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5/06] 우리말) 이팝나무

조회 수 2990 추천 수 0 2015.05.06 10:48:54

입하 무렵에 그 꽃이 핀다고 해서 '입하나무'인데, 그 이름이 부르기 쉽게 바뀌어 '이팝나무'로 되었다고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이 여름으로 접어든다는 입하입니다.

오늘은 '이팝나무'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요즘
나무에 하얀 쌀밥을 얹어놓은 듯한 멋진 나무를 볼 수 있습니다.
바로 이팝나무 꽃입니다.

이팝나무 꽃은 
꽃 모양이 사발에 하얀 쌀밥을 고봉으로 눌러 담은 듯하다고 해서 '이밥나무'라고 했고,
그 이름이 바뀌어 지금은 '이팝나무'라고 합니다.
('이밥'은 "입쌀로 지은 밥"이고, 쌀밥이나 흰밥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또 다른 뿌리는
입하 무렵에 그 꽃이 핀다고 해서 '입하나무'인데, 그 이름이 부르기 쉽게 바뀌어 '이팝나무'로 되었다고도 합니다.

제가 찍은 사진은 아니지만,
이팝나무 사진이 멋지게 나온 사이트가 있어 잇습니다.
http://blog.daum.net/39kkkiok/16153357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염치와 얌치]

안녕하세요.

우리말 편지에서 문제를 내고 정답을 맞히신 모든 분께 선물을 드린다고 했죠?
이제 이틀 남았습니다. ^^*

문제 정답과 함께 선물 받으실 주소와 우편번호, 받으시는 분의 이름을 꼭 적어 주십시오.
그리고
선물은 편지봉투에 담아서 보내드리는데 우표를 붙이지 않고 '요금 별납'이라는 도장이 찍힙니다.

몇 달 전이었습니다.
우리말 편지에서 문제를 맞히신 분께 선물을 보내드렸는데,
며칠 뒤 전자우편을 보내셨더군요.
내용은,
선물을 보내면서 받는 사람이 돈을 내게 하는 경우가 어디 있느냐?
차라리 보내지 말지 왜 남을 골탕먹이느냐?
세상 그렇게 살지 마라. 염치가 있어야지 어찌 선물을 받는 사람이 돈을 내고 받아야 하냐...
뭐 이런 거였습니다.
그리고 그 선물을 '수신거부'로 돌려보냈습니다.

'요금 별납'은 그런 뜻이 아니라
보내는 편지가 많아 나중에 제가 한꺼번에 계산한다는 뜻이라고 설명드리고
우표를 붙여 그 선물을 다시 보내드렸습니다. 
저는 그렇게 얌치 빠진 사람이 아니거든요. ^^*

오늘은 염치 이야기입니다.
'염치'는 "체면을 차릴 줄 알며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입니다.
예의와 염치에 어긋나다, 너는 애가 염치도 없이 어른 앞에서 왜 그 모양이냐처럼 씁니다.

비슷한 말로 '얌치'가 있습니다.
"마음이 깨끗하여 부끄러움을 아는 태도"라는 뜻입니다.
사람이면 누구나 얌치가 있어야지, 얌치 있는 이가 그땐 가만있고 나중 야단이래?처럼 씁니다.

이 '얌치'를 속되게 이른 말이 '얌통머리'입니다.
'야마리'라고도 하죠.

저는 선물을 보내고 우표값을 내라고 한다거나,
선물을 보낸다고 해 놓고 보내지 않는 그런 얌통머리 없는 사람이 아닙니다.

돌아오는 한글날 문제를 내서
문제 정답을 맞히시는 모든 분께 선물을 드릴 겁니다. 약속합니다.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5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63
176 [2009/04/16]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4-16 2971
175 [2009/02/25] 우리말) 점심과 식사 id: moneyplan 2009-02-25 2971
174 [2015/07/16] 우리말) 밥맛없다와 밥맛 없다 머니북 2015-07-16 2966
173 [2014/07/15] 우리말) 강담/죽담 머니북 2014-07-15 2966
172 [2010/07/30] 우리말) 스리와 쓰리 moneybook 2010-07-30 2966
171 [2016/04/01] 우리말) 갖다 -> 열다 머니북 2016-04-02 2964
170 [2015/12/27]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8 2964
169 [2015/08/11] 우리말) 입때껏 머니북 2015-08-11 2964
168 [2014/04/11] 우리말) 멋쟁이를 만드는 멋장이 머니북 2014-04-11 2964
167 [2016/08/19] 우리말) 경기에 이겼을까, 경기를 이겼을까? 머니북 2016-08-24 2962
166 [2016/05/03] 우리말) 밖에 없다/뿐이다 머니북 2016-05-03 2962
165 [2015/01/05] 우리말) ‘어줍다’와 ‘어쭙잖다’ 머니북 2015-01-05 2962
164 [2013/06/24] 우리말) 혼신 머니북 2013-06-24 2962
163 [2016/05/17] 우리말) 억장 openmind 2016-05-18 2958
162 [2014/03/28] 우리말) 뜨게부부와 새들꾼 머니북 2014-03-28 2958
161 [2016/10/17] 우리말) 오늘 하루도 즐겁게 머니북 2016-11-01 2956
160 [2015/09/23] 우리말) '구경하다'와 '좋은 구경 하다' 머니북 2015-09-23 2954
159 [2015/07/21] 우리말) 개발과 계발 머니북 2015-07-22 2954
158 [2016/03/11] 우리말) '화두'와 '촌스럽다' 머니북 2016-03-14 2953
157 [2009/01/29] 우리말) 높임말 id: moneyplan 2009-01-29 2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