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4/17] 우리말) 피로연

조회 수 2789 추천 수 0 2015.04.17 08:59:46

‘피로연’은 기쁜 일이 있을 때 음식을 차리고 손님을 청하여 즐기는 잔치이다. 꼭 혼례식 때만 쓰는 말이 아니라, ‘회갑 피로연’, ‘생일 피로연’ 등으로 널리 쓸 수 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읽겠습니다.


피로연은 피로를 풀어주는 잔치?    성기지 운영위원

봄빛 짙어지고 봄꽃 흐드러지게 피면서 예식장들은 신이 났다. 요즘엔 남녀가 만나 부부가 되는 것을 다들 ‘결혼’이라고 하지만, 우리의 전통적인 한자말은 ‘혼인’이다. 예부터 ‘혼인식’이나 ‘혼례식’이라고 하였지, ‘결혼식’이라고 하지 않았다. 그러나 현대 한국어에서 ‘혼인’과 ‘결혼’은 모두 표준말이다.

혼인과 같은 경사스러운 일에 초대하는 편지는 ‘초청장’이라 하지 않고 따로 ‘청첩장’이라고 말한다. 혼인을 알리는 청첩장에 ‘화혼’이라고 쓰인 것을 가끔 볼 수 있는데, ‘화혼’이라는 말이 혼인을 신부 입장에서 따로 부르는 말이 아니냐고 묻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화혼은 예전에 혼인을 청첩장에 한자로 쓸 때 멋스럽게 쓰느라 따로 만들어 쓰던 말이었다. ‘혼인’이나 ‘결혼’, ‘화혼’은 모두 같은 말이다.

혼례식이 끝나고 갖는 음식 잔치를 ‘피로연’이라고 한다. ‘피로연’은 기쁜 일이 있을 때 음식을 차리고 손님을 청하여 즐기는 잔치이다. 꼭 혼례식 때만 쓰는 말이 아니라, ‘회갑 피로연’, ‘생일 피로연’ 등으로 널리 쓸 수 있다. 자칫 ‘피로연’을 혼인 당사자들의 피로를 풀어주는 잔치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때의 ‘피로’는 “몸이 지치고 힘들다.”는 ‘피로’가 아니라, “일반에게 널리 알린다.”는 뜻의 ‘피로’이다. 어려운 한자말을 우리말로 다듬어 써야 하는 까닭을 다시 한 번 느끼게 하는 낱말이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햇덧]

안녕하세요.

저만 그렇게 느끼는지 모르지만 시간이 참 빨리 흘러갑니다.
벌써 가을이고, 벌써 9월 중순이 넘었습니다.
이제는 밤이 길어지는 게 보이는 것 같습니다.
아침 6시에 보면 아직도 어둑어둑하고,
저녁 7시만 넘으면 어둠이 깔립니다. 며칠 전만 해도 그 시간에는 해가 중천에 있었는데...
이렇게 세월이 흘러가기에 덧없다고 하나 봅니다.

'덧'은 "얼마 안 되는 퍽 짧은 시간"을 뜻합니다.
'덧없다'는 그림씨(형용사)로 "알지 못하는 가운데 지나가는 시간이 매우 빠르다."는 뜻입니다.
말 그대로 덧없는 세월이죠.

요즘처럼 해가 짧아지는 게 보이는 것 같은 때를 '햇덧'이라고 합니다.
해가 떠 있는 시간이 얼마 되지 않는 데서 따와 '햇덧'이라는 멋진 낱말을 만들었나 봅니다.

햇덧은 굳이 낱말 뜻을 설명하지 않아도
해거름의 쓸쓸함이 묻어 있는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44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050
136 [2017/02/21] 우리말) '2017년, 새롭게 인정받은 표준어는?... 머니북 2017-02-22 3892
135 [2017/02/22] 우리말) 역시 머니북 2017-02-22 3521
134 [2017/02/24] 우리말) 돌팔이와 단감 머니북 2017-02-24 3911
133 [2017/02/27] 우리말) 짊다와 짊어지다 머니북 2017-02-28 4401
132 [2017/03/06] 우리말) 홍두깨 머니북 2017-03-07 3087
131 [2017/03/07] 우리말) 혹은과 또는 머니북 2017-03-08 3531
130 [2017/03/08] 우리말) 주기와 주년 머니북 2017-03-09 3572
129 [2017/03/09] 우리말) '언어에 대하여' 머니북 2017-03-10 3823
128 [2017/03/10] 우리말) 교보문고 머니북 2017-03-10 3493
127 [2017/03/13] 우리말) 인용 머니북 2017-03-13 3388
126 [2017/03/14] 우리말) 사저 머니북 2017-03-14 3366
125 [2017/03/15] 우리말) 꽃보라 머니북 2017-03-15 3064
124 [2017/03/16] 우리말) 나가다와 나아가다 머니북 2017-03-17 5058
123 [2017/03/17] 우리말) 나무 심기 좋은 때 머니북 2017-03-17 3899
122 [2017/03/27] 우리말) 이유와 원인 머니북 2017-03-27 3149
121 [2017/03/29] 우리말) 씨양이질 머니북 2017-03-30 3551
120 [2017/03/31] 우리말) 비탈이 가파라서? 가팔라서? 머니북 2017-04-03 3449
119 [2017/04/03] 우리말) 까다롭다/까탈스럽다 머니북 2017-04-04 3402
118 [2017/04/04] 우리말) 거방지다/걸판지다 머니북 2017-04-05 3359
117 [2017/04/06] 우리말) 후리지아 -> 프리지어 머니북 2017-04-06 3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