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읽겠습니다.

불을 켜고 물을 켜고 기지개 켜고-성기지 운영위원

날씨가 초여름에 접어들면서, 냉방기 같은 여름철 상품 판매가 “기지개를 펴고 있다.”는 기사가 눈에 뜨인다. 잘못 쓴 기사다. 우리는 일상적으로, ‘몸을 쭉 펴고 팔다리를 뻗어 몸을 활기차게 하는 것’을 “기지개를 편다.”고 말하고 있지만, “기지개를 켠다.”고 해야 올바른 표현이 된다. ‘켜다’는 “불을 켠다.”처럼 ‘불을 붙이거나 밝히다’는 뜻으로 쓰는 말인데, ‘기지개’라는 말과도 함께 어울려 “기지개를 켠다.”라고 말하는 것이다.

여기에 보태서, ‘물을 들이마시는 것’도 “물을 켠다.”라고 말할 수 있다. 주위에서 보면, 갈증이 나서 물을 벌컥벌컥 마시는 모습을 표현할 때, 물을 시원하게 ‘들이키는’ 모습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 말은 물을 ‘들이켜는’ 모습이라고 고쳐 써야 올바른 표현이 된다. ‘물이나 술을 마구 마시다’는 뜻을 가진 말은 ‘들이키다’가 아니라 ‘들이켜다’이다.

‘들이키다’는 어떤 물체를 ‘안쪽으로 가까이 옮기다’는 뜻으로 쓰는 말이다. 예를 들면, “복잡한 통로에서는 사람이 다닐 수 있도록 발을 들이키는 것이 올바른 예절이다.”처럼 쓴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타래송곳]

안녕하세요.

어제 문제 답은 타래송곳입니다.
타래가 배배 틀린 모양을 뜻하기에 그렇게 생긴 송곳은  타래송곳이죠.

타래쇠를 답으로 보내주신 분도 계신데요.
'타래쇠'는 
철사 따위로 둥글게 서린 가는 쇠고리입니다. 흔히 문고리 따위가 벗겨지는 것을 막고자 그런 것을 쓰죠.

어쨌든 저는,
와인 드릴이나 코르크 스크루 보다는 타래송곳이 더 멋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말에는 멋과 여유가 있습니다.
일출 보러 가자고 하면 좀 삭막하지만,
해맞이 보러 가자고 하면 떠오르는 해가 더 멋질 것 같지 않나요? ^^*

송곳을 이루는 쇠를 줏대라고 합니다.

줏대에는 그 밖에도 여러 가지 뜻이 있습니다.
먼저, 수레바퀴 끝의 휘갑쇠를 줏대라고 합니다.
휘갑쇠는 물건의 가장자리나 끝 부분을 보강하고자 휘갑쳐 싼 쇠를 이릅니다.

또, "자기의 처지나 생각을 꿋꿋이 지키고 내세우는 기질이나 기풍"도 줏대라고 합니다.
이때의 줏대는 한자 주(主)에서 온 말이죠.

소리는 하나지만 줏대에는 여러 뜻이 있습니다.
어찌 보면,
수레바퀴에 줏대가 없으면 마차가 똑바로 가지 못하는 것처럼,
사람에게 줏대가 없으면 가는 길이 흔들이기 마련이지 싶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55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052
2396 [2011/10/24] 우리말) 빨간 단풍 머니북 2011-10-24 4898
2395 [2006/12/16]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id: moneyplan 2006-12-18 4894
2394 [2007/02/20] 우리말) 척사대회 --> 윷놀이 id: moneyplan 2007-02-20 4893
2393 [2006/09/28] 우리말) 택배가 느리게 왔어요 id: moneyplan 2006-09-28 4893
2392 [2017/08/24] 우리말) 여우다와 여의다 머니북 2017-08-31 4892
2391 [2008/01/24] 우리말) 초등학교 교육을 영어로 하겠다고요? id: moneyplan 2008-01-24 4888
2390 [2007/04/20] 우리말) 일자와 날짜 id: moneyplan 2007-04-20 4888
2389 [2011/09/09] 우리말) 세간도 맞고 세간살이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9 4885
2388 [2008/07/25] 우리말) 멋쩍다와 맛적다 id: moneyplan 2008-07-25 4873
2387 [2015/03/25] 우리말) 조글조글 머니북 2015-03-25 4872
2386 [2013/02/14] 우리말) 자잘못과 잘잘못 머니북 2013-02-14 4870
2385 [2007/03/17] 우리말) 건배:건배, 이끔소리, 함께소리 id: moneyplan 2007-03-19 4866
2384 [2014/09/05] 우리말) 바빠/바뻐 머니북 2014-09-05 4861
2383 [2011/08/26] 우리말) 충돌과 추돌 머니북 2011-08-26 4856
2382 [2007/01/28] 우리말) 떨거지/결찌 id: moneyplan 2007-01-29 4854
2381 [2006/11/12] 우리말) 지금 집을 사면 낭패라죠? id: moneyplan 2006-11-13 4853
2380 [2006/09/30] 우리말) 웜 비즈? 쿨 비즈? id: moneyplan 2006-09-30 4841
2379 [2006/11/07] 우리말) 날씨가 꽤 춥네요. 그렇다고 너무 웅숭그리지 마세요 id: moneyplan 2006-11-07 4840
2378 [2017/11/01] 우리말) 비명과 환호성 머니북 2017-11-06 4839
2377 [2016/03/18] 우리말) 제비추리와 제비초리 머니북 2016-03-18 4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