인지 아니면 실수인지 궁금합니다. '늘상'은 표준어가 아니라고 말씀하신 것과는 다르게 쓰셔서요.^^
다음에 네 번째 문단의 내용 중 띄어쓰기와 작은따옴표에 대해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우리말은 낱말도 중요하지만 띄어쓰기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는 아침이면 늘 신문을 본다, 다시 뵈올 때까지 늘 건강하십시오처럼씁니다.
이 '늘'을 '늘상'이라고 쓰기도 하는데 이는 잘못입니다.
아마도 항상 이나 노상의 '상'을 떠올려 '늘상'이라고 쓰시는 것 같습니다.

여기에서 '~ 건강하십시오처럼씁니다.'는 ''~ 건강하십시오.'처럼 씁니다.'로, '아마도 항상 이나 노상의 '상'을 떠올려~'는 '아마도 '항상'이나 '노상'의 '상'을 떠올려~'로 고쳐야 맞다고 생각합니다.
작은 티라고 넘어갈 수도 있지만, 우리말 편지를 받는 사람들이 어린 학생들도 있을 것이기 때문에 성 박사님께서 힘드시더라도 조금만 더 신경을 써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예, 고맙습니다.
제가 깜빡했습니다.
앞으로는 그렇게 쓰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오후부터는 날씨가 좀 풀린다고 합니다.
늘 건강 잘 챙기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여태와 여직]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일터에서 밤을 꼬박 새우고 있습니다.
전생에 무슨 죄를 그리 많이 지었는지 이런 훈련 때는 꼭 상황실 근무로 걸립니다.
그 때문에 여태 한숨 못 자고 있습니다. 쩝...

우리말에
지금까지, 또는 아직까지, 
어떤 행동이나 일이 이미 이루어졌어야 함에도 그렇게 되지 않았음을 불만스럽게 여기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이나 일이 현재까지 계속되어 옴을 나타낼 때 쓰는 말이 '여태'입니다.
여태 못 자고 있다, 여태 무얼 하고 안 오는 것일까?, 여태 그것밖에 못 했니?처럼 씁니다.

이 '여태'를
'여직'이나 '여지껏(여직껏)', 또는 '여지까지(여직까지)'로 쓰는 경우가 잦습니다.
자주 쓰긴 하지만 표준어는 아닙니다.
여직, 여지껏, 여지까지는 틀리고
여태, 여태껏, 여태까지가 바릅니다.

'여태'와 같은 말이 '입때'입니다.

입때, 입때껏, 입때까지가 바릅니다.

저는 '여태' 못 잤으니 날 새면 집에 가서 좀 자야겠습니다. 
그러면 높으신 분이 "이 친구가 입때 출근 안 하고 뭐 하지?"라면서 걱정하실까요?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2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40
1736 [2014/03/13] 우리말) 점직하다/서머하다 머니북 2014-03-13 3426
1735 [2014/10/02] 우리말) 내일/모레/내일모레 머니북 2014-10-02 3426
1734 [2008/01/18] 우리말) 왜 농촌진흥청이 국가기관으로 있어야 하는가 id: moneyplan 2008-01-21 3427
1733 [2012/06/20] 우리말) 수탉과 수캉아지도 있습니다 머니북 2012-06-20 3427
1732 [2009/01/20] 우리말) 쾨쾨하다와 쾌쾌하다 id: moneyplan 2009-01-20 3428
1731 [2009/11/04] 우리말) 얼다와 얾 id: moneyplan 2009-11-04 3428
1730 [2016/08/04] 우리말) 헤어지다/해어지다 머니북 2016-08-10 3428
1729 [2016/11/16] 우리말) 서리 머니북 2016-11-16 3428
1728 [2007/10/02] 우리말) 청설모가 아니라 청서 id: moneyplan 2007-10-02 3429
1727 [2008/02/23] 우리말) 우리말이 아니라 제 이야기입니다 id: moneyplan 2008-02-24 3429
1726 [2008/11/19] 우리말) 오늘도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1-19 3429
1725 [2013/08/07]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8-07 3429
1724 [2008/02/02] 우리말) 뉘누리... id: moneyplan 2008-02-02 3430
1723 [2008/03/06] 우리말) 양식이 아니라 서식입니다 id: moneyplan 2008-03-06 3430
1722 [2010/09/06] 우리말) 쉰둥이와 마흔둥이 moneybook 2010-09-06 3430
1721 [2012/04/20] 우리말)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써야 합니다 머니북 2012-04-20 3430
1720 [2015/05/21] 우리말) 사전에 이런 말도... 머니북 2015-05-26 3430
1719 [2009/11/06] 우리말) 명조체와 바탕체 id: moneyplan 2009-11-06 3431
1718 [2009/11/11] 우리말) 군자삼변 id: moneyplan 2009-11-11 3431
1717 [2013/01/16] 우리말) 야미 머니북 2013-01-17 3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