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5/28] 우리말) 제수씨

조회 수 3460 추천 수 0 2015.06.01 11:28:16

.

안녕하세요.

벌써 주말입니다. ^^*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읽겠습니다.

제수씨-성기지 운영위원

새로 이사한 집에 이웃이나 친지를 불러 집을 구경시키고 음식을 대접하는 것을 ‘집들이한다’고 말한다. 흔히 집들이에 초대받아 갈 때에도 ‘집들이 간다’고 하는데, 이것은 잘못된 말이다. 새로 집을 지었거나 이사한 집에 집 구경 겸 인사로 찾아보는 일은 ‘집알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집들이에 초대받아 갈 때에는 ‘집알이 간다’고 말하는 것이 옳다.

요즘 여기저기 집들이하는 집이 눈에 뜨인다. 회사 동료나 친구 집에 집알이를 가면, 그 집 안주인은 갑자기 손님들의 ‘제수씨’가 되어 버린다. 온종일 음식 마련하느라 분주했던 안주인은 호적에도 없는 여러 시아주버니를 맞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옳지 못하다.

친구의 아내를 부를 때에는 일반적으로 ‘아주머니’가 표준말이지만, 상황에 맞도록 알맞은 부름말을 가려 쓸 수 있다. 친구의 아내와 평소 안면이 있으면 “OO 씨” 하고 이름을 부를 수도 있고, 정중히 예의를 갖추어야 하는 자리라면 “부인”이라고 부르면 된다. 또 아이가 있으면 “OO 어머니”로 불러도 된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말 줄이기]

안녕하세요.

여러모로 살기 팍팍한데 김연아 선수가 기분 좋은 소식을 전해주네요.
고맙습니다. ^^*

이번에 우승한 대회가
2008-2009 국제빙상경기연맹이 주관하는 
피겨스케이팅 시니어 그랑프리 1차 대회 스케이트 아메리카 여자 싱글이라고 하네요.
이름이 이렇게 길어서야 어디 외우기나 하겠어요?

더군다나 요즘은 뭐든지 합쳐서 새로운 것을 이루어 내는 게 사회 분위기이다 보니
조직이름도 기능을 합치는 쪽으로 나가게 되나 봅니다.
그러나 언어 특성은 짧고 간단한 쪽으로 흘러가 자연히 이름을 줄여 약어를 쓰게 됩니다.
선거관리위원회를 '선관위'라 하고,
농림수산식품부를 '농식품부'라 하며,
국립과학수사연구소를 '국과수'라 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이번에 제가 일하는 농촌진흥청도 부서 이름을 많이 바꿨습니다.
농업과학기술원이 국립농업과학원이 되었는데, 그 이름을 줄여 농과원이라하고,
작물과학원이 국립식량과학원이 되었는데, 그 이름을 줄여 식량원이라고 합니다.

오늘 드리고 싶은 말씀은
긴 낱말을 줄이고자 약어를 쓰는 것은 좋은데,
줄일 때 잘 줄여야 한다는 겁니다.

전원주택을 줄인답시고 전주라고 한다거나,
고속철도를 줄여 고철이라고 한다거나,
유선방송을 줄여 유방이라고 하면 안 됩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는 기후변화생태과가 있습니다. 이를 '기생과'로 줄일 수 없잖아요.

낱말을 줄이되 꼭 개개 낱말의 맨 앞에 오는 낱말을 따다 쓸 까닭은 없습니다.
제가 일하는 과는 실용화기술과인데, 이를 '실기과'로 하면 안 되고, '실용과'라고 줄이는 게 좋을 것 같고,
옆에 있는 첨단농업과는 '첨농과라고 첨단과 농업에서 한 자씩 따오지 말고 '첨단과'라고 앞 낱말만 쓰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낱말을 줄여 사람들이 자주 쓰면 그게 사전에 오르게 됩니다.
돈을 넣고 빼는 입금과 출금은 줄여서 '입출금'이 되고 지금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바꾸고 고치는 개수와 보수도 줄여 '개보수'라 쓰고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하나 더 짚고 싶은 게 두음법칙입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를 줄이면 '전경련'이지 '전경연'이 아닙니다.
두음법칙에 따라 낱말 맨 앞글자에서 ㅕ 앞의 ㄹ은 ㅇ이 되어 '연합회'지만,
전경련으로 낱말이 하나가 되면 맨 앞에 오는 글자가 아니므로 '연'이 아니라 '련'으로 써야 바릅니다.
약어를 만들 때 두음법칙을 따져야 합니다.

오늘 글은 좀 복잡하네요.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4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48
1196 [2012/10/31] 우리말) 되는대로 머니북 2012-10-31 3540
1195 [2008/11/13] 우리말) 안간힘[안깐힘] id: moneyplan 2008-11-13 3541
1194 [2008/12/10] 우리말)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지나, 새우 싸움에 고래 등 터지나? id: moneyplan 2008-12-10 3541
1193 [2012/06/14] 우리말) 관심은 가지는 게 아니라 두는 것 머니북 2012-06-15 3541
1192 [2013/03/29] 우리말) 셋째 태어나고 아내에게 쓴 편지 머니북 2013-03-29 3541
1191 [2015/10/21] 우리말) 낯익다와 귀 익다 머니북 2015-10-21 3542
1190 [2017/03/29] 우리말) 씨양이질 머니북 2017-03-30 3542
1189 [2008/01/16] 우리말) 캐주얼을 우리말로 하면? id: moneyplan 2008-01-16 3544
1188 [2013/08/26] 우리말) 곁땀 머니북 2013-08-26 3544
1187 [2011/01/14] 우리말) 단추를 끼다와 꿰다 moneybook 2011-01-14 3545
1186 [2013/10/07] 우리말) 책 '어이없이 틀리는 우리말 500' 머니북 2013-10-07 3545
1185 [2008/11/25] 우리말) 늙은호박과 청둥호박 id: moneyplan 2008-11-25 3546
1184 [2008/10/01] 우리말) '안되다'와 '안 되다' id: moneyplan 2008-10-01 3547
1183 [2011/12/29]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머니북 2011-12-29 3547
1182 [2014/08/26]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머니북 2014-08-26 3547
1181 [2009/09/15] 우리말) 독농가와 모범 농가 id: moneyplan 2009-09-15 3548
1180 [2016/12/27] 우리말) 해끝 머니북 2016-12-29 3548
1179 [2009/03/12] 우리말) 시쁘다와 시뻐하다 id: moneyplan 2009-03-12 3549
1178 [2009/08/21] 우리말) 어연번듯하다 id: moneyplan 2009-08-21 3549
1177 [2009/09/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9-22 3549